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investment firms

검색결과 367건 처리시간 0.022초

국내 R&D 제조기업의 효율성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R&D 및 특허효과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fficiency in Korean R&D Manufacturing Firms: Focused on the Effects of R&D and Patents)

  • 임소진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4호
    • /
    • pp.173-187
    • /
    • 2021
  • 투입 증대를 통한 경제성장 전략은 급격히 변화하는 경제환경과 맞물리면서 한계를 보이면서 기업의 투입 대비 효율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제조기업 중 연구개발 투자액 상위 938개 기업의 2005~2018년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의 혁신을 위한 투입인 연구개발집중도와 연구개발 성과인 특허가 모두 기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기업의 규모, 부채비율, 수익성 등도 기업의 효율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기업의 낮은 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한 지식경영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해외진출 중소기업의 지식이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Transfer of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for Foreign Investments)

  • 정헌배;윤형보
    • 통상정보연구
    • /
    • 제13권2호
    • /
    • pp.121-148
    • /
    • 2011
  • 우리 중소기업의 사업규모는 지난 20년간 질적인 면과 양적인 변의 동반성장을 거듭하여 왔다. 최근에는 우리나라 전체 사업체수의 99.9%를 넘어서고 있으며 산업 부가가치총액 측면에서도 50% 수준에 이를 정도로 비약적으로 신장되었다. 중소기업이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짐에 비례하여 해외투자 규모도 역시 동반 성장하고 있다. 특히 세계경제가 개방화되고 블록경제가 심화되는 추세와 더불어 임금상승, 통상마찰 증대 등 대내외 환경변화 속도도 가속화되고 있어 이제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은 생존 번영을 위한 핵심적 전략으로까지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해외진출을 위한 전략적 도구의 하나인 지식이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해외 현지기업으로의 성공적인 지식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우리 중소기업 해외진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해외 진출 경험이 있는 표본 중소기업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국내기업과 해외 현지기업간의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성공적인 지식이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해외 진출을 계획하거나 추진 중인 중소기업은 성공적인 해외투자를 위해 경제적 수익성 모델 검토와 커뮤니케이션 모델 검토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사의 조직 문화와 관련 업무 프로세스를 명문화하는 제도적 장치를 보완하고, 협력업체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채널 구축이 필요하다.

  • PDF

창업투자회사의 특성과 재무안정성 및 수익성지표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Characteristics, Financial Security Indices, and Financial Profit Indices of Korean Private Venture Capital Firms)

  • 이주헌;김성민
    • 산학경영연구
    • /
    • 제19권1호
    • /
    • pp.157-174
    • /
    • 2006
  • 과거 국내 벤처캐피탈 회사는 정부의 지원과 보조금에 의존하여 사업을 유지하였기 때문에 관리노하우, 선진투자기법 및 관리지원능력 등의 역량이 부족해도 생존할 수 있었다. 하지만, 오늘날 벤처캐피탈 회사의 환경은 자율과 책임과 경쟁원리가 적용되는 상황으로 점점 바뀌고 있다. 벤처캐피탈 회사도 다른 금융기관과 마찬가지로 자산과 부채를 적절히 관리함으로써 위험을 최소화하고 수익을 극대화시켜 기업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Modigliani와 Miller(1958)가 전통적 최적자본구조의 존재에 대해 반론을 제기한 이후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아직까지 벤처캐피탈 회사의 자본구조에 대해 연구한 논문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국내 창업투자회사의 기업특성과 자본구조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투자회사의 웹페이지와 공시자료를 기초로 국내 창업투자회사의 기업특성 및 재무지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상관관계분석과 t-검정을 통해 오래된 창업투자회사와 신규창업투자회사 간에 유동비율과 매출액 순이익률 값이 차이가 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비록 우리나라 창업투자회사가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에 대한 노하우가 부족하다고 알려졌지만 오래된 창업 투자회사는 재무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는 벤처투자에 대한 노하우가 차츰 쌓이고 있다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는 결과이다.

