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red pine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27초

Evaluation of Failure Theories to Determine the Wood Strength Variation with Grain Slope

  • Oh, Sei-Cha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5호
    • /
    • pp.465-473
    • /
    • 2009
  • Three failure theories were studied to evaluate the wood strength variation with grain slope. Maximum stress theory, Tsai-Hill theory and Hankinson formula were presented to hypothesize the failure of wood according to grain slope to loading direction. Red pine and Japanese larch were used as materials to simulate failure strength prediction with grain slope. Calculation of strength results was that the strength of wood drops rapidly between parallel to grain orientation (0 degree) and 15 degree grain orientation. The strength of wood with grain orientation were somewhat different at small grain angles among failure theories, and this tendency was due to tension and compression distinction, and shear accounting in each theories. For the above 45 degree grain orientation, the predicted failure strength of wood with grain variation were very close in each failure theories and were useful in assessing failure strength of wood. The applicable these theories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wood has different behavior in tension and compression, and this lead to different strength at small grain angles in each theories. Furthermore, reconsideration is needed to assess the failure strength of wood at small grain angles in Hankinson formula and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accounting for shear behavior at small grain angles.

마이크로파 원목 건조 최적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Microwave Log Drying)

  • 이형우;김도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349-356
    • /
    • 2009
  • 직경 20~30 cm의 원목을 마이크로파 건조하여, 건조속도와 건조 후 목재의 결함이나 문제점 등 원목의 건조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마이크로파에 의한 원목건조조건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출력 20 kw의 마이크로파 건조기는 건조 중 원목 내부온도에 기준하여 제어하였다. 소나무 원목의 경우 원목 내부온도가 $120^{\circ}C$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한 결과 48시간 이내에 함수율 20% 미만까지 안전한 건조가 가능하였다. 건조곤란 수종의 하나인 참죽나무의 원목 경우 표면할렬이 심각하게 발생하여 원목상태로의 건조가 불가능하였다. 원목의 건조속도는 원목의 초기함수율이 높을수록 빨라짐을 보였다.

백강균(白殭菌)을 처리(處理)한 소나무림의 낙엽(落葉)과 토양(土壤)에 서식(棲息)하는 무척주동물(無脊柱動物) 군집(群集)에 대한 다변량분석(多變量分析) (Multivariate Analysis on Invertebrate Communities in Litter and Soils of Japanese Red Pine Forests treated by Beauveria bassiana)

  • 권태성;박영석;신상철;이범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5호
    • /
    • pp.593-599
    • /
    • 2001
  • 다변량분석법(주성분분석법, PCA)을 이용하여 무척추동물 군집에 백강균 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였다. 좌표공간내의 군집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군집구조에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을 통계 검정하였다. 백강균 처리는 낙엽과 토양의 무척추동물 군집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

자연생유령 소나무림내 초본층의 종다양도와 생태적지위량에 대하여 (Species Diversity and Niche Breadth of the Herb Layer Communities in Young Open Natural Pinus densiflora Stands)

  • 오규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7권4호
    • /
    • pp.18-22
    • /
    • 1974
  • Counts of herb stems were made with each systematic grid sized 10cm by 1300cm within six apparently homogeneous herb layers under the open young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stands. The stands had often been subjected to strong human interferences such as burning, cutting, grazing, and denuding since human settlement until the conservation scheme practiced in these stands for last decade. In addition, amounts of loss of ignition and field capacity were determined to detect soil heterogeneity among and within the stands. The values of information measure of diversity(H), and Hurlbert's probability of interspecfic encounter(Δ), obtained here do not show any consistent correlation. The amount of interspecific competetion(Δ1), the ratio of interspecific to intraspecific competetion(Δ4), Levin's niche breadth(Sh), and species evenness(V), increase, while the amount of intraspecific competetion decrease, as the soil factors become favorable. One stand examined does not follow the above trends, which is more young and shows strong within site heterogeneity of the soil factors. The stand includes pioneer species which is not detectable without detailed observation. It is argued that in stable or favorable environment more intense interspecific competetion and less intraspecific competetion might occur, but this situation does not necessarily always bring smaller niche breadth. In this connection, the results support Hurlbert's contention that the two components of diversity should be analyzed separately.

  • PDF

Biological Effect and Chemical Composition Variation During Self-Fermentation of Stored Needle Extracts from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Paudyal, Dilli P.;Park, Ga-Young;Hwang, In-Deok;Kim, Dong-Woon;Cheong, Hyeon-Sook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313-322
    • /
    • 2007
  • Extract of Japanese red pine needles has been used in Asia pacific regions since long periods believing its valuable properties as tonic and ability of curing diseases of unidentified symptoms. Some selective compounds present in the extract and their effects were analyzed. Carbohydrates and vitamin c were identified using HPLC; terpenoid compounds by GC-MS; anti-bacterial analysis by paper discs, plates count and gastrointestinal motility by whole cell patch clamp. The extract is a mixture of compounds therefore its diverse effect was expected. Self-fermentation in extract proceeds after spontaneous appearance of yeast strains without inoculation. Effects and composition of the extract vary with varying period of self-fermentation. Extract inhibits the growth of bacteria dose dependently exhibiting its antibacterial properties however effectiveness increases with increase in fermentation period. The extract also can modulate gastrointestinal motility in murine small intestine by modulating pace maker currents in ICC mediated through ATP sensitive potassium channel.

