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psychopathy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8초

다한증 환자에서의 MMPI 다면적 인성검사 분석 (MMPI Analysis of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hisrosis)

  • 김도완;김찬;한경림;박재홍;조선미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1권3호
    • /
    • pp.206-210
    • /
    • 2008
  • Background: Although the cause of hyperhidrosis has not been the subject of close investigation, there are cases for which excessive sweating happens at the hands, feet and armpits due to hyperactivity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This usually occurs in people less than 25 years old and it often causes difficulties for their social and occupational life and there is a decrease in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this should also be examined according to the mental state of the patient who suffers from hyperhidrosis. Methods: The Minnesota Multiple Personality Inventory was administered to 59 patients in the Hyperhidrosis Center from March, 2006 to March, 2007. The MMPI's validity and 10 clinic standard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compared according to gender and age. Results: Of the standard clinical items, psychopathy and conversion hysteria were 21.1% and 17.5%, respectively. On comparison between males (47.5%) and females (52.5%), the females had a higher score for the hypochondriasis item. The patients above 18 years old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hypochondriasis and hypomania compared to the patients below 18 years old. Conclusions: When analyzing the personality of the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hidrosis with using the MMPI, it was difficult to look for relations with the mental fa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agnostic tests for younger people with considering the relations with the period of morbidity.

우울증에 대한 예측모형 (A Prediction Model for Depression Risk)

  • 김재용;민병주;이재훈;장재승;하태현;하규섭;박태성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2호
    • /
    • pp.317-330
    • /
    • 2014
  • 양극성 장애는 조증 삽화(manic episode)와 주요 우울삽화(major depressive episode)를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이다. 주요 우울삽화 시기에는 양극성 장애 환자들의 810%가 자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양극성 장애 환자를 치료할 때, 우울증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울증상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사법은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밀턴 우울평가척도 점수를 이용하여 환자들의 치료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선형혼합효과모형(linear mixed effects model)과 전이모형(transition model)을 제시하였다. 예측을 위해 사용된 자료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을 방문하여 초진일 당시의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 점수가 8 점 이상인 환자들의 정보를 사용하였다. 첫 조사시점부터 6개월, 12개월 후 세 차례에 걸쳐 관측된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 점수를 선형혼합효과모형과 전이모형에 적합시켰다. 그 결과를 토대로 특정시점의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 점수를 예측하였다. 첫 조사시점부터 6개월, 12개월 후의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 점수를 사용해 선형혼합효과모형과 전이모형에 적합 시켰다. 이 모델들을 이용해 조사시점부터 24개월 후의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 점수를 예측한다. 이 예측모델은 조사된 24개월 후의 점수와 예측된 24개월의 후의 점수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행복의 조건: 우리는 '어떻게' 행복을 느끼는가? (Some Conditions of Seeking Happiness: How Can We Feel Happy?)

  • 이을상
    • 철학연구
    • /
    • 제139권
    • /
    • pp.133-167
    • /
    • 2016
  • 행복은 일상생활을 통해 우리가 느끼는 쾌(기쁨) 외에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이러한 쾌의 탐구야말로 오늘날 심리학, 특히 긍정심리학의 과제이다. 이러한 심리학의 과제를 완수하려면, -덕의 실천과 별도로- 우리의 정서적 삶이 어떤 신경경로에 의해 이루어지는지를 해명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신경적 문제가 있는 사람(예를 들어 사이코패스, 우울증 환자 등)은 덕을 실천하고자 해도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신경과학은 종래의 이성적 통찰로는 알 수 없는 새로운 접근법이다. 그러나 일시적인 신경상태의 확인만으로는 결코 유덕한 삶에 이를 수 없다. 이러한 덕의 실천이야말로 도덕적 에토스 확립의 정점이다. 이것은 전통적으로 이성적 통찰을 통해 일어났다. 하지만 종래의 이성적 통찰과 오늘날 의지의 형성을 목표로 하는 정서적 삶 사이에는 분명히 간극이 있다. 이 간극의 해소 없이 행복을 추구한다는 것은 요원한 과제일 뿐인데, 여기서 심리학의 고민도 깊어진다. 그리하여 도덕적 실천과 신경과학적 사실을 유기적으로 결합해야 하는 임무가 심리학에 새롭게 부과되지만, 이것은 심리학의 논의를 넘어선 (메타)물음이다. 이 물음의 해명이야말로 오늘날 도덕철학의 -그것도 융 복합학적 접근을 통해서만 가능한- 새로운 주제화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