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torrent catfish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7초

퉁가리과(Amblycipitidae) 어류 계측형질 특징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Torrent Catfish (Amblycipitidae) in Korea)

  • 박인석;설동원;강언종;김치홍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9-215
    • /
    • 2006
  • 한국의 퉁가리과 어류 3종의 형태학적 특성을 classical dimension과 truss dimension을 사용하여 파악하였다. Arc sin square root 전환 후, 18가지의 계측형질을 체장에 대한 비율로, 그리고 3가지의 계측형질은 두장에 대한 비율로 각각 분석하였다. 퉁사리, Liobagrus obesus는 classical dimension과 truss dimension의 4가지 계측 형질이 퉁가리, L. andersoni와 자가사리, L. mediadiposalisa에 비하여 컸다 (P<0.05). 퉁사리와 퉁가리는 truss dimension의 3가지 계측형질이 자가사리보다 컸다 (P<0.05). 조사된 퉁가리과 어류의 6가지 계측형질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dimension들은 한국산 퉁가리과 어류들을 구별할 수 있는 적절한 분류학적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한국산 퉁가리과 (Amblycipitidge) 어류 2종 수염의 조직 학적 구조 (Histological Structure of the Barbels of Liobagrus andersoni and L. obesus (Amblycipitidae: Pices) from Korea)

  • 박인석;설동원;임수연;김치홍;강언종;공용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38-343
    • /
    • 2006
  • Histological observations of the barbels of torrent catfish (Amblycipitidae) in Korea are reported. The bullhead torrent catfish (Liobagrus andersoni) and Korean torrent catfish (L. obesus) have eight obvious barbels in two pairs each on the maxilla and mandible. Each barbel is composed of an epidermis, dermis, and central cartilagerod. The epidermis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barbels of the bullhead torrent catfish is thicker than that of the Korean torrent catfish (P<0.05) and is formed of stratified epithelium that contains many cutaneous taste buds and a few small club cells. There are many taste buds on the upper part of each barbel. The dermis consists of loose connective tissue fibers that enclose blood vessels and bundles of nerve fibers. The barbels of these fish can be categorized into stiff and flexible types and are accessory, feeding, and sensory structures. Our results validate the barbels as gustatory receptor organs for these fishes.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 of Bullhead torrent catfish, Liobagrus obesus

  • Seo, Won-Il;Park, Jae-Min;Lee, Sung-Hun;Yoon, Seong Min;Hwang, Seon-Yeong;Han, Ky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2권1호
    • /
    • pp.9-18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keletal development of bullhead torrent catfish, Liobagrus obesus larvae and to utilize them as basic data for the taxonomic study of Liobagrus larvae. Skeletal development was observed by being divided into cranium, visceral skeleton, shoulder girdle bone, pelvic girdle bone and vertebra. On the first day after hatching, the pre-larvae had an average total length of 7.92 mm, and a line-shaped parasphenoid ossified in the cranium. In the jaw bone, the dentary supporting the lower jaw and the maxillary supporting the upper jaw were ossified. In the anterior abdominal vertebrae of the vertebra, seven centrums began to ossify and five neural spines ossified simultaneously. On the 3 day after hatching, pre-larvae had an average total length of 8.95 mm, and the prefrontal ossified in cranium. The number of abdominal vertebrae was increased to 14, and three parapophysis developed from the front side. On the 24th day after hatching, post-larvae had an average total length of 15.2 mm and the epural bone ossified in coccyx. The parhypural bone was ossified, and ossification of coccyx and pelvic girdle bone was completed. On the 30th day after hatching, the average total length of the juvenile was 17.8 mm, and the ossification of cranium and visceral skeleton was all completed while the preorbital and three suborbitals were ossified in the orbital region of the cranium.

