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dance performance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5초

인도 신체표현(āṅgika abhinaya)체계의 전통성과 정체성에 관한 고찰 - 『나띠야 샤스뜨라』의 규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dition and Identity of Bodily Expression System in India)

  • 허동성
    • 공연문화연구
    • /
    • 제18호
    • /
    • pp.223-255
    • /
    • 2009
  • 이 글은 현전하는 인도 최초의 연극론서인 "나띠야 샤스뜨라"의 규정을 중심으로 인도의 전통연극과 무용에 계승되어 온 신체표현기법인 앙기까 아비나야의 전통성과 정체성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마르기와 데시, 나띠야다르미와 로까다르미의 양식구분 개념, 아비나야의 분류, 앙기까 아비나야의 의의와 중요성, 기원과 형성과정, 범주와 종류, 계통성과 지역적 차이를 살펴본다.

향토성에 의한 울산덧배기춤의 형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ts Formation of the Ulsan Dutbeki Dance: Focusing on Local Features in the Ulsan District.)

  • 최흥기
    • 공연문화연구
    • /
    • 제41호
    • /
    • pp.187-218
    • /
    • 2020
  • 덧배기는 경상도에서 풍속으로 전래된 향토춤이다. 이 연구는 울산지역의 덧배기춤이 향토성에 의해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진행으로 첫 장은 울산지역의 향토성에 의한 풍속을 지역적으로 한반도 동남부 해안지역의 풍속, 역사적으로 군사문화에서 전래된 풍속, 그리고 사회적으로 마을 동제와 들놀음에서 전래된 풍속, 울산사람들이 가진 말투와 몸짓에서 본 풍속 등에서 고찰하였다. 다음 장은 지역적 풍속에 의한 울산덧배기춤의 형상화를 환경적으로 군사 문화적인 풍속에서 무예의 숭상과 군사훈련과 연관된 울산덧배기의 형상, 지리적으로 경상도 해안지역의 특성에 의한 울산덧배기 춤의 형상, 그리고 사회적으로 울산마을축제에서 주민들의 몸짓에서 본 울산덧배기의 형상으로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 경상도 지역 간의 향토성과 덧배기 춤 유산의 비교는 차후 연구에서 연계한다. 연구 성과는 울산덧배기 춤의 형상화를 지역 향토성에서 전래된 풍속으로 고찰한 것이다.

스트레치 소재를 사용한 현대무용 타이츠팬츠원형 설계 (Designing of the pattern of Tight Pants, an article of Modern Dancewear, Made of Stretchy Materials)

  • 김순분;곽명숙;박채련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5-5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develop a Pattern of tight Pants, featuring excellent appearance, movement and suitability for the lower body, which are widely used as a basic item for modem dance, aerobic dance and dance sports, and to provide manufacturing data for the pa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118 People who majored in dance, using questionnaires asking questions about their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f dancewear The experimental dancewear was produced, using 5 kinds of patterns for tight pants on the market, to find out the most excellent pattern in appearance and movement performance. Then, the most excellent pattern was again improved to produce a pattern for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Regarding shops where they purchased dancewear exclusive shops accounted for 97%, their average price was ₩30,000 to ₩50,000(51%), and dancewear separa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alves was most preferred(56%). Cotton span was preferably used for a dancewear material(71%), and their dissatisfaction of a fit accounted for 38% which appeared to be highly unsatisfied with its suitability. 2. When S types of experimental dancewear prepared with a comparative pattern were tested by the senses, it was shown that the comparative pattern of experimental wear number 5 with a strip w3s excellent in movement functions and appearance. 3. The basic items necessary to design the tight pants' study pattern were categorized into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crotch depth and slacks length. The shrinkages of 15% in width, 10% in crotch length md 20% in inside leg length were applied, respectivel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and the experimental dancewears' comparative patterns. 4. When the improved study pattern for this study was tested by the senses, it showed higher scores in movement functions and appearance than the comparative pattern did, which confirmed the study pattern's improvement of functions and appearance.

<연화대>의 시대별 변천과 전승 (The Transition and Transmission of Yeonhwadae-Jeongjae through the Ages)

  • 신태영
    • 공연문화연구
    • /
    • 제32호
    • /
    • pp.427-463
    • /
    • 2016
  • 본고는 <연화대>의 기원설을 다섯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 <연화대>가 중국의 당 송, 한국의 고려 조선 등 시대별로 어떻게 변모되어 오늘날까지 전승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국의 <자지무>와 고려의 <연화대>는 매우 달랐으며, 조선의 <연화대>도 공연자의 수와 의상 및 음악 등에 있어서 매우 큰 변화가 있었다. 이에 따라 오늘날 <연화대>의 복원과 공연에 있어서도, 각 시대별로 중요 <연화대>를 선정하여 복원하려는 노력과 함께 우리시대를 대표할 만한 새로운 <연화대>를 창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그 외양뿐 아니라 그 내면의 정신적 계승도 중요하다. 곧 <연화대> 공연에 있어서, 우리 시대의 가장 시급한 문제, 가장 중요한 문제를 담아 태평성대를 축원해야 할 것이다.

