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pineapple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4초

케이크용 신선편의 과일 코팅제의 제조 및 저장 특성 (Preparation of Coating Agent for Fresh-Cut Fruit on Cake and Its Storage Characteristics)

  • 박정은;연수지;김동호;박여진;장금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2019-202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고당도, 고점도 및 저산도를 나타낼 수 있는 케이크용 신선편의 과일을 위한 코팅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설탕, 펙틴, 알긴산, 카라기난, 잔탄검 및 비타민 C를 이용한 코팅제 배합비율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배합비율로 제조된 코팅제의 냉 해동 안정성 및 제조된 코팅제로 코팅한 파인애플의 저장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다양한 코팅 조성물의 배합비율은 60 brix 이상의 당도와 30,000 cP 이상의 점도 및 pH 4 이하의 산도를 나타내면서 고형분 함량이 가장 낮은 55%(w/w) 설탕, 2%(w/w) 펙틴, 2%(w/w) 알긴산, 0.04%(w/w) 카라기난, 0.1%(w/w) 잔탄검, 0.05%(w/w) 비타민 C 및 40.81%(w/w) 정제수의 비율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코팅제의 냉 해동 안정성에서 점도의 경우 3회의 냉 해동 반복 과정까지는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나 4회 반복 과정에서는 미비하게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반면 당도, pH 및 색도는 4회의 반복 과정에서도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리고 코팅제로 코팅한 파인애플의 경우 코팅하지 않은 파인애플에 비하여 중량 감소율, 경도 변화 및 일반세균수 분포가 낮게 나타났으며(P<0.05), 색도의 경우 두 파인애플 모두 저장기간이 진행될수록 L값이 감소하면서 b값이 증가하여 갈변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색도차로 비교해볼 때 코팅된 파인애플보다 코팅하지 않은 파인애플의 진행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5^{\circ}C$에서 보다 $4^{\circ}C$에서의 진행속도가 천천히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케이크에 적용하는 신선편의 과일에 코팅제를 적용하여 코팅하고 저온에서 보관함으로써 신선편의 과일의 저장성 향상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케이크의 유통기한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화제 첨가가 우렁이 중간수분식품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 of Tenderizer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te Moisture-apple snail(Cipangopaludin chinensis malleasta) Products)

  • 양한술;천지연;김병철;강성원;정창호;허호진;조성환;최성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88-293
    • /
    • 2007
  • 본 실험에서는 기능성이 풍부한 우렁이를 가공하여 중간 수분식품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건조제품의 특성인 단단한 조직감을 개선하고자 먼저 우렁이를 천연조직 연화제들을 첨가한 침지액에 침지한 후 냉풍건조를 이용해 반건조 우렁이를 제조하고 이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Glycerol을 연화제로 첨가한 경우 전단력의 감소와 더불어 수분함량 및 수분활성도의 감소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었던 반면, 키위나 파인애플을 첨가한 경우는 전단력은 감소한 반면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SDS-PAGE 분석 결과, 키위나 파인애플의 단백질 분해효소들이 근원섬유단백질 구조를 붕괴시킴으로 결과적으로 전단력이 낮아지는 결과를 가져왔음을 확인하였다. 기호도면에서는 glycerol의 경우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다소 향상되었으나 키위나 파인애플에 비하여 그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키위와 파인애플의 경우는 과일이 지니는 독특한 맛과 향이 전반적인 제품의 풍미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이 함유하는 효소에 의한 근원단백질 붕괴에 의한 조직감 향상은 이들 연화제가 가지는 또 다른 이점이라 할 수 있겠다. 우렁이를 이용한 중간수분 식품 제조시 파인애플을 5%수준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당한 기호도를 가지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중간수분식품의 일반적 특성인 단단한 조직감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온실의 깍지벌레과(노린재목)에 대한 발생조사 (Notes on Armored Scale Species from Greenhouse in Korea (Hemiptera: Diaspididae))

  • 서수정;이성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81-284
    • /
    • 2009
  • 우리나라에 192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72종의 깍지벌레과가 보고되었으며, 이중 9종은 온실에서 보고된 종이다. 온실에서 보고된 9종중 7종은 야외에서 서식하는 자생식물 또는 온실에서 재배되는 식물에서 발생이 확인되지 않았다. 나머지 2종은 온실에서 재배되고 있는 파인애플, 틸란드시아 및 선인장에서 채집 확인되었으나, 야외에서 서식하는 자생식물에서 발생되지 않았다.

