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library service

검색결과 1,727건 처리시간 0.036초

"책단비" 도서대출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ck DanBi" Library Circulation Service)

  • 조찬식;이혜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5-253
    • /
    • 2012
  • 도서대출서비스는 도서관 자료를 관외로 빌려주는 것으로 도서관이 제공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서비스이다. 그러나 최근 경영마인드의 확산과 정보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도서관서비스의 패러다임이 이용자가 찾아오는 서비스에서 이용자를 찾아가는 서비스로 바뀌어가고, 도서관 간의 네트워크가 확대됨에 따라 도서대출서비스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개별 도서관은 도서대출서비스의 변화에 발맞추어 가용자원을 활용하여 특성화에 대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은평구립도서관에서 시행되는 책단비 도서대출서비스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변화하는 도서대출서비스의 구체적인 내용을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네트워크의 확산', '특성화'라는 관점에서 조사 분석하여 그 의의를 찾아보고 도서대출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공공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의 상관관계분석 및 매개변수 (Correlation Between Public Library Service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and Moderator Variables)

  • 이성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3-10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선, 고객만족도와 충성도사이의 상관관계가 알려진 것처럼 높지 않다는 일부 경영학분야의 연구결과가 공공도서관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를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들 사이의 상관관계분석에도 의미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하는데 있다. 공공도서관 서비스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사이의 상관관계는 존재하나 그 정도는 높지 않다, 2) 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들 중 '새로운 도서관 서비스 이용의사'라는 변수사이의 상관관계가 가장 낮다, 3) 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나타내는 지표들 중 '타인에게 사용을 권할 의사'라는 지표와 이용자만족도와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다. 다음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간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의 존재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목적이다. 데이터의 질적분석을 통해 발견된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다. 1) 지리적 접근성, 2) 서비스의 다양성 부족, 3) 주차문제, 4) 도서관 자료의 부족 및 최신성과 다양성 부족, 5) 도서관내의 편의시설 부족.

도서관봉사의 변화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Determining Factors of Change in Library Service)

  • 최성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권
    • /
    • pp.83-102
    • /
    • 1973
  • The library as a social agency must study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and seek to improve its service for achieving the external objectives for which it was created. The study is an attempt to define the determining factors involved in change in library service. Library service evolves as a consequence of social need, which comprises unconventional demands of emerging areas in the subject ratio of literature, change in methods of research, change in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community, and change in the user behavior. Since the library is an agency of communication, growth and specialization of information, and increase in variety of information media have effects on library service. The library is one of the many communication agencies in society, and increase or decrease in their programs can be determining factors of change in library service. Today, libraries depend more and more upon interlibrary cooperation to allow them to overcome their limitation in resources and time, and they can bring about changes in their service by adjusting themselves to the interlibrary cooperation arrangements available. Finally, library service is rendered as a result of theorizing as to what the library might or should do, and naturally theories or change in them may be determining factors of library service.

  • PDF

시각장애자를 위한 도서관 정보봉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service for the visually disabled persons)

  • 손문철;김영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3권
    • /
    • pp.29-58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ibrary service for the blind and visually disabled persons. the coverage of this study is 1) The Concept and categorization of blind and visually disabled persons 2) History of library service for the blind and visually disabled persons. 3) Activities and current situation of library service for the blind and visually disabled persons. 4) Activities of library service for the blind and visually disabled persons in Korea. 5) problems of library service for the blind and visually disabled persons. The followings are some of major points revealed in problems of library service for the blind and visually disabled persons. 1. Attitudinal barriers which grow out of prejudice because of lack of public awareness of all the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blind and visually disabled persons. 2.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reading aids and innovative technology improving access to information for the blind and visually disabled persons. 3. Extension of information service in public library for the blind and visually disabled persons. 4. Copyright problems. 5. Facilities or architectural problems for the blind and visually disabled persons.