한국 퉁가리속 고유종 동방자가사리 Liobagrus hyeongsanensis의 핵형 분석 (Karyotype Analysis of an Endemic Korean Torrent Catfish Liobagrus hyeongsanensis(Siluriformes: Amblycipitidae))

  • 조윤정;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9-93
    • /
    • 2017
  • 최근 신종으로 발표된 동방자가사리 Liobagrus hyeongsanensis의 핵형 분석을 위해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일대에서 암컷 10마리와 수컷 5마리를 채집하였다. 동방자가사리의 염색체 수는 2n=42이었으며, 핵형은 30개의 중부염색체와 12개의 차중부염색체로 구성되어 있었다. FN 값은 84였으며, 암수 간 성적이형과 배수체는 관찰되지 않았다. 동방자가사리는 퉁가리속의 자가사리, 섬진자가사리와 염색체 수는 같았으나 핵형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핵형의 차이는 지리적 격리로 인한 로버트슨 전좌(Robertsonian rearrangement)와 관련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어류의 공기호흡 기관 (Modified Organs of Air Breathing Fishes in Korea)

  • 김치홍;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0-254
    • /
    • 2011
  • 한국의 담수어류 중 짱뚱어, 큰볏말뚝말둥어, 말뚝망둥어, 미꾸리, 미꾸라지, 자가사리 등 모두 6종에서 공기로 호흡하기 위해 변형된 부속기관이 알려져 있다. 짱뚱어, 큰볏말뚝말망둥어, 말뚝망둥어, 자가사리 4종은 부족한 산소를 공기로부터 흡입하기 위해 호흡상피 (respiratory epithelium)를 갖는다. 이러한 호흡상피는 풍부한 모세혈관과 2종류의 선세포(점액세포와 곤봉세포-자가사리, 점액세포와 거대세포-짱뚱어) 또는 1종류의 선세포로 구성된 팽대세포 (말뚝망둥어와 큰볏말뚝망둥어)를 갖는다. 특히 거대세포 (swollen cell)는 상피세포의 팽대로 인해 형성된 거미줄 구조 (web-like structure)를 갖고 있다. 또한 짱뚱어의 진피성돌기 (dermal bulge)는 진피성 모세혈관이 매우 풍부하며, 지느러미 등의 부속지를 제외한 피부에 존재한다. 또한 미꾸리와 미꾸라지는 장 상피 (intestinal epithelium)에 모세혈관이 아주 풍부하게 존재한다.

한국산 민물어류에 기생하는 Orientocreadium 속 흡충류 : Orientocreadium koreanum sp. nov. 및 O. pseudobagri Yamaguti, 1934 (Two Korean Digenetic Trematodes : Orientocreadium. koreanum sp. nov. and O. pseudobagri Yamaguti 1934(Orientocreadiidae) from Freshwater Fishes)

  • 김기홍;임한종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1-90
    • /
    • 1995
  • 한국산 민물어류에 기생하는 연충류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2종류의 흡충류를 동정, 분류하였다. Orientocreadium koreanum n. sp.는 퉁가리의 장에서 검출된 신종이며, O. pseudobagri Yamaguti, 1934는 동자개의 장에서 검출된 한국산 미기록 종이었다. Orientocreadiidae과의 분류학적 문제점들에 관해 고찰하였으며, 분류된 2종에 대해 기존의 기록종들과의 차이점들을 상세히 논하였다.

  • PDF

남한강 지류에 서식하는 퉁가리(Liobagrus andersoni)의 식성 (Feeding Habits of Korean Torrent Catfish, Liobagrus andersoni in a Tributary of the Namhan River, Korea)

  • 윤희남;김종명;배양섭;채병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6-245
    • /
    • 2007
  • 남한강 지류인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봉황리 한포천에서 2005년 10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계절별로 퉁가리(L. andersoni)를 대상으로 식성을 조사 연구하였다. 주요먹이생물로는 파리목, 하루살이목, 날도래목 등의 수서곤충이었으며, 체장이 50 mm 이하인 개체들에서는 크기가 매우 작으며, 먹이생물이 풍부한 꼬마하루살이류와 깔따구류를 주로 섭식하였고, 점차 성장하면서 크기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납작하루살이류가 주요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깔따구류와 날도래류는 모든 개체들에서 고르게 섭식되었다. 계절에 따른 먹이생물의 구성은 여름과 가을에 다양하였고 겨울에 단순한 경향을 보였는데, 봄에는 하루살이류를 집중적으로 섭취하였으며, 여름과 가을에는 비교적 균등하게 먹이생물을 선택하였고, 수온이 낮은 겨울에는 이동력이 약한 날도래류와 깔따구류를 집중적으로 섭식하였다. 또한 위충만도 분석 결과 본 종은 섭식활동이 주로 일몰직후 시작되어 02~03시에 가장 활발하였으며, 일출직후부터는 점차 감소하여 낮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퉁가리는 야간에 여울역의 바위나 자갈의 표면에 서식하는 수서곤충을 주로 섭식하는 저서성 육식포식자에 속하는 어류로 판단된다.

