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Revised(K-CESD-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K-CESD-R)의 표준화 연구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Revised(K-CESD-R))

  • 이산;오승택;류소연;전진용;이건석;이은;박진영;이상욱;최원정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1호
    • /
    • pp.83-93
    • /
    • 2016
  • 연구목적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은 우울 증상을 평가하는 데에 유용성이 입증된 척도로 알려져 있으며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DSM-IV)'에 기술되어 있는 주요우울장애의 주요한 우울 증상들을 포괄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을 제작하여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와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DSM-IV의 진단기준에 근거한 MINI를 사용하여 주요우울증, 기분부전증, 달리 분류되지 않는 우울장애로 진단된 48명의 환자군과 48명의 정상 대조군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 몽고메리-아스버그 우울증 평가척도, 우울증 선별척도, 단축형 우울증상 평가 척도, 상태-특성 불안척도를 포함한 척도검사를 시행하여 교차 검증하였다. Cronbach's alpha 계수, Pearson 상관계수, 주성분 분석,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곡선, 최적 절단점 산출을 위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의 Cronbach's alpha 계수는 0.98이었으며,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의 총점은 본 연구에서 시행하였던 다른 우울 및 불안척도의 점수와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주성분 분석에서는 두 요인이 전체 분산의 76.29%를 설명하였으며, ROC 곡선을 이용하였을 때,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의 최적 절단점은 13점이었다. 결 론 본 연구는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의 표준화를 위한 첫 번째 연구로,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는 우울 증상을 평가하는데 있어 신뢰성 있고, 타당한 척도임을 밝혔다. 또한 이 척도가 진료 및 역학 연구에서 유용한 선별검사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생의 수면시간이 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leep Duration on Stress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 김민호;박성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61-270
    • /
    • 202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eep duration on stress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btained will be used as a foundational framework for fostering a healthy sleep culture among college students and for formulating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sleep. Ultimately, we intend to produce a publicity and educational material. Methods : For this study, a survey involving 100 college students was conducted, after which data based on a final total of 95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information on stress and depression were first analyzed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n organiz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eep duration on stress and dep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groups: "less than 6 hours," "6 to 7 hours," and "7 to 8 hours." BEPSI-K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Korean) was used for stress evaluation, while K-CESD-R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revised) was utilized for depression evaluation. Results : First, according to sleep duration, the BEPSI-K scor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group (p<.01). In the post-hoc test,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the "less than 6 hours" group, the "7 to 8 hours" group.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p<.01). In addition, sleep dur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negative (-) direction of the BEPSI-K (p<.01). Second, the K-CESD-R score according to sleep dur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group (p<.01). Notably, in the post-hoc test, the "less than 6 hours" group differed from the "6 to 7 hours" group, "7 to 8 hours" group.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p<.01). In addition, sleep dur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negative (-) direction of the K-CESD-R (p<.01). Thir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stress and depression, a negative (-)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leep duration and BEPSI-K and K-CESD-R. Meanwhile, a positive (+)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BEPSI-K and K-CESD-R. Conclusion :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sleep duration of college students has an effect on stress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al framework in formulating a pla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leep of college students.

자살 태도, 삶의 인식, 우울이 청소년의 자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icidal Attitudes, Perception of Life, and Depression on Adolescents' Suicide)

  • 이상은;이은진;함옥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05-31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살 태도, 삶의 인식, 우울이 자살(사고, 계획, 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I 지역 중학교 2학년 학생 889명의 일반적 특성, 자살에 대한 태도(ATTS), 삶의 인식, 우울증(K-CESD-R) 등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살 사고가 있는 학생은 246명(27.6%), 자살 계획은 85 명(9.5%), 자살 시도는 46 명(5.1%)이었다.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외모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이 높을수록, 주관적 정신건강, 신체건강이 낮을수록, 여가 만족도가 낮을수록 자살(사고, 계획, 시도)이 높아졌다. 자살 사고의 예측 요인은 우울, 주관적 정신건강, 외모 만족도, 자살 태도 중 해결책, 허용성이었고, 자살 계획의 예측 요인은 우울, 주관적 정신건강, 자살 태도 중 해결책, 허용성이었고, 자살 시도의 예측 요인은 우울, 자살 태도 중 허용성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 자살 예방 교육에서 우울을 낮추고 삶의 인식과 자살 태도를 바꾸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