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ubelka-Munk이론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Optimized Structural and Colorimetrical Modeling of Yarn-Dyed Woven Fabrics Based on the Kubelka-Munk Theory (Kubelka-Munk이론에 기반한 사염직물의 최적화된 구조-색채모델링)

  • Chae, Youngj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42 no.3
    • /
    • pp.503-515
    • /
    • 2018
  • In this research,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al and colorimetrical modeling of yarn-dyed woven fabrics was conducted based on the Kubelka-Munk theory (K-M theory) for their accurate color predictions. In the K-M theory for textile color formulation, the absorption and scattering coefficients, denoted K and S, respectively, of a colored fabric are represented using those of the individual colorants or color components used. One-hundred forty woven fabric samples were produced in a wide range of structures and colors using red, yellow, green, and blue yarns. Through the optimization of previous two-dimensional color prediction models by considering the key three-dimensional structural parameters of woven fabrics, three three-dimensional K/S-based color prediction models, that is, linear K/S, linear log K/S, and exponential K/S model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three-dimensional color prediction models, the color differences, ${\Delta}L^*$, ${\Delta}C^*$, ${\Delta}h^{\circ}$, and ${\Delta}E_{CMC(2:1)}$, between the predicted and the measured colors of the samples were calculated as error values and then compared with those of previous two-dimensional models. As a result, three-dimensional models have proved to be of substantially higher predictive accuracy than two-dimensional models in all lightness, chroma, and hue predictions with much lower ${\Delta}L^*$, ${\Delta}C^*$, ${\Delta}h^{\circ}$, and the resultant ${\Delta}E_{CMC(2:1)}$ values.

A Study of Skin Reflectance Using Kubelka-Munk Model (Kubelka-Munk 모델을 이용한 피부 분광반사율 연구)

  • Cho, A Ra;Kim, Su Ji;Lee, Jun Bae;Sim, Geon Young;Back, Min;Cho, Eun Seul;Jang, Ji Hui;Jang, Eunseon;Kim, Youn Joon;Yoo, Kweon Jong;Han, Jeong W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42 no.1
    • /
    • pp.45-55
    • /
    • 2016
  • Light shows various optical behaviors such as reflection, absorption, and scattering on skin for individuals. In particular, reflection of light from the skin has been widely used as the brightness index of the skin of individuals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physical quantity of spectral reflectance. Therefore, the study of light behavior on skin would be useful for the preparation of new evaluation method in the development stage of make-up products. In this study, multi-dimensional analysis for spectral reflectance behavior of light on individual skin was performed using Kubelka-Munk model. Also, we analyzed the contribution of skin parameters such as skin thickness and hemoglobin, which could affect the spectral reflectance, using above model and literature information. Base on this, we calculated the theoretical reflectance of normal women for visual light, which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reflectance. Our study of light propagation in skin based on Kubelka-Munk model provides useful insight for the development of personalized cosmetic in the near future.

화상분석을 통한 종이의 두께 방향 밀도 변이 평가 및 불투명도와의 상관관계 해석

  • 박선규;이학래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1.04a
    • /
    • pp.184-184
    • /
    • 2001
  • 캘린더령은 지펼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고, 두께를 감소시켜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는 필연적으로 불투명도와 같은 광학적 성질과 인장강도 등의 강도적 성질 의 저하를 유발한다. 따라서 캘린더링 공정변수인 온도, 압력, 속도 등이 종이의 물성에 미 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캘린더령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물성 저하를 최소화 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들어 저평량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 서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는 불투명도가 캘린더링에 따라 변화되는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서 화상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종이의 두께방향 밀도 변이를 평가하고 밀도변이와 불투명도 와의 상관관계를 해석코자 하였다. 또 캘린더링에 따른 불투명도를 저하를 최소화시키기 위 한 캘린더링 조건을 모색하였다. 캘린더링에 의해 발생하는 종이의 두께 변형은 두께방향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 타난다. 이러한 종이의 두께 방향으로 발생하는 밀도 변이와 이에 따른 불투명도 변화를 평 가하기 위하여 동일한 평량의 종이를 캘린더령 조건을 달리하여 두께방향 밀도변이가 다른 시편을 준비하고 두께 방향 단면을 SEM으로 촬영하였다. 이후 화상분석기를 통해 단면을 이치화하고, 각 픽셀의 흑백 값을 구해 CD방향으로 평균을 내어 두께 방향에 대한 밀도 변 이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압력보다는 온도를 높여 캘린더링한 경우 종이의 두께 방향 밀도 경사가 커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고온에 의해 표층이 고밀화되고 상대적으 로 내부가 별크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밀도 변이가 종이의 광학적 성질인 불투명도에 미 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캘린더링 전후에 두께 및 불투명도를 측정하여 5% 유의수준 에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밀도경사를 지닌 종이의 불투명도를 이론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다층 모델을 가정하 고 각 층의 비광산란계수(5)와 비광흡수계수(k)를 달리 부여하고 Kubelka-Munk 이론을 근 거로 하여 이론적 불투명도를 계산하였다. 불투명도에 대한 분석를 통해 동일한 두께 변형 을 가지는 샘플에 대해서 압력보다는 온도를 증가시켜 두께를 감소시키는 캘린더링 처리가 불투명도의 저하를 최소화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