한국 고유종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nensis의 핵형 분석 (Karyotype Analysis of Liobagrus somjinensis, an Endemic Species in Korea)

  • 조윤정;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75-178
    • /
    • 2016
  • 전라북도 남원시 식정동에서 채집한 한국 고유종인 섬진자가사리를 암, 수 각각 9마리와 8마리의 핵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섬진자가사리의 염색체 수는 2n=42로 조사되었고, 핵형은 28 metacentric과 14 submetacentric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FN은 80이었다. 이번 결과에서 배수체와 암수 간의 성적이형은 발견되지 않았다. 섬진자가사리는 근연종들과 염색체 수는 같았으나, 핵형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enesis(Siluriformes, Adrianichthyidae) 후각기관의 기능 해부학적 구조 (Functional Anatomy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Torrent Catfish, Liobagrus somjinensis(Siluriformes, Amblycipitidae))

  • 김현태;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5-68
    • /
    • 2018
  •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nensis 후각기관과 서식처 환경 및 생태적 습성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실체현미경과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부학적 특징을 묘사하였다. 후각기관은 주둥이 위에 좌우 한 쌍으로 존재하였으며, 전비공, 후비공, 비강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었다. 전비공은 튜브형의 형태로 코수염과 윗입술 끝 사이에 위치하였다. 후비공은 표면과 평평한 유출공으로써 코수염의 기부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었다. 비강은 가로와 방사형으로 배열된 혀 모양의 22~24개의 판으로 구성된 로제트 구조를 보유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섬진자가사리의 후각기관의 기능 해부학적 구조는 여울에서의 은신, 섭식, 야행성의 생활패턴에 연관된 높은 후각의존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만경강 수계 고산천에 서식하는 퉁사리 Liobagrus obesus의 자연산란장 특성 (Spawning Site Characters in the Natural Environment of Bull-head Torrent Catfish, Ligbagrus obesus(Siluriformes: Amblycipitidae) in the Gosan Stream, Mangyeong River Water System, Korea)

  • 김형수;양현;홍양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83-190
    • /
    • 2012
  • 2010년 4월~10월과 2011년 6월에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의 고산천 일대에서 퉁사리의 자연산란장 특징을 밝히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퉁사리의 성비는 1 : 1.02 (♀ : ♂)이었고 산란기는 6월에서 7월 사이로 추정되었으며 이 시기의 수온은 $23^{\circ}C$ 내외였다. 자연산란장은 넓적한 돌(boulder)이 상판으로 놓여있었고 그 돌 밑은 작은 자갈과 모래로 구성되어 있었다. 자연산란장안에는 구덩이가 파져있었고 그 중심에 난괴를 형성한 알이 위치하였으며 수컷 퉁사리 1개체가 알을 보호하고 있었다. 퉁사리의 자연산란장의 수심은 $61.4{\pm}11.97$ (50~85) cm, 표층유속은 $0.58{\pm}0.067$ (0.48~0.72) m/sec, 중층유속은 $0.46{\pm}0.098$ (0.27~0.61) m/sec, 저층유속은 $0.27{\pm}0.083$ (0.14~0.41) m/sec이었다. 산란장 상판으로 이용된 넓적한 돌(boulder)의 크기는 장경 $26.2{\pm}5.32$ (20~38) cm, 단경 $20.5{\pm}2.97$ (16~25) cm, 높이 $11.1{\pm}4.02$ (5~19) cm로 나타났으며 산란장 구덩이의 지름은 $9.8{\pm}2.32$ (6~14) cm, 깊이는 $2.8{\pm}1.10$ (1.5~5) cm이었다. 퉁사리의 평균포란수는 $124{\pm}27.7$ (92~180)개이었고 알의 크기는 $3.40{\pm}0.078$ (3.21~3.56) mm이었으며, 자연산란장내 산란된 알의 평균산란수는 $99{\pm}12.9$ (81~122)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