고 조리서에 수록된 만두의 종류와 조리법에 관한 고찰 -160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발간된 고 조리서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Types of Mandoo and Its Cooking Methods in the Old Cooking Books - Focused on the Old Cooking Books issued in 1600 to 1950 -)

  • 김기숙;이미정;한복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16
    • /
    • 1999
  • Motivated by a need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standard recipes for Korean traditional food, Mandoo, this paper explores a historic research about the development of Mandoo classified by Mandoo-crust, Mandoo-filling, spice & condiment, garnish, size & shape and unit for measuring ingredients. The data for this study are obtained from the major old cooking books published in the period 1670-1957, such as ${\ulcorner}Eumsikdimibang{\lrcorner},$ ${\ulcorner}Leejogoongjoungyoritonggo{\lrcorner},$ and so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1) starch, buckwheat flour and flour were used as Mandoo-crust and egg was added in order to improve cohesion, (2) cooked pheasant and beef were used as Mandoo-filling, (3) ginger had been used more generally than garlic as spice & condiment and later red pepper powder was added and pine nut was also widly used, (4) pan-fried meat, egg, and mushroom were used as garnish, (5) Mandoo of different kinds existed and had various sizes and shapes, (6) unit for measuring ingredients began to appear on printing in 1939. These findings provide us with opportunity, which leads to making the standard recipes for Mandoo so that anyone can easily have resources for cooking the traditional food, Mandoo.

  • PDF

한국에서 수분수지의 생태적 중요성과 대기오염 및 토양 산성화로 인한 식물의 수분스트레스 증대 효과 (Ecological Importance of Water Budget and Synergistic Effects of Water Stress of Plants due to Air Pollution and Soil Acidification in Korea)

  • 이창석;이안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3호
    • /
    • pp.143-150
    • /
    • 2003
  • 한국은 양적으로 강수량이 풍부하지만 강우현상이 편중되어 매년 일정기간의 가뭄기를 겪는다. 더구나 그 토양은 대부분 화강암에서 유래한 거친 입자의 것으로서 보수력이 낮다. 수 종의 참나무류와 소나무의 수분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결과는 수분수지가 식생의 분포를 결정하는 주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몇몇 상록식물의 월동기간 중 내한성 기작에 기인한 탈수 정도는 자연상태에서 그들의 분포와 밀접하게 관계되었다. 수분스트레스 처리 실험 결과 소나무는 건조에 대해 강한 내성을 보였지만 그 유식물은 가뭄기에 높은 고사율을 나타내었다. 그 고사율은 지소의 토양수분함량에 비례하는 경향이었다. 가뭄이 심한 6월 중 삼림토양의 수분함량과 수분스트레스 처리 실험에서 소나무 유식물이 영구위조점에 도달한 시점에서 배지토양의 수분함량을 비교한 결과는 가뭄기에 소나무 유식물의 높은 고사율이 수분부족에 기인함을 입증하였다. 대기오염물질 폭로실험 중 측정된 시료식물의 수분포텐셜은 시료식물에서 가시피해의 발생과 그 내성에 수분요인이 관계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야외 현장 조사와 실내실험 결과 둘 다에서 심한 대기오염에 노출된 식물은 그렇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수분소실이 빠르게 일어나는데, 그것은 오염물질에 의한 잎 표면의 손상 정도와 관계되었다. 산성 토양에서 높은 함유량을 보이는 알루미늄은 식물의 뿌리생장을 억 제하거나 비정상적 분포를 가져와 수분스트레스를 유발하였다. 대기오염과 토양 산성화에 기인한 이러한 수분스트레스 효과는 한국의 기후와 토양이 가지는 기존의 수분결핍효과에 덧붙여져 삼림쇠퇴를 유발하는 주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높여 포장용수량 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sludge는 산성토양을 개량하는데 기존의 개량제 못지않은 효과를 보였고, 낙엽 추출물 또한 알루미늄에 의한 수분스트레스 효과를 완화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한국에서 삼림쇠퇴를 유발할 수 있는 스트레스요인들의 잠재적 상호작용을 모식화하였다. 나아가 그것을 완화할 수 있는 복원방안을 토양개량과 식생복원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1700년대~1960년대 문헌에 나타난 탕평채의 문헌고찰 (Literature Review of Tangpyeongchae in Cook Books Published in 1700~1960s)

