• 제목/요약/키워드: L-${\alpha}$-Phosphatidylcholin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국내산 유채 종자의 품종별 지방 조성 및 페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Lipid Composition of Korean Rapeseed (Brassica napus L.) Cultivar and Antioxidant Capacity of Phenolic Extract)

  • 이아영;홍순택;장영석;이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817-1826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산 유채 종자 내한, 탐라, 목포111호, 영산, 탐미, 한라와 목포68호의 품종별 지방산 조성, 인지질, 당지질, 토코페롤 함량을 조사하고, 유채 종자를 탈지한 후 crude phenolic compound를 추출하여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유채 종자의 조지방 함량은 29.3~33.2%였고, 품종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지방산은 oleic(n-9), linoleic(n-6)과 ${\alpha}$-linolenic acid(n-3)였으며, n-6/n-3 지방산의 비율은 2.20~3.68이고 이 중 내한종이 가장 낮고 한라종이 가장 높았다. Neutral lipids 함량은 내한종과 탐라종, 인지질 함량은 탐미종에서 가장 높고, 소량 함유된 당지질은 내한, 탐라, 한라와 목포68호 간 함량 차이가 없었으며 목포111호에 가장 낮게 함유되었다. 토코페놀 함량 수준은 ${\gamma}$ > ${\alpha}$ > ${\beta}$ > ${\delta}$-tocopherol이며, 내한종의 총 tocopherol 함량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탐라, 목포111의 순이었으며 영산, 탐미, 한라 목포68호는 유의적인 함량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품종별 총 페놀 함량은 탐라> 영산> 탐미, 한라, 내한> 목포68호, 목포111호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탐라종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FRAP value가 가장 높아 7개의 품종 중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탈지 후의 유채박에 함유된 phenol compounds의 용매별 분획할 결과 30% ethanol fraction에 가장 많이 추출되며 이 fraction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약재 추출물의 hyaluronidase 저해 및 라디칼 소거 활성 검색 (Screening of Hyaluronidase Inhibitor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vitro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Extracts)

  • 최수임;이윤미;허태련
    • KSBB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82-28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유용한 물질 을 검색하기 위해 40여 가지 생약재를 에탄올 추출하여 H HAase 억제 및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 HAase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I mg/mL의 농도에서 황기, 두충, 오미 자, 황금, 오가피, 목과, 목단피, 산사가 50% 이상의 저해활 성을 나타내었고, 이들에 대하여 n-hexane, chloroform, ethyl a acetate, water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하여 활성을 측정한 결 과, 모든 시료의 ethyl acetate와 water 분획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과 F Fenton 반응에 의해 발생한 hydroxyl radical에 대한 소거능으 로 평가하였다 .. DPPH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복분자, 목단피, 백작약, 차전자, 마가목 에탄올 추출물이 I mg{mL 놓도에서 90% 이상으로 대조군으로 이용한 BHA와 Q - -tocopherol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 2-deoxyribose 산화 법에 따른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에서 대부분의 에탄올 추출물 시료에서 모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활성올 갖는 시료에 대하여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linoleic a acid와 phosphatidylcholine liposome 기질 모두에 대하여 오미 자 추출물은 가장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