고성오광대 문둥북춤 춤사위 연구 - 시대적 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ance movements of Go-sung Five-Clown Leper Drum Dance - Focusing on the variation over time -)

  • 허창열
    • 공연문화연구
    • /
    • 제37호
    • /
    • pp.5-31
    • /
    • 2018
  • 고성오광대 제1과장 문둥북춤은 양반의 자손으로서 조상들의 죄업으로 문둥병에 걸려 고통으로 괴로워하다 신명을 통해 극복한다는 내용을 대사 없이 춤으로만 표현한다. 고성오광대 문둥북춤의 문화재 지정 이후 현재까지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문둥북춤의 춤사위가 더 많아지고 동작이 구체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65년 문둥북춤 춤사위부터 2000년 문둥북춤까지 춤사위가 5개에서 20개로 확장되고 이전보다 구체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문둥북춤에서 사용하는 소도구 북의 표현하는 방식이 65년의 경우 북을 치고 어르는 춤사위만 있었다면, 1988년의 경우 현재와 같이 북과 북채를 무대에 두고 등장하고 춤사위도 14개로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00년 문둥북춤의 경우 문둥이가 북을 잡고 난 이후부터 신명나게 춤을 추며 자진모리장단으로 발전되는 형태는 이전보다 춤사위가 더 다양해지고 이야기 구조를 좀 더 명확하게 표현하는데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고성오광대의 대표적인 춤사위 배김새가 1965년엔 보이지 않고 1969년엔 한 방향으로만 배김사위를 하는데 1988년과 2000년 문둥북춤에서 보여지는 배김사위는 좌우로 대칭하여 한 번씩 연행해 현재의 배김사위와 같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봉수당진찬(奉壽堂進饌)의 무대와 공연 요소 분석 (Analysis of the Stage and Performance Elements for Bongsudang-jinchan Banquet in Joseon Dynasty)

  • 송혜진
    • 공연문화연구
    • /
    • 제18호
    • /
    • pp.413-444
    • /
    • 2009
  • 본고에서는 1795년 화성 행궁에서 정조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맞아 열린 봉수당진찬의 의례와 악무를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및 "정조실록", "홍재전서(弘齋全書)"등의 봉수당진찬 의례기록과 <화성능행도병>등의 도상자료, 일기체의 한글가사 작품인 이희평(李羲平)의 <화성일기(華城日記)>등의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무대와 공연요소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잔치의 주인공에게 충(忠)과 효(孝)의 의미를 담은 음악과 춤, 꽃과 음식, 술과 글을 예를 갖춰 올리는 궁중연향은 예악(禮樂)의 원리에 바탕을 둔 국가의례로서 조선왕조 500년 동안 고유한 음악문화를 형성해왔다. 그러나 조선왕조가 막을 내리면서 '예'라는 상징적이며 총체적인 틀 안에서 상호 유기적인 관계에 놓여있던 연례의 음악과 춤들이 개별 악곡과 춤으로 해체되어 '작품화'되었고. 궁중음악과 춤의 철학이나 원리, 시공간에 대한 이해는 현저히 축소된 채, 음악과 춤의 전통은 형식과 예술적 표현 중심으로 변화해왔다. 1990년대 이후, 궁중의례 전통의 재현(再現)을 목적에 둔 연구와 행사가 추진되면서, 이와 연관된 공연예술 활동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봉수당진찬은 다양한 방식으로 현대무대화 하고 있다. 그러나 원전(原典)의 재현(再現) 및 복원(復原) 문제, 완성도 및 예술성에 대한 문제는 과제로 남아있으며, 지금까지는 "원행을묘정리의궤"에 수록된 의주의 외형적 재현에 관심을 두었을 뿐, 무대조건이나 공연요소에 중점을 둔 심도있는 분석은 부족하였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무대구성과 공연요소 중심으로 분석해 본 결과, 조선시대 궁중연향 중에서 유일하게 '행궁'에서 개최된 봉수당진찬은 '예악의 정치'를 의례와 악무로 구현하는 궁중연향의 기본적인 면모를 보여주면서도 '군신동락(君臣同樂)'의 친화의 비중이 높은 연향이었음을 밝혔다. 내연과 외연의 성격이 섞인 봉수당진찬에서는 가림막을 최소화하여 신분의 차서(次序)와 남녀유별(男女有別)의 원리를 충족시키면서도 삼면에 둘러친 휘장 안에 외빈의 자리를 마련함으로써 술과 음식, 음악과 춤을 다 같이 공유하도록 배치되었다. 또한, 연향공간의 상징성을 내포한 차일을 백관들의 공간에 치고, 임금이 솔선하여 선찬(膳饌)과 산화(散華)를 명함으로써 군신동연(君臣同宴)의 의미와 범위를 확장시킨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봉수당진찬이 '예악의 원리'가 강하게 드러나는 여느 궁중 연향에 비해 '정(情)'을 나누는 화친(和親)에 기반을 두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봉수당진찬에서는 여느 내연에서보다 임금의 역할과 비중이 높았으며, 특히 의주 외의 기록으로 전하는 여러 가지 상황 - 7작 이후에 정조가 신하들을 가까이 불러 나눈 대화, 신하들에게 음식과 꽃을 내림, 잔치를 주제로 직접 시를 짓고, 신하들에게도 이에 화답하게 한 일 등-은 의주에 따른 단선적인 연향의 진행에 변화를 주고, 연향의 의미를 확장시키는데 한 몫 하였다. 이밖에, 봉수당진찬의 주악과 정재의 구성을 분석해 본결과 연향에서 여러 인물들의 대화와 움직임이 매우 절제된 것은 여느 궁중연향과 비슷하지만, 춤과 음악을 통해 구현된 소리와 색채감은 매우 다채로웠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봉수당진찬에서는 정조 이전에 치러진 내연에 비해 다양한 종류의 정재를 상연하였고, 이 중에는 새롭게 초연된 레퍼토리도 있었으며, 또 기존의 공연을 새롭게 재구성한 것도 포함되어 있었다. 특히 <선유락>이나 <검무> 등, 지방 관아 및 민간의 레퍼토리를 궁중연향으로 수용한 점, 풍류방에서 즐겨 연주되기 시작한 생황을 <학무> 와 연계한 것은 전통적인 규범과 관습에 매이지 않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궁중연향의 '열린구조'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전통 상단예불의 음악적 특징 고찰 - 조계종과 태고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Sangdanyebul - Focusing on the Jogye Order and Taego Order -)

