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orean sign language

Search Result 15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XML BASED SINGLE SIGN-ON SCHEME FOR DEVICE CONTROL IN UBIQUITOUS ENVIRONMENT

  • Jeong, Jong-Il;Lee, Seung-Hun;Shin, Dong-Il;Shin, Dong-Ky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1a
    • /
    • pp.298-302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single sign-on scheme in which a mobile user offers his credential information to a home network running the OSGi (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service platform, to obtain user authentication and control a remote device through a mobile device using this authentication scheme, based on SAML (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 Especially by defining the single sign-on profile to overcome the handicap of the low computing and memory capability of the mobile device, we provide a clue to applying automated user authentication to control a remote device via a mobile device for distributed mobile environments such as a home network based on OSGi.

  • PDF

Study on Korean-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Technology for Avatar Sign language Service (아바타 수어 서비스를 위한 한국어-한국수어 변환 기술 연구)

  • Choi, Ji Hoon;Lee, Han-kyu;AHN, Ch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459-460
    • /
    • 2020
  • 한국수화언어가 2016년 2월 제정된 한국수화언어법(약칭, 한국수어법)을 통해 한국어와 동일한 대한민국 공식 언어로 인정받았지만, 사회적 인식 부족과 서비스 비용 문제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많은 한국어 정보들 조차도 농인들은 쉽게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보 접근에 대한 차별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아바타를 이용한 수어 서비스가 대두되고 있지만, 한국어-한국수어 번역을 위한 자연어처리 기술의 한계로 인해 일기예보와 같이 탬플릿 기반의 서비스에 국한되거나 비수지신호 표현에 대한 기술 부족으로 인해서 서비스 상용화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으로 한국어에서 한국수어로 변환하기 위한 병렬 말뭉치 데이터 전사 및 변환 시스템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Improvement of Sign Word Dictionary for Korean Sign Language Avatar (한국 수화 아바타를 위한 수화 사전의 개선 방법)

  • Oh, Young-Joon;Park, Kwang-Hyun;Bien, Zeu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c
    • /
    • pp.167-17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수화 아바타가 실제 청각장애인처럼 자연스러운 수화 동작을 표현하면서 정확한 의사를 전달할 수 있도록 동음이의어에 대한 처리를 다룬다. 기존의 수화 사전에 품사 정보를 추가하고 한글 형태소 분석기를 활용하여 동음이의어를 구분할 수 있도록 수화 사전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Women's Costume Representations in $Chos\v{o}n$ Dynasty by the Approach of Semiotics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조선시대 여자 복식표현연구)

  • Kim Hyun-Jin;Chae Keum-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9 no.1 s.139
    • /
    • pp.13-2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eature and phenomena of women's costume in Choson dynasty by the approach of semiotics. In order to do so, F Saussure's linguistic symbol theory, C. Peirce's conception on semiology theory and cultural semiology of R. Barthes ware used as tool to analyse traditional women's costumes in $Chos\v{o}n$ dynasty. And I choose basic conceptions based on their semiotic theory. which were langue & parole. dennotation & connotation, paradigm & syntagm, code, and analysed. structure of sign, communication though the non-language. The fashion of the $Chos\v{o}n$ dynasty contains various meaning as sign symbol system and makes the communication possible as it is mentioned above. We nay understand the sign symbol system described in the fashion sign by analysing the structure and meaning operation of sign on the basis of social, political, and idealistic background of the times, to understand the polysemy quality of the fashion.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수화 통역을 위한 VR 콘텐츠 개발)

  • Na, Kil-Hang;Lee, Byung-Ho;Kim, Jong-Hun;Kim, Jong-Nam;Jung, Young-K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690-695
    • /
    • 2009
  • 본 논문은 영화, 방송, 애니메이션 등의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에 수화 애니메이션을 합성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청각 및 언어장애인들에게 이해시키기 위한 수화 통역 VR 콘텐츠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수화 사전에 있는 수화들을 3D 애니메이션으로 DB화하기 위해, 모션 캡처 시스템과 데이터 글러브를 사용하여 실제 사람처럼 자연스러운 애니메이션을 생성하였다. 최종적으로 동영상 콘텐츠의 자막이나 대본의 구문분석을 한 후, 이를 수화용 단어자막을 통해 수화 애니메이션을 DB에서 검색한 후, 실시간적으로 기존 동영상 콘텐츠와 동기합성을 하여 수화 통역 콘텐츠를 제공하는 VR 콘텐츠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이 시스템을 동화용 애니메이션에 적용하였다.

