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hinner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Microhabitat Assessment of Three Fish Species to Stream Order in Geumgang River Basin

  • Kang, Kyoung Ho;Hur, Jun Wook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4호
    • /
    • pp.216-225
    • /
    • 2017
  • We assessed the microhabitat conditions of three fish species (black shinner Pseudopungtungia nigra, striped shinner Pungtungia herzi, Korean shinner Coreoleuciscus splendidus) considering various stream order in the Geumgang River Basin. A total of 1,275 individuals were collected from 19 sites. And the microhabitat condition was assessed measuring flow velocity, water depth and substrate size at each site. The highest relative frequencies for P. herzi, C. splendidus and P. nigra were calculated 100% (n = 310), 78.9% (n = 784) and 47.3% (n = 181) respectively. P. herzi appeared in all streams, irrespective of their stream order; however, appearance in streams with the $2^{nd}$ order or lower was found to be scarcer than in the ones with the $3^{rd}$ order or higher. On the other hand, P. nigra and C. splendidus didn't appear in streams with the $2^{nd}$ order or lower. When it comes to P. nigra, the ones with 7 to 8 cm in length most frequently appeared. They inhabited streams, mainly, with 0.2 to $0.4m\;s^{-1}$ and 0.5 m in velocity and water depth, respectively. The three species all preferred runs as types of habitats with lots of coarse gravels-cobbles. P. herzi, the ones with 5 cm or shorter in length most frequently appeared. They inhabited streams, mainly, with 0 to $0.3m\;s^{-1}$ and 0.4 m in velocity and water depth, respectively. C. splendidus with 7 to 8 cm in length occupied the majority of them. They appeared in streams, mainly, with $0.9m\;s^{-1}$or higher and 0.3 m in velocity and water depth.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 Larvae and Juvenile in Korean shinner, Coreoleuciscus splendidus from the Ungcheon-Stream of Korea

  • Park, Jae-Min;Cho, Seong-Jang;Jo, Hye-In;Han, Ky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3권2호
    • /
    • pp.161-17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egg and larvae morphology in the Ungcheon-stream. C. splendidus eggs were round and ranged in size from 1.86-2.01 mm (mean $1.91{\pm}0.14mm$). Immediately after hatching, the larvae had egg yolk in the abdomen with a total length of 5.27-6.63 mm (mean $5.95{\pm}0.96mm$). On the 10 days after hatching, the latter was 8.44-8.65 mm (mean $8.54{\pm}0.14mm$) in total length, and 5 dorsal fin rays were formed in dorsal fin and 8 caudal fin soft rays were formed in caudal fin. At 88 days after hatching, total length was 26.2-25.7 mm (mean $25.9{\pm}0.35mm$), and scales were formed throughout the body. The fin rays of each part were iii.7 in dorsal fin and iii.6 in anal fin, and finally the external form was the same as the adult fish.

가는돌고기(Pseudopuntungia tenuicorpa) 보전을 위한 유전적 다양성 연구 (Genetic Diversity of the Slender Shinner(Pseudopuntungia tenuicorpa) and Its Conservational Implications)

  • 김동영;석호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9-48
    • /
    • 2020
  • 가는돌고기(Pseudopungtungia tenuicorpa)는 8~10 cm 크기의 소형 잉어과 어류로 전 세계에서 한국의 한강 그리고 임진강에만 서식하는 멸종위기종이다. 가는돌고기는 국내 담수의 상위 포식자 중 하나인 꺽지 수컷이 돌보는 수정된 알이 있는 둥지에 탁란(brood parasitism)을 하거나 작은 바위에 생긴 틈에 산란을 하는 생식 행동을 보인다. 이 종의 특이한 생식 생태는 환경 파괴가 극심한 현대 사회에서 산란 장소를 더욱 제한할 가능성이 높아 특별한 관리와 보전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microsatellites와 mtDNA control region 유전자를 이용하여 가는돌고기의 종 보전 관리 전략에 필요한 개체군 수준의 유전적 다양성 등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유전체 분석에서 얻어진 28개의 microsatellite 유전자들을 이용하여 한강의 3지역에서 채집된 67개체들의 유전자형을 밝혔다. 본 microsatellite 유전자 분석 결과, 가는돌고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담수어류의 microsatellite 다양성 정도를 훨씬 뛰어 넘는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보여주었고(평균 이형접합자 빈도 예측치=0.914; 유전자 당 평균 대립 인자 빈도=27.9), 개체군 감소나 inbreeding의 흔적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북한강과 남한강 사이의 유전적 분화가 두드러졌다. 이런 유전적 구조는 14개 haplotype이 발견된 mtDNA 분석 결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매우 좁은 지역에 서식하는 고유 멸종위기종에서 유전자 흐름의 제한 가능성이 나타났기 때문에, 장기적 측면에서 개체군들의 크기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추후 적응 유전적 분석 결과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난다면, 북한강과 남한강 개체군들은 별도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복원 계획에도 이러한 유전적 구조에 대한 검토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남한강 달천에 서식하는 참중고기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Pisces: Cyprinidae)의 산란숙주조개 이용에 관한 연구 (Host Mussel Utilization for Spawning of the Oily Shinner,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Pisces: Cyprinidae), Inhabiting the Dalcheon, Namhangang (river) from Korea)