  • 차형석
    • 공연문화연구
    • /
    • 제35호
    • /
    • pp.471-508
    • /
    • 2017
  • 본 연구의 기본 취의는 역사적으로 문화적 친연성을 지닌 아시아권의 전통춤을 대상으로 한 전통문화콘텐츠 구축을 위한 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당악정재 곡목인 <오양선(五羊仙)>을 한 예범으로 그 역사적, 문학적 근거를 통해 그 배경서사의 연원이 고대 남월(南越; 베트남) 지역의 오양선 설화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다섯 신선이 오색의 양을 타고 오양성(五羊城; 현재의 중국 광주(廣州))에 내려와 여섯 개의 벼이삭(六穗?)을 하사하였다는 설화이다. 나아가 후대에 쓰여진 베트남의 구전설화 <월정전(越井傳)>, 중국의 전기(傳奇) 작품인 <최위(崔?)>가 이 원(原)서사에서 비롯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우리나라 <오양선>의 창사에 나타난 배경서사는 원서사에 서왕모와 천도 모티프를 추가하여 군왕의 축수(祝壽)와 덕치, 나라의 태평성대를 축원하는 의례적 모티프를 강화하였다. 본고에서는 3국 내 오양선 서사의 이러한 공통성에 주목하여 그를 소재로 한 각국 전통춤의 전승 현황을 추적한 바 중국의 경우 최근 우리나라 <오양선>을 참고하여 <오양선무>를 재창작한 반면 베트남의 경우 전승이 부재하였다. 그에 따라 전통문화콘텐츠 구축 프로젝트의 추진을 위해 베트남 공연단을 섭외하여 <월정전> 설화를 소재로 한 <치유의 쑥잎>이란 곡목을 창작케 하였다. 그 결과 오양선 설화를 소재로 한 3국의 춤을 한 무대에서 합연함으로써 아시아 악무의 공통적 서사 기반에 기초한 새로운 전통문화콘텐츠 구축의 시론적 방향성을 제시하고 나아가 춤을 통한 아시아 문화공동체 구축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백제<호선무(百濟胡旋舞)> 버전 콘텐츠 설정연구 - 한류(韓流)의 진원 <백제기악(百濟伎樂)>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tting of Contents in the Baekje Hoseonmu Version - Focused on the Baekje Instrumental Music, the Epicenter of Korean Wave -)