  • 이경애;김보람;김향숙;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7-335
    • /
    • 2012
  • 탕평채의 전통 조리법 발굴을 위해 1700년대부터 1960년대의 고문헌 및 고조리서에 수록된 탕평채의 재료, 양념, 조리방법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탕평채는 1700년대 말의 문헌인 "경도잡지"와 "고사십이집"에 처음 소개된 후 "임원십육지", "동국세시기", "송남잡식", "진찬의궤", "진작의궤", "명물기략", "규곤요람", "시의전서", "조선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주부의 동무, 조선요리제법", "조선요리학", "이조궁정요리통고",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 등에 탕평채가 수록되었다. 조선시대 궁중 연회음식을 수록한 "진찬의궤"와 "진작의궤"에는 청포채란 명칭으로 탕평채가 소개되어 있다. 탕평채의 재료 중 묵, 고기, 미나리, 숙주나물, 달걀, 김의 사용이 보편화된 것은 1900년대 중반 이후이며, 달래, 물쑥과 같은 봄나물을 재료로 사용한 기록도 있다. 1700년대 말에는 단지 초장(간장과 초로 만듦)으로만 무쳐 먹었던 탕평채는 이후 간장, 초 뿐 아니라 고추, 후춧가루, 깨소금, 참기름, 마늘, 파, 소금, 설탕 등을 사용해서 양념하여 보다 다양한 맛을 내고자 하였다. 또한 미나리, 고춧가루, 실고추, 지단채, 통잣, 잣가루, 깨소금, 김 등을 고명으로 사용했다. 탕평채의 조리방법은 1800년대 말의 문헌부터 비교적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1800년대 말에는 모든 재료를 함께 양념했으나, 1900년대에는 다른 재료를 먼저 양념하고 마지막에 묵을 넣고 무치는 방법도 사용했다.

1700년대~1960년대 문헌에 나타난 탕평채의 문헌고찰 (Literature Review of Tangpyeongchae in Cook Books Published in 1700~1960s)

  • 이경애;김보람;김향숙;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89-497
    • /
    • 2012
  • 탕평채의 전통 조리법 발굴을 위해 1700년대부터 1960년대의 고문헌 및 고조리서에 수록된 탕평채의 재료, 양념, 조리방법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탕평채는 1700년대 말의 문헌인"경도잡지"와 "고사십이집"에 처음 소개된 후 "임원십육지", "동국세시기", "송남잡식", "진찬의궤", "진작의궤", "명물기략", "규곤요람", "시의전서", "조선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주부의 동무, 조선요리제법", "조선요리학", "이조궁정요리통고",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등에 탕평채가 수록되었다. 조선시대 궁중 연회음식을 수록한 "진찬의궤"와 "진작의궤"에는 청포채란 명칭으로 탕평채가 소개되어 있다. 탕평채의 재료 중 묵, 고기, 미나리, 숙주나물, 달걀, 김의 사용이 보편화된 것은 1900년대 중반 이후이며, 달래, 물쑥과 같은 봄나물을 재료로 사용한 기록도 있다. 1700년대 말에는 단지 초장(간장과 초로 만듦)으로만 무쳐 먹었던 탕평채는 이후 간장, 초 뿐 아니라 고추, 후춧가루, 깨소금, 참기름, 마늘, 파, 소금, 설탕 등을 사용해서 양념하여 보다 다양한 맛을 내고자 하였다. 또한 미나리, 고춧가루, 실고추, 지단채, 통잣, 잣가루, 깨소금, 김 등을 고명으로 사용했다. 탕평채의 조리방법은 1800년대 말의 문헌부터 비교적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1800년대 말에는 모든 재료를 함께 양념했으나, 1900년대에는 다른 재료를 먼저 양념하고 마지막에 묵을 넣고 무치는 방법도 사용했다.

실내 사용 목재의 연소 특성 분석 (II) (Combustion Properties of Woods for Indoor Use (II))

  • 서현정;강미란;손동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478-48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목재의 화재 안정성 평가에 대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연소 성능 및 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열특성 분석은 콘 칼로리미터 시험 방법과 열중량 분석(TGA)으로 열방출률, 총 방출열량, 연소 가스 발생, 그리고 중량 감소를 분석하였다. TGA 분석에서 시료의 열분해 온도는 스트로브 잣나무 $359.83^{\circ}C$, 서어나무 $359.80^{\circ}C$, 이태리 포플러 $363.14^{\circ}C$, 졸참나무 $358.59^{\circ}C$, 산벚나무 $362.11^{\circ}C$로 나타났다. 열방출률의 최댓값은 서어나무로 나타났으며, 최솟값은 스트로브 잣나무로 나타났다. 총방출열량을 분석한 결과, 서어나무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이태리 포플러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가스분석 결과에서는 산벚나무가 $CO/CO_2$ 비율이 최소치로 0.021로 확인되었고, 졸참나무가 0.031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중량감소율의 최솟값은 산벚나무가 87.57%로 나타났으며, 졸참나무가 95.03%로 CO와 $CO_2$의 발생과 목재 연소의 거동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목재의 실내 적용 시 화재 안정성 향상 등의 기초 자료로써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