  • PDF

Static Sign Language Recognition System Using Depth Camera (깊이 영상 기반 정적 수화 인식 시스템)

  • Kim, Ki-sang;Choi, Hy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323-32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의 손 모양, 특히 수화를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손 모양 인식은 손가락 검출과 손 인식으로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손가락 검출을 위해 본 시스템에서는 Distance Transform을 이용하여 손의 뼈대를 검출 하고, Convex Hull을 통해 손가락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뼈대 검출은 보다 정확한 손가락을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생긴다. 손 인식에는 손 중심과 손가락의 길이, 손의 축, 손가락의 축, 팔 중심의 위치 등을 이용하여 Decision Tree를 생성하고, 반복적 검사를 통해 인식의 오류율을 줄였다. 실험결과에서는 수화 인식이 성공적으로 잘 인식 되었다는 것을 보인다.

  • PDF

The Study of Support Vector Machine-based HOG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Feature Vector for Recognition by Numerical Sign Language (숫자 수화 인식을 위한 서포트 벡터 머신 기반의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특징 벡터 연구)

  • Lee, SeungHwan;Yoo, JaeCher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71-272
    • /
    • 2019
  • 현재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많은 이들의 삶의 질이 이전보다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소외된 계층을 위한 개발은 타 분야에 비해서 더뎌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의 청각 장애인과 언어 장애인들은 시각 언어인 수화를 이용하여 의사소통을 한다. 그러나 수화는 진입 장벽이 높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은 청각 장애인 및 언어 장애인과 의사소통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 기반의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특징 벡터를 이용하여 수화의 기본인 숫자를 분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수화를 번역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sign-language object detection for sign language broadcasting monitoring (수화방송 모니터링을 위한 수화영역 검출 방법 연구)

  • Choi, Ji Hoon;AHN, Chung Hyun;Seo, Je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11a
    • /
    • pp.99-100
    • /
    • 2018
  •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방송 서비스는 지상파 기준으로 100% 제공하는 자막방송 서비스와 달리 콘텐츠 제작비용과 시스템 운영비용 등으로 인해 5% 수준의 편성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편성 비율조차도 명확한 편성기준과 검증기준이 없어서 실제 청각장애인이 실제 체감하는 수준은 훨씬 낮은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방송사업자의 장애인방송 편성비율을 검증하기 위해서 방송프로그램 안내정보와 방송 시그널링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별로 방송스트림을 수집 및 관리하는 장애인방송 모니터링 서버를 활용하여 수화방송 모니터링 기술 고도화를 위한 자동화된 수화영역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자동화된 수화영역 검출 방법을 활용한 수화방송 모니터링 결과를 보여준다.

  • PDF

Face and Hand Tracking Algorithm for Sign Language Recognition (수화 인식을 위한 얼굴과 손 추적 알고리즘)

  • Park, Ho-Sik;Bae, Cheol-S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1 no.11C
    • /
    • pp.1071-1076
    • /
    • 2006
  • In this paper, we develop face and hand tracking for sign language recognition system. The system is divided into two stages; the initial and tracking stages. In initial stage, we use the skin feature to localize face and hands of signer. The ellipse model on CbCr space is constructed and used to detect skin color. After the skin regions have been segmented, face and hand blobs are defined by using size and facial feature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movement of face is less than that of hands in this signing scenario. In tracking stage, the motion estimation is applied only hand blobs, in which first and second derivative are used to compute the position of prediction of hands. We observed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value of tracking position between two consecutive frames in which velocity has changed abruptly. To improve the tracking performance, our proposed algorithm compensates the error of tracking position by using adaptive search area to re-compute the hand blobs.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our proposed method is able to decrease the prediction error up to 96.87% with negligible increase in computational complexity of up to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