  • PDF

도서관서비스헌장에 관한 이론적 연구 (A Theoretical Study of fe Library Service Charter)

  • 이상복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87-305
    • /
    • 2006
  • 이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실행하고 있는 도서관서비스헌장제도에 대해 헌장제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헌장내용에 관한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헌장제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위해 영국의 시민헌장. 미국의 고객서비스헌장, 우리나라의 행정서비스헌장의 제정배경과 원칙을 규명하였고, 여기서 도출된 제정기준과 원칙을 근거로 경기도 B 공공도서관의 헌장내용을 실증적으로 분석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인 헌장내용은 헌장제정기준을 어느 정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헌장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서비스 이행표준의 내용이 도서관의 일방적이며 수동적 대응수준에 불과하여 타당성과 실현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U-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Library Service)

  • 조찬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81-104
    • /
    • 2013
  • U-도서관 서비스는 기존에 방문을 통해서만 가능했던 도서 대출 반납서비스를 인터넷, 스마트폰 등으로 도서를 검색해 예약신청하고, 가까운 지하철역 등에 설치된 무인대출기를 통해 수령 및 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서비스이다. 그러나 U-도서관 서비스는 양적이나 질적으로 아직도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U-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활성화에 일조하기 위하여 무인대출서비스에 대하여 조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무인대출서비스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무인대출서비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관한 조사를 통하여 무인대출서비스에 대한 개념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둘째, 현재 무인대출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도서관을 조사하여 무인대출서비스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셋째, 무인대출서비스를 시행하는 도서관의 운영과정과 문제점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무인대출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 서비스 포지셔닝 전략 (Public Library Service Positioning Strategy)

  • 이성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79-30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서비스이용자를 충성도에 따라 세분화하고 각 세분시장을 목표시장으로 하는 공공도서관서비스 포지셔닝전략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결과는 질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서비스에 대한 충성도가 낮은 집단에 제시된 포지셔닝전략은 첫째, 이동도서관서비스의 확대실시 및 셔틀버스의 활용, 둘째,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이용자조사, 셋째, 공공도서관 서비스 홍보방식의 다양화, 넷째, 이용자조사를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자료 구비 등 이었다.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집단에 대한 포지셔닝전략은 첫째, 내부마케팅, 둘째, 도서관 시설 및 설비 품질의 일정 수준 유지, 셋째, 취학 전 아동 및 초, 중, 고등학생과 학부모를 위한 독서프로그램 기획 및 제공이었다.

도서관서비스 품질요인이 유학생의 도서관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Library Service Quality on International Students' Continuous Use Intention)

  • 동정문;오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415-437
    • /
    • 2021
  • 이 연구는 도서관서비스 품질이 유학생의 도서관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도서관불안이 두 변인들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S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213명을 대상으로 도서관서비스 품질, 도서관 지속적 이용의도, 도서관불안을 측정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으로 변수 간의 관계를 밝혀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서비스 품질은 도서관 지속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도서관불안은 두 변인의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학생의 도서관 이용 개선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의 측정 (Measuring Service Quality in Academic Libraries)

  • 박동진;윤동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83-20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service quality measure and service quality level between one sample library and the other. Most typically, service quality is defined in terms of reducing the gap between customer expectations and the actual service provided. This research also focuses on gap reduction. Service quality concept was originally discussed in a commercial environment and may require some adaptation to the non-commercial environment of the academic library. A revised service quality measure that developed by P. J. Calvert and P. Hernon(1996) was used for thi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service quality measure of this research was reliable(99 service quality items scale's Cronbach Alpha coefficient was 0.983) and was validated by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Therefore service quality measure of this research will be applied positively for academic libraries. And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service quality level of sample academic library was inferior to that of the others. The service quality of sample academic library should be improved to meet the customer's needs and expectations immediately.

  • PDF

책이음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for the Activation of Library One Service)

  • 강필수;최시내;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41-16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책이음서비스의 개선 및 발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책이음서비스 참여 지역센터 및 참여 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현황조사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가 책이음서비스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으나, 이용자와 관리자 측면에서의 서비스 개선과 다양한 고려사항이 존재하였다. 특히 미들웨어 서버의 불안정 문제 해결과 규정 개정의 필요성, 이용자 서비스의 확대와 실무 지원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이를 위하여 책이음서비스 기능 개선과 신규 서비스 제공, 규정 개정과 관련 지침 개정 등 정책 지원과 서비스 운영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책이음서비스 중장기 발전의 로드맵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