  • 손대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3-25
    • /
    • 2021
  • <호선무(胡旋舞)>는 악가무적 장르이다. 당시 <호선무>가 백제에서 널리 알려진 기록은 없으나 수양제(隋煬帝)가 장안(長安)으로 <호선무>를 초청한 것은 당시 백제의 인기상품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백제기악 <호선무> 버전의 콘텐츠를 악가무적 장르로 설정하였고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백제기악>의 공연무대 설정은 중국의 주변국 <기악>의 4방 악의 학설을 분석하여 <백제기악>의 모습을 짐작하였다. 그리고 <백제궁중기악(百濟宮中伎樂)>의 무대를 활용하여 <호선무>의 무대를 설정하였다. 둘째, <호선무>의 춤 동작은 천상과 지상의 두 종류를 통해 동작을 구상하였다. <호선무는> 초당(618~707)에 나타난 제220굴 벽면의 그림과 <동방약사경변>·<서방정토경변>에 그려진 그림으로 설정했다. 셋째, <호선무>는 원안에서 '빠르게 돌아가는 춤'으로 수용하여 백제기악 <호선무>의 춤 동작을 설정하였다. 넷째, 미마지(味摩之) <기악무(伎樂舞)>를 제시하여 <호선무> 춤과 의상을 구체화 하였다. 여기에는 무용수가 여섯 사람이 참여하고 두 차례로 나누어 출연한다. 앞에는 4명, 뒤에는 2명이 배치되며 무용수의 '장속(裝束)'은 사냥꾼의 복장에 도깨비 가면을 쓰고 오른손에 꽃핀 매화나무 가지를 들고 있다. 이를 통하여 <호선무>의 동작과 의상을 좀 더 세부적으로 재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백제기악(百濟伎樂) <호선무(胡旋舞)> 버전의 콘텐츠를 교육·연극·무용·관광 등에서 다양하게 설정하여 활용하면 경제 활성화는 물론, 한류화(韓流化)에 기여할 수 있다.

울산덧배기의 전승을 위한 기본교육과정 연구 (A Study on the Basic Movement Instruction for Inheritance Education of Ulsan Dutbeki)

  • 최흥기
    • 공연문화연구
    • /
    • 제38호
    • /
    • pp.385-421
    • /
    • 2019
  • 풍속에 의해 자연스럽게 전승된 울산덧배기는 급격하게 변화한 현대사회의 환경과 함께 거의 사라져 가고 있다. 이 연구는 울산덧배기를 전승 교육하기 위하여 기본동작으로 교수하는 방법을 연구한 것이다. 강습 대상은 울산덧배기를 처음 접하는 사람 위주로 하였다. 교육과정은 먼저 울산덧배기를 배우는데 있어서 몸과 마음을 준비하는 상태이다. 그리고 울산덧배기의 기본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굿거리장단의 기본 동작, 자진모리장단의 기본 동작을 순서로 하였다. 다음은 연결 동작에 의한 춤사위 익히기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초보자가 시간과 공간이 제한된 강습실에서 울산덧배기를 전승받기 위한 방법이다. 이렇게 울산덧배기 춤을 교수하는 방법을 연구한 것은 풍속에 의해 자연스럽게 전승된 덧배기가 단절되어가는 현실에서 일반시민들에게 무형문화를 전승하기 위한 조치인 것이다. 이 연구의 성과는 사라져가는 울산의 무형문화인 덧배기를 보호하고, 이를 시민들에게 전승할 수 있게 기본적인 동작으로 교수하는 방법을 연구한 것이다.

강강술래 공연 복식 실태 연구 (Various Types of Costumes for Ganggangsullae)

  • 조두나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6호
    • /
    • pp.551-560
    • /
    • 2014
  • In this study, we have focused on various types of costumes for traditional Ganggangsullae and daily dance Ganggangsullae. To analyze their costumes, spot photographs of Ganggangsullae contests from 2011 and 2013 were collected from the Department of Culture and Tourism, Jindo County Office and the Jeonnam Information & Culture Industry Promotion Agency. Costumes were analyzed by categorising them as type, shape and color. Traditional Ganggangsullae costumes are two types: traditional hanbok and saenghwal hanbok. Traditional hanbok design dates back to the late Joseon dynasty and saenghwal hanbok design to the middle Joseon Dynasty. They reflects confucianism, a male-dominated society, totemism, shamanism and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in agrarian society and community life. Daily dance Ganggangsullae has various types of costumes such as the fusion hanbok, saenghwal hanbok, cheering uniform and casual wear. They show modern color schemes. There is not any magical meaning from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Instead, they have individualism, liberty, equality and welfare i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So its costumes are easy and comfortable clothes. But traditional hanbok, fusion hanbok and saenghwal hanbok are inspired from Korean identiry. Even though traditional Ganggangsullae and daily dance Ganggangsullae have different costumes and ideology, they have a common denominator 'playfulness.' It will function as a key for Ganggangsullae to be performed continuously over the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