Chemometric A spects of Sugar Profiles in Fruit Juices Using HPLC and GC

  • 윤정현;김건;이동선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8권7호
    • /
    • pp.695-702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work is to determine the sugar profiles in commercial fruit juices, and to obtain chemometric characteristics. Sugar compositions of fruit juices were determined by HPLC-RID and GC-FID via methoxymation and trimethylsilylation with BSTFA. The appearance of multiple peaks in GC analysis for carbohydrates was disadvantageous as described in earlier literatures.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were major carbohydrates in most fruit juices. Glucose/fructose ratios obtained by GC were lower than those by HPLC. Orange juices are similar to pineapple juices in the sugar profiles. However, grape juices are characterized by its lower or no detectable sucrose content.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unsweeten juices contained considerable level of sucrose. Chemometric technique such as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was applied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distinguishability of fruit juices based on HPLC or GC data. Principal components plot showed that different fruit juices grouped into distinct cluster.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was very useful in fruit juices industry for many aspects such as pattern recognition, detection of adulterants, and quality evaluation.

ISOLATION AND CHERACTERIZATION OF ACTINIDIN GENE FROM CHINESE WILD KIWI FRUIT

  • Lee, Nam-Keun;Hahm, Young-Tae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27-530
    • /
    • 2000
  • 중국산 야생키위로 total RNA를 추출하고 RT-PCR를 실시해서 증폭된 1.2kb fragment를 얻어 pGEM-T Easy에 cloning한 후 염기서열과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 분석한 결과 actinidin gene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μFIA 바이오 센서를 이용한 포도당 농도 측정 (Measurement of Glucose Concentration Using a μFIA Biosensor)

  • 송대빈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8권5호
    • /
    • pp.465-468
    • /
    • 2003
  • A microdialysis coupled flow injection amperometric biosensor was calibrat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using 7 standard samples from 10ml to 70ml of glucose solution. The output of the sensor increased linearly with an increase in the glucose concentration with an $R^2$ correlation of 0.99. The amperometric biosensor was then applied to measure the. glucose concentration of 2 commercial samples(Orange and Pineapple juice) and the results compared with HPLC. Around 12% error was observed in glucose concentration measurements of the samples analyzed. The sensor has potential in rapid measurement once the calibration is done. Potential for on-line sensing is also discussed.

과실 통조림의 주석 함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in Content for Fruit Tinplated Can)

  • 허윤행;김옥경;김정헌
    • 환경위생공학
    • /
    • 제8권2호
    • /
    • pp.149-154
    • /
    • 1993
  • Authors investigated on the content of tin metals in 108 samples of tinplated canned fruit commercial. 1.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in in 11 kinds of samples of canned fruit that is, apricot nectar was 114ppm and lowest of that 2.5∼3ppm. 2. There was 48.6ppm of tin content in orange nectar A that of pineapple nectar 56.6ppm in higher remarkably and that of the other samples was no appearance difference. 3. There was 114ppm(number 10), 5.3∼56.6ppm(number 8) and 8.7∼48.6ppm(number 3) of tin content in minimum between maximum concentration for difference remarkably and that of others there was no difference considerably,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detection frequency of content range was 8∼ 14ppm in 41. 7% and 2.5"6.6ppm in 36.1% and that of concentration was lower for comparison the others. 5. There was lower contration of tin in all samples for law of food hygiene in limitation 150ppm.

  • PDF

μFIA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자당 농도 측정 (Measurement of Sucrose Concentration Using a μFIA Biosensor)

  • 송대빈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9권6호
    • /
    • pp.553-557
    • /
    • 2004
  • A microdialysis coupled flow injection amperometric $({\mu}FIA)$ biosensor was calibrat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sucrose using 11 standard samples from 2 ml to 70 ml of sucrose solution. The output of the sensor increased linearly with an increase in the sucrose concentration with an $r^2$ correlation of 0.99. The amperometric biosensor was then applied to measure the sucrose concentration of 4 commercial samples (Orange and Pineapple juices, Pepsi, Sprite) and the results compared with those by HPLC. Around $20\~30\%$ error was observed in sucrose concentration measurements of the samples analyzed. The sensor has potential in rapid measurement once the calibration is done. Potential for on-line sensing is also discussed.