  • 김형수;윤정도;양현;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8-294
    • /
    • 2014
  • 2011년과 2013년 4~6월까지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달천 일대에서 참중고기의 산란숙주조개 이용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참중고기 암컷에서는 완숙한 알과 미숙한 알을 같이 보유하고 있었고 완숙한 알 수는 이매패 내에서 확인된 알 수보다 많은 점으로 미루어 본 종은 여러 차례 산란하는 batch spawners로 생각된다. 조사지점에서는 작은말조개, 칼조개, 작은대칭이, 곳체두드럭조개, 재첩의 5종의 담수산 이매패가 서식하였으나 참중고기는 자연상태에서 작은대칭이(산란율 50.0%), 작은말조개(16.2%), 곳체두드럭조개(11.1%)의 이매패에만 산란하였다. 참중고기의 산란은 출수공에서 연결되는 상새강(자연상태: 22.6%, 실험: 31.8%)보다 입수공에서 연결되는 외투강(77.4%, 68.2%)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사한 산란생태를 가진 납자루아과 어류는 산란숙주로 곳체두드럭조개, 참중고기는 작은대칭이를 가장 선호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경쟁을 피하기 위한 생태지위분할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초강천 쉬리의 산란과 생태유량 산정 (Spawning and Optimal Ecological Flowrate Assessment of Korean Shinner, Coreoleuciscus splendidus in the Chogang Stream)

  • 허준욱;박진우;이상욱;김정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499-503
    • /
    • 2010
  • 본 연구결과 채집된 어류는 총 9과 36종 4,669개체였다. 과(family)로는 잉어과(Cyprinidae) 어류가 24종으로 전체 채집된 어종의 66.7%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고유종은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 등 20종으로 55.6%를 차지하여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멸종위기야생동물(endangered species)로 감돌고기(Pseudopungtungia nigra) 외 2종이 출현하였다. 구성비가 가장 높은 종은 참갈겨니(Zacco koreanus)로 34.0%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다음은 피라미(Z. platypus)로 22.6%, 쉬리는 13.3% 순으로 나타났다. 쉬리의 산란기는 4월~6월로 나타났으며, 주산란성기는 5월 이었다. 유속, 수심 및 하상에 대한 쉬리의 HSI는 유속 0.4~0.6 m/sec, 수심 0.3~0.5 m, 하상재료 가는자갈 굵은자갈로 나타났다. 생태유량을 모의한 결과, 하류로 내려갈수록 유량이 증가되어 쉬리가 살 수 있는 가용면적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는돌고기 $Pseudopungtungia$ $tenuicorpa$의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the Slender Shinner, $Pseudopungtungia$ $tenuicorpa$ (Pisces: Cyprinidae))

  • 고명훈;박상용;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8-55
    • /
    • 2012
  • 멸종위기어류인 가는돌고기의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 연구는 생물학적 특성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2010년 연구를 실시하였다. 성숙난은 암컷에 Ovaprim을 주사하여 얻었으며 건식법으로 인공수정시켰다. 성숙란은 강한 부착난으로 불투명한 짙은 회색이었으며 난경은 $1.96{\pm}0.08mm$였다. 수온 $23^{\circ}C$에서 수정 후 240시간 후에 부화하였으며 부화 직후 전기자어 크기는 전장 $8.6{\pm}0.25mm$였다. 부화 후 2일에 난황을 모두 흡수하였으며 전장 $9.0{\pm}0.37mm$로, 부화 후 10일째에는 모든 지느러미 기조가 정수가 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으며 전장 $10.6{\pm}0.44mm$로 성장하였다. 부화 후 70일 후에는 전장 $36.0{\pm}2.13mm$로 등지느러미에 검은 점이 형성되고 체측반문이 성어와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금강의 용담댐에서 대청댐까지 서식하는 감돌고기 (Pseudopungtungia nigra)의 서식범위 및 물리적 서식지 평가 (Evaluation of habitat range and physical habitat of black shinner (Pseudopungtungia nigra) from Yongdam to Daecheong Dam in Geum River)

