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yungrodang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APT 단지 내 경로당 활성화를 위한 계획방향 제안 (The Planning Guidelines for Revitalizing 'Kyungrodang' in the Apartment Complexes)

  • 곽윤진;권오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29-234
    • /
    • 2009
  • Korea's aging population is increasing rapidly every year. In addition, because of the increase in quantity of apartment complexes, the number of elderly living in apartment complexes is also rising steadily. Consequently, caring about the elderly residents is getting more important in apartment complexes. Currently the most common recreational facility for senior in the apartment complex is 'Kyungrodang'. However, 'Kyungrodang' has not been used as an active community area to elderly residents due to lack of leisure programs and other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ive direction to support leisure life and healthy living for senior residents and to make 'Kyungrodang' usable community space for the residents of all generations. In connection with this, this study also identified to find ways to revitalizing for 'Kyungrodang'.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ed the ideas than can improve the usably of 'Kyungrodang' not only to the elderly residents but also to all residents in terms of space planning and leisure programs.

  • PDF

아파트 단지 경로당의 운영실태와 요구도 분석을 통한 계획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Guidelines for Revitalizing 'Kyungrodang' in Apartment Complexes through the Analysis of Demands and Actual Condition of Operation)

  • 강순주;이보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207-21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useful resources concerning the plan to prepare for population aging in the future through investigating architectural characters of the 'Kyungrodang' and its operating systems located near the apartment complex and needs of the 'Kyungrodang'. For this purpose, the study includes field research, interviews, a questionnaire, and a survey targeting each of two apartments located in the Seoul and Gyeonggi-do. A survey targeting the elderly in their late 70 to 80 years 60 to 70 years was conducted and the differences regarding program needs of leisu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and revitalization of 'Kyungrodang'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nd solutions to the existing problems of standardized 'Kyungrodang'. Furthermore, the present results can be a basic resource for the elaboration of an appropriate management method and a spatial plan that would respond to the increased needs of facilities and programs for the elderly in the apartment complex. Finally,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making 'Kyungrodang' the space where the elderly can obtain physical and mental support, as well as enjoy social activities, improve their health, and manage their everyday life.

경로당 발전방안 탐색: 경로당 이용경험에 따른 노인들의 특성을 중심으로 (Exploring Ways Toward Development of Kyungrodang: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Based on the Types of Kyungrodang Participation)

  • 유성호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463-147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로당 이용경험(이용중, 이용 중단, 이용경험 없음)에 따른 노인들의 특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경로당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전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실시한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결과 수집된 자료를 카이검정, 분산분석,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n=3,005). 연구 결과 사회경제적 여건이 좋지 않은 농어촌지역의 고령노인이 주로 경로당을 이용하였고, 비교적 젊고 사회경제적으로 안정된 도시지역의 중산노년층이 경로당을 이용하다가 중단하거나 경로당을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경로당 이용경험에 따른 노인간 연령, 거주지역, 사회경제적 여건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 남녀노인간 차이는 있지만, 경로당 이용을 중단하거나 이용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들과 맞지 않아서'였다 즉, 노인들간 인구 및 사회경제적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교류상의 문제와 그로 인한 경로당 이용노인 모두의 여가복지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제공이 현재 우리나라 경로당 운영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로당에만 한정하는 협의적 차원의 경로당 발전 방안(보건, 재활 및 건강 관련 프로그램의 활성화, 여성노인의 여가복지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의 운영, 보육시설의 운영 등)과 중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노인여가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광의적 차원에서의 경로당 발전 방안(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저출산 및 고령화정책의 인프라를 위한 복지시설로의 경로당 기능전환, 노인복지관과 유료노인여가복지시설의 활성화 등)이 제시되었다.

단독가구 노인의 가족관계가 지역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s on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by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염지혜;전미애
    • 한국노년학
    • /
    • 제40권2호
    • /
    • pp.239-25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단독가구 노인의 가족관계가 지역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이러한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Baltes와 Baltes(1990)의 선택, 적정화, 보상 이론(SOC)과 Prandini(2014)의 가족구성원이 사회적 자본이 된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노년기에 가족관계가 지역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17년 노인실태조사에서 1인가구를 추출해 연구대상자(남 n=370, 여 n=1770)로 삼았으며, 친구·이웃만남과 경로당·복지관 참여를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성의 경우 가족관계가 친구·이웃 또는 경로당·복지관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여성의 경우는 가족과의 연락빈도가 친구·이웃만남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며, 경로당 복지관 참여에는 가족연락빈도와 자녀관계 만족도가 정적(+) 영향이 나타난 반면 가족만남빈도는 경로당 복지관 참여에 부적(-) 영향이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가족구성원이 사회적 자본이 된다는 Prandini(2014)의 주장이 지지되는 것으로 보이나, 어떠한 종류의 지역사회참여인가에 따라서 그 영향이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이에 대한 실천적 논의와 제언이 제시되었다.

우리나라 노인의 사회참여 유형분석 (Social Participation of Korean Older Persons)

  • 이소정
    • 한국인구학
    • /
    • 제32권1호
    • /
    • pp.71-91
    • /
    • 2009
  • 고령화 사회에 내재된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는 노인의 상실된 사회적 지위 및 역할을 회복시키고, 이를 통해 노인의 사회통합을 기하는 문제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노인들의 사회참여 유형을 분석하고, 각 유형을 결정짓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힘으로써 보다 노인중심적인 관점에서 노인들의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사회참여 유형화를 위해 군집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사회참여 유형 결정요인을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사회참여 유형은 "자원봉사중심형", "종교중심형", "직업중심형", "경로당중심형"으로 유형화되었다. 또한 다양한 유형의 사회참여는 노인 개인이 가지고 있는 경험과 자원, 그리고 인구학적 조건 등의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