옥상녹화지에서 허브식물의 관수처리에 따른 생육특성 (Effect of Irrig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Herb Plants on a Green Rooftop Area)

  • 김동엽;박희령;하유미;류경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96-105
    • /
    • 2018
  • 허브식물을 이용한 옥상녹화시 관수를 실시한 처리구에서 좋은 생육특성을 보인 허브식물은 애플민트, 레몬밤, 스피아민트, 파인애플세이지, 초코민트, 옥스아이데이지, 캐모마일 및 타임이었다. 반면, 무관수 처리구에서 좋은 생육특성을 보인 허브식물은 페퍼민트, 장미허브 및 피버퓨였다. 관수에 따른 생장에 차이가 없는 허브식물은 라벤다, 로즈마리, 탠지, 레몬버베나, 헬리오트로프, 소프워트 및 레이디스맨틀이었다. 관수 및 무관수 처리가 허브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과 최대 광합성 효율을 조사한 결과, 관수처리 시 생장이 증가하고 최대광합성효율이 증가한 허브식물로는 초코민트, 스피아민트, 레몬밤, 애플민트 등으로 나타났다. 무관수시 생장이 증가하고 최대광합성효율이 증가한 허브식물로는 페퍼민트와 탠지였으며, 장미허브는 무관수시 생장은 증가한 반면 최대 광합성효율은 감소하여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관수 및 무관수 처리에 따른 생장 차이가 없으나, 최대 광합성효율이 증가한 허브는 로즈마리와 소프워트였으며, 레몬버베나, 피버퓨, 헬리오트로프 등은 관수 및 무관수에 따른 생장 차이가 없고, 최대 광합성 효율 역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코민트와 페퍼민트는 중부지방에서 월동 가능함과 동시에 겨울에도 잎이 지지 않고 상록으로 유지되어 옥상녹화에 적합한 식물이라고 생각되었다. 반면, 장미허브, 파인애플세이지, 애플민트는 추위에 약하고 월동이 안 되어서 옥상녹화에 부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스피어민트와 레몬밤은 엽색의 변화와 동해 피해로 인해 관상가치는 떨어졌으나, 월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옥상녹화에 어느 정도 적용 가능한 식물로 판단되었다. 중부지방에서 활용 가능한 저관리형 옥상녹화용 허브식물로는 무관수시 생장이 증가하고 월동이 가능한 페퍼민트와 탠지가 저관리형 옥상녹화용 식물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레몬버베나, 소프위트 및 레이디스맨틀도 중부지방에서 옥상녹화용 허브식물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9종의 허브류로부터 ACE 저해활성,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 및 혈전용해활성에 대한 검색 (Screening of Nine Herbs with Biological Activities on ACE Inhibition, HMG-CoA Reductase Inhibition, and Fibrinolysis)

  • 권은경;김영언;이창호;김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91-698
    • /
    • 2006
  • 본 연구는 혈액순환 개선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민간에서 빈번하게 사용하는 허브류인 마조람, 라벤더, 딜, 로즈마리, 히솝, 장미, 레몬밤, 파인애플 세이지 및 에키네시아 등 총 9종 을 실험 시료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부위별 및 용매별로 추출하여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ACE) 저해 활성, hydroxy-methylglutalyl coenzyme A reductase 저해활성 및 혈전용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 수율은 장미꽃이 가장 높았으며 열수 추출의 경우 43.3%였고 70% 에탄올 추출의 경우 45%였다. ACE 저해활성은 열수 추출의 경우 장미꽃이 133.8% 로 가장 높았고 70% 에탄올 추출의 경우에는 파인애플 세이지 잎이 91.2%로 가장 높았다.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의 경우에는 장미꽃이 열수 추출물 48.9%, 70% 에탄올 추출물 80.5%로 모두 높았다. 혈전용해활성도 장미꽃에서 열수 추출이나 에탄올 추출물 모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장미꽃 추출물의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