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orean engineering

Search Result 239,652, Processing Time 0.164 seconds

DaHae: Japanese Morphological Analyzer for Japanese to Korean Machine Translation (DaHae: 일한 기계번역을 위한 일본어 형태소 분석기)

  • Yuh, Sang-Hwa;Jung, Han-Min;Chang, Won;Kim, Tae-Wan;Hwang, Do-Sam;Park, Dong-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5.10a
    • /
    • pp.195-207
    • /
    • 1995
  • 일본어는 한자, 히라가나, 가다가나 등 다양한 종류의 문자를 사용하며 이들의 혼용 비율이 매우 높아 띄어쓰기를 하지 않아도 문서의 가독성을 유지한다. ICOT 사전, EDR 사전, ATLAS I/JK사전 등 기존의 전자 사전에서 복합 자종의 표제어가 차지하는 비율(한자+히라가나의 표제어 제외)은 평균 8.8%로 그 수가 매우 작다. 따라서, 문장 내에서 자종의 변화는 단어를 구분하는 하나의 delimiter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형태소 분석의 전단계로 전처리기를 두어 자종정보(character type information)에 의한 fragment 분리 및 예외 단어, 정형표현 처리를 수행하며 각 fragment 의 형태소 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형태소 분석기는 전처리기의 처리 결과를 입력받아 각각의 fragment를 전처리기가 제시한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여 입력 문장의 가능한 모든 분석을 추출한다. 이 방법은 불필요한 사전 탐색과 접속 체크 회수를 줄여 분석 성능을 향상시킨다.

  • PDF

A Korean Generator using Left-Right Connectivity Information (DaMaN: 좌우접속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생성기)

  • Chang, Won;Yuh, Sang-Hwa;Jung, Han-Min;Kim, Tae-Wan;Hwang, Do-Sam;Park, Dong-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5.10a
    • /
    • pp.121-130
    • /
    • 1995
  • 기계번역은 대상 언어를 해석하고 변환하여 목적언어의 대역어를 선정한 후, 목적언어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대상언어의 분석 단위에 따라 대역어의 생성 단위 또는 깊이가 다르다. 그러므로, 특정한 시스템을 위한 생성기는 그 시스템의 해석 또는 변환단계에서 추출되는 대역어에 의존하게 되어 시스템 호환성을 상실한다. 따라서, 중복된 생성기의 개발을 피하기 위하여 번역시스템 특성에 국한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한국어 형태소생성기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해석에 사용되는 한국어 형태소 좌우인접정보를 이용하여 한국어형태소를 생성하는 시스템인 DaMaN을 소개한다. 세분류된 형태소의 활용과 접속, 조사의 변동, 띄어쓰기를 고려한 형태소 좌우접속 정보를 임의 조합 가능한 복합형태 (합성어)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따라서, 대상언어의 분석단위에 제한 받지 않으므로 시스템 호환성이 있다.

  • PDF

A Systems Engineering Process Refinement : Focused on Technical Process (시스템 엔지니어링 공통 프로세스 개선 연구 : 기술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Lee, Taekyong;Lee, Joong-Y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ystems Engineering
    • /
    • v.13 no.1
    • /
    • pp.41-50
    • /
    • 2017
  • Systems engineering is being applied to various fields of industry such as national defense, aerospace, transportation, railway,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ies. But in Korea, systems engineering has been selectively applied to government-driven projects such as space rocket development projects and unmanned flight development projects. And systems engineering processes introduced from international systems engineering standards has been directly applied to those projects. Unfortunately, this application method is not recommended as it requires highly experienced systems engineers. From our previous paper, we have proposed that domain specific engineering standards should be developed to be used as references for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engineering guide, so that more successful engineering performances can be achieved. And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 refinement of systems engineering processes from international systems engineering standards as they are bases of domain specific engineering stand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