  • 허준욱;김경훈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4호
    • /
    • pp.179-190
    • /
    • 2019
  • 금강의 용담댐 하류부터 대청댐 상류 구간을 대상으로 멸종위기 1급으로 지정된 감돌고기의 서식 실태를 파악하고자 어류조사를 실시하였다. 출현된 어류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생물다양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채집된 감돌고기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건강성 및 물리적 서식환경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감돌고기의 서식범위는 용담댐 하류부터 대청댐 상류 가덕교 700 m 하류 지점까지 서식이 확인되었다. 전체 출현종의 생물다양도 분석결과는 전체적으로 우점도 지수가 낮았고, 상대적으로 종 다양도 및 균등도 지수가 높아 어류군집이 안정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채집된 감돌고기는 전장-무게 상대성정식 및 비대지수 (CF) 분석결과 정상적인 성장 및 영양 상태로 확인되었다. 감돌고기의 물리적 서식환경은 수심 0.3 - 0.6 m, 유속 0.3 - 0.7 m/s, 하상재료는 호박돌 - 전석의 범위에서 높은 출현빈도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금강에서 감돌고기의 공간적인 서식범위와 선호하는 물리적 서식환경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향후 서식지 복원 및 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댐 운영을 고려한 금강의 생태.수문학적 변화 평가 : II. 수리학적 어류서식처 조건 분석 (Evaluation of Eco-Hydrological Changes in the Geum River Considering Dam Operations : II. Hydraulic Fish Habitat Condition Analysis)

  • 박상영;김정곤;고익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5호
    • /
    • pp.407-41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대청댐 하류 금강을 대상으로 댐건설에 따른 유황 변동이 어류서식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RAP을 이용하였고, 대표어종으로는 쉬리, 참마자, 감돌고기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유량이 감소하는 갈수기에 대청댐의 건설과 더불어 서식처 조건이 향상 하였으나, 용담댐 건설의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댐건설에 따른 갈수기의 방류량 증가가 본 연구에서 선정한 대표어종들이 선호하는 서식처 조건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강의 대표적 하천에 서식하는 참갈겨니 (Zacco koreanus)의 물리적 서식조건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n Physical Habitat Condition of Korean Chub (Zacco koreanus) in Typical Streams of the Han River)

  • 허준욱;서진원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2호
    • /
    • pp.207-215
    • /
    • 2011
  • In order to establish fundamental data for stream restoration and environmental flow, we investigated physical habitat conditions of Korean chub (Zacco koreanus) in the typical streams of Han River. Field monitoring including fish sampling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08 to April 2010. A total number of fish caught in the 8 sites was 3,421 representing 8 families 31 species, and 17 species (54.8%) including Korean shinner (Coreoleuciscus splendidus) and Z. koreanus were Korean endemic species during the study period. The most frequently found species in number was pale chub (Z. platypus, 25.7%) followed by Z. koreanus (22.8%) and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16.8%). Numbers of Z. Koreanus ranged from 8 to 10 cm of total length were the highest in size distribution of their population in all sites. They were widely found in ranges of flow velocity (0.2~0.9 m/sec, 89.6%), water depth (0.3~0.9 m, 91.6%), and different types of substrates except for silt, and they tended to prefer run (58.1%) and riffle (33.7%) with cobble bed (47.0%) microhabitat. Most of upper streams in Korea consist of riffles and runs that are repeatedly followed by another one. However, stream channelization and leveling have caused reduction of habitat divers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on stream rehabilitation with evaluation of physical habitat condition by indicator species in order to maintain biodiversity and perform ecological restoration.

초강천에서 어류의 최적 생태유량 산정 (Estimation of Optimal Ecological Flowrate of Fish in Chogang Stream)

  • 허준욱;김대희;강형식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권1호
    • /
    • pp.39-48
    • /
    • 2014
  • 하천복원과 환경유량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금강수계의 초강천에서 생물학적 건강성 및 최적 생태유량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출현한 어종은 총 9과 36종 4,669개체였으며, 잉어과가 66.7%(24종)로 가장 높았다. 참갈겨니가 1,588개체로 34.0%로 우점종이었으며, 아우점종은 피라미로 22.6%, 우세종은 쉬리 13.3%로 나타났다. IBI와 QHEI는 상류로부터 하류로 내려갈수록 값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BI 값은 27.9~38.6으로 평균 32.2로 양호상태를 나타냈다. 참갈겨니, 쉬리 및 감돌고기에 대하여 서식도적합도지수(HSI) 및 최적 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참갈겨니의 경우, 유속과 수심의 HSI 값은 각각 0.1~0.4 m/s와 0.2~0.4 m 였다. 감돌고기는 유속이 0.2~0.5 m/s, 수심이 0.4~0.6 m 및 하상재료가 가는자갈~호박돌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하여 각 지점의 최적 생태유량은 하류로 내려갈수록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서 WUA 값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