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local election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17초

위암의 수술중 방사선 치료 (IORT in Gastric Cancer)

  • 김명세;강철훈;김성규;송선교;권굉보;김흥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1호
    • /
    • pp.87-91
    • /
    • 1991
  • 영남대학병원에서는 1988년 6월 15일부터 1990년 9월 15일까지 절제가능한 국소 진행된 위암 환자중 원격 전이를 추인할 수 없었던 환자 총 28명을 prospective randomized protocol에 의한 치료를 계획하였다. 28명중, 개복후 절제가 불가능했던 환자 3명과 stage la로 판명된 환자 1명을 제외 한 24명에서 외과적 근치절제수술후 1500cGy를 giuev의 전자선을 이용하여 1회에 조사하였다. 외부 방사선 치료는 수술후 4주 이내에 시작하여 하루 180 cGy 주 5회 치료법으로 $4300\sim4500$ cGy를 조사하였다. 항암요법은 protoco떼 의하여 5-FU, Mitomycin-C, Adriamycin, Uraful을 여러 가지 조합으로 투여하였다. 3개월에서 31개월 간의 추적기간 중에 방사선 조사와 관계되는 심한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짧은 추적 기간이므로 생존율을 산출할 수 없겠으나 수술중 방사선치료, 외부방사선 치료와 여러가지 항암제를 병합 투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심한 부작용이 발견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현재까지 국소재발이 한 예에서도 발견되지 않았음으로 수술중 방사선 치료의 국소 재발의 억제 및 방지의 효과가 확실시되며 계속되는 추적 검사에서도 좋은 생존율이 기대된다.

  • PDF

조선시대 관영수공업에서 입사장(入絲匠)의 직무 유형과 역할 (Joined in the government-owned handicraft industry during the Joseon Dynasty Job type and role)

  • 김세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2호
    • /
    • pp.216-239
    • /
    • 2021
  • 공예품의 표면에 홈을 파고 금속 재료를 감입하는 시문 기법인 입사(入絲)는 조선시대 왕실의 일상 생활용품, 의례품, 관청의 공적 기물에 두루 사용되었다. 조선시대 관영수공업은 중앙관청에 소속된 경공장(京工匠), 지방의 외공장(外工匠)으로 구성된 관장(官匠)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입사장은 경공장에 편입되어 왕실과 중앙관청의 공예품 입사시문을 담당했다. 현재 전해지는 조선시대 입사장에 대한 기록은 관영수공업에 집중되어 있다. 관영수공업에서의 입사장의 배속 관청은 공조와 상의원, 군영으로 나눌 수 있으며, 여기에 앞의 두 소속 장인의 도감 차출이 있다. 입사공예품을 사용하는 관청과 군영에 입사장을 배치하고, 제작 마감 기한이 촉박해 평소보다 세밀한 분업과 협업이 전개되었던 도감에서는 입사장을 입사장, 은입사장으로 나누어 공역에 투입했다. 이를 통해 제작 상황과 보유 기술을 고려해 유동적으로 장인을 배치해 공예품 제작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제작 체제의 운영은 장인의 손기술로 모든 공예품을 제작해야 했던 근대 이전 조선 사회에서는 필수적인 것이었다. 본 논문은 입사장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관영수공업에서 장인의 역할과 직무 형태를 유형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직능의 특성과 재료, 인력 수급 등 세부적으로 적용되는 내용은 다르지만, 조선이 추구했던 기본적인 관영수공업 정책의 틀 안에서 장인의 기술을 통한 다양한 목적의 공예품 구현을 위한 여러 제도적 장치는 거의 공통적이었다. 앞으로 의궤에 기록된 재료와 도구, 소수이지만 문헌에 기록된 관장과 사장의 기록을 더해 기술 문화를 분석한다면 조선시대 공예를 보다 입체적으로 접근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지역구 선거 경쟁도와 군소정당 지지자의 전략적 분할투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Electoral Competition in the Constituency and Strategic Split-ticket Voting Behavior of Supporters of Minor Parties Focusing on the 21st Korean General Election)

  • 김한나
    • 의정연구
    • /
    • 제26권2호
    • /
    • pp.35-71
    • /
    • 2020
  • 2020년 4월 15일에 치러진 제21대 총선은 한국에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적용되었던 최초의 선거였다. 선거제도 개혁의 본래 취지는 상대다수제로 치러지는 지역구 선거의 폐단을 줄이고 비례성을 높임으로써 유권자의 선호에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연동형 방식을 도입해 제도를 힘들게 바꾸었음에도 지역구 후보 투표에서 유권자들의 선호에는 여전히 왜곡이 발생하고 있었다. 특히 후보 간 선거 경쟁이 심한 지역일수록 군소정당 지지자들은 자신의 선호대로 군소정당 후보에게 투표하기 보다는, 당선 가능성이 더 높은 거대정당의 후보에게 사표방지 심리에 따라 투표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군소정당 지지자의 전략적 분할투표 행태는 지역주의 균열이 강하게 작동하는 영호남 지역보다는 그렇지 않은 지역들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로 제도를 개혁했지만 거대정당에게 보다 유리한 결과로 이어지는 유권자들의 전략적 분할투표 행태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선거제도 개혁이 당초 목표로 했던 비례성 개선 효과에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