  • PDF

소규모 기업은 왜 쉽게 성장하지 못하는가? 기업규모별 연구개발 활동의 비교분석 (Small Business Growth Trap and R&D Investment)

  • 박선현;선우희연;이우종
    • 중소기업연구
    • /
    • 제43권1호
    • /
    • pp.1-33
    • /
    • 2021
  • 기업은 연구개발 활동을 통하여 성장기회를 포착하며 성장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연구개발 활동은 성장의 필요조건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상장기업들의 기업규모별 연구개발비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소규모 기업의 성장가능성을 타진한다. 1982년부터 2014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가총액 상위 20%의 기업(대규모 기업)은 하위 20%의 기업(소규모 기업)이나 중위 60% 기업(중규모 기업)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연구개발비를 지출해왔는데, 이 연구개발 지출규모의 차이는 큰 폭으로 확대되어 왔다. 또한 당기의 연구개발비와 미래 5년 기간의 연구개발비의 상관관계를 추적한 연구개발 지출의 지속성은 소규모 기업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대규모 (소규모) 기업의 연구개발 지출은 다른 기업들의 연구개발 지출에 비하여 미래 5년간의 수익성을 더 크게 (더 적게) 견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을 통한 가격결정력을 분석한 추가분석에서는 대규모기업과는 대조적으로 소규모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은 상품시장에서의 가격결정력을 제고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셋째, 미래 수익성의 변동성으로 살펴본 연구개발 지출의 위험도는 소규모 기업에서 가장 높았고, 연구개발지출이 미래 특허출원으로 귀결될 가능성도 가장 낮았다. 넷째, 이처럼 대규모 기업이 효율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적으로 늘려가는 상황에서, 연구개발 지출여력이 가장 낮은 소규모 기업이 향후 5년간 더 큰 규모의 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은 다른 규모의 기업의 성장가능성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규모기업과 대규모기업의 연구개발지출의 차이가 클수록 산업내 경쟁구도가 더욱 집중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개발 활동의 관점에서 소규모 기업의 성장한계(small business growth trap)에 대한 설명을 제시한다.

우리나라 해외어업투자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by Korean Fishery Firms)

  • 정현우;하종욱;김기수
    • 수산경영론집
    • /
    • 제22권1호
    • /
    • pp.77-100
    • /
    • 1991
  • This study has made an attempt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FI) by Korean Fishery firms. The questionaire survey on individual firm's recognition and the determinants of Foreign Fishery Investment (FFI) was performed, yielding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ain object of FFI is to reserve fishing ground. The result of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import ratio for domestic market (DOM) is a significant variable of FFI. These two facts indicate our FFI is resouree-oriented in terms of the object and motive. Second, FFI is primaily determined by firm-related factors rather than country- related factors. The significant variable in firm-related factfors is the number of departments of the investing firm (DEPT). Another notable result is that fishing fee is not an influential variable in FFI decision.

  • PDF

Risk Sharing in the Commercialization Step of National R&D Project

  • Han, Kyeong-Hee;Kim, Soung-Hie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47-155
    • /
    • 1986
  • Nations, especially developing countries, hope to license the technology developed at the expense of govern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vestment to the corresponding firms for commercial exploitation. Since commercial process is owing to lots of risk, firms have to grope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partnership in order to reduce the risk. Therefore, a joint venture between firms would be needed to share the risk. This methodology suggests a way that probabilistic information of commercial project payoffs can be obtained using experts in project evaluation committee and the ratio of individual firm's investment size can be derived using risk sharing concept. Also simple examples are given.

  • PDF

산학협동(産學協同)에 영향(影響)을 주는 요인분석(要因分析) - 문헌(文獻) 분석(分析)을 중심(中心)으로 -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raction between University and Industry)

  • 민창기
    • 교육시설
    • /
    • 제2권1호
    • /
    • pp.15-26
    • /
    • 1995
  • This paper discussed non-physical factors, such as the level of use of organizational channels and the level of R&D investment of the firm. It also explored physical factors such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niversity and industry, transportation conditions between the two, and the availability (surplus capacity) of professors' or firms' research facilities that would affect the interaction such as the contacts in connection with research grants and consultations by professors to high-tech firms. This paper pointed out that the use of organization channel, the level of R&D investment, the availability research facilities of the university and high-tech firm, transportation conditions between the two, subject matter compatibility between professors' areas of expertise and firms' industrial activities, professors' (or staff) research capabilities and professors' (or staff) research times affec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and industry. It also foun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niversity and industry affect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in the opposite direction.

  • PDF

산업보건사업의 경제성 분석 (A Cost-Benefit Analysis of Industrial Health Promotion Program in Korea)

  • 김진현;양봉민;이석연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8-99
    • /
    • 1993
  • There has been investments by firms to protect workers' health and to improve their health status. Most of the investments are made on the ground of legal requirement. However many argue that the amount of investments made falls short of the legally required level. One of the reasons why firms are not active in undertaking required investments is that they are not certain whether such investment is economically beneficial to them or not. Using CBA (Cost-Benefit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firms' investments on workers' health are economically justifiable or not. All kinds of expected costs and benefits are itemized and calculated, and costs are compared with benefits. The result shows that if firms fully undertake the legally required investments, total expected costs amount to W453.2 billion and expected benefits accruing to reductions from medical care costs, workers compensation costs, litigation costs in case of legal suit, work days lost, and etc. comes up to W2,086.8 billion. In other words, economic benefits from firms' investment on industrial health far outweighs their costs. As the economy grows, the probability of having various occupational disease increases. It is well conceivable from this study outcome that, the higher the probability, the greater the social loss would be, and the greater the benefits from proper investments on workers' health.

  • PDF

한국기업의 배당과 투자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의 영향력 연구 (The Impact of Foreign Ownership on the Dividend and Investment Behaviors of Korean Firms)

  • 강신애;민상기
    • 국제지역연구
    • /
    • 제14권2호
    • /
    • pp.79-105
    • /
    • 2010
  • 본 논문은 외국인투자자가 국내 기업의 배당과 투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2001년에서 2008년까지 거래소에 상장된 12월 결산 비금융업체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외국인투자자의 경우 배당성향을 증가시켰으나 이러한 경향은 최근으로 올수록 약화되었다. 또한 투자목적을 구분한 경우 기업의 배당성향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외국인 투자자들의 지분이 증가할 경우 고정자산증가율과 유형자산증가율로 본 설비투자는 감소하였으며 5%이상 외국인 투자자와 경영참가목적 외국인 투자자의 경우 연구개발비율에서 유의한 양(+)의 계수값을 보였다. 또한 5%이상 외국인 투자자의 영향력은 경영참가목적 외국인 투자자에 의해 주도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과 기업의 배당 의사결정 간의 내생성 문제를 고려하기 위해 HT-IV/GLS 방법을 선택한 결과와 회귀분석, 고정효과 모형 간에 계수 값의 크기와 유의성에 차이가 있어 내생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려주었다.

벤처캐피탈 투자가 벤처기업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enture Capital Investment on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 박지영;신현한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1호
    • /
    • pp.1-15
    • /
    • 2020
  • 본 연구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기업을 대상으로 상장 전·후 벤처캐피탈 지원여부, 벤처캐피탈 유형 및 지분율에 따라 벤처기업(피투자 기업)의 혁신역량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벤처캐피탈 유형은 기업벤처캐피탈(CVC)과 독립벤처캐피탈(IVC)로 세분화하고, 혁신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특허청이 보유한 벤처기업의 특허자료를 활용한다. 특허건수(출원, 등록)와 더불어 특허의 피인용횟수를 고려하여 벤처기업의 혁신성과를 엄밀히 측정한다. 분석 결과 벤처캐피탈 지원여부는 벤처기업 상장 이전에만 특허건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기업벤처캐피탈 지원을 받은 벤처기업이 독립벤처캐피탈 지원을 받은 경우보다 상장 전·후 특허수에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반면 피인용횟수에서는 벤처캐피탈 지원에 따른 성과를 찾을 수 없었다. 한편 벤처캐피탈의 지분율과 벤처기업의 혁신성과 간에는 역U자형 관계를 보였다. 즉, 벤처캐피탈 지분율이 높을수록 벤처기업의 혁신역량은 증가하지만, 일정 지분율이상에서는 오히려 벤처기업의 혁신에 저해가 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벤처캐피탈의 지원여부 및 유형보다는 피투자기업에 대한 지분율이 벤처기업의 혁신성과에 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