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orn

검색결과 2,687건 처리시간 0.038초

식이내의 지방(脂肪)함량과 투여기간(投與期間)이 혈청지질성분(血淸脂質成分) 및 지단백분획(脂蛋白分劃)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the Levels of Dietary Fat and Experimental Periods on Serum Lipids and Lipoprotein Fractions in Rats)

  • 이순재;김공환;조준승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4권1호
    • /
    • pp.34-40
    • /
    • 1981
  • 식물성(植物性), 동물성(動物性) 고지방식(高脂肪食)과 저지방식(低脂肪食)을 장기간(長期間) 섭취 했을 때 혈청(血淸) 지질성분(脂質成分)과 지단백분획(脂蛋白分劃)의 함대비(含臺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를 사용하여 대조군(對照群)(12%-fat 이저(館低)), 저지방식이군(低脂肪食餌群)(3%-fat 식이(食餌)), 식물성고지방식이군(植物性高脂肪食餌群)(45%-corn oil식이(食領)) 및 동물성고지방식이군(動物性高脂肪食餌群(45%-butter fat 식이(食餌))를 각각 12주간(週間) 사육(飼育)하면서 4, 8 및 12주(週)에 쥐를 희생하여 혈청(血淸)중의 총(總) cholesterol, TG, 인지질(燐指質) 및 지단백분획(脂蛋白分劃)의 함대비(含臺比)를 측정(測定)하였다. 혈청(血淸) 총(總) cholesterol 함양(含量)은 45%-butter fat식이군(食餌群) 이 전실험(全實驗)기간 동안 대조군(對照群)보다 증가된 치(値)를 보였으며 45%-corn oil 식이군(食餌群)은 8주 및 12주에 증가되었다. 또 45%-butter fat 식이군(食餌群)과 비교했을 때 45%-corn oil 식이군(食餌群)이 4.8주에는 유의적(有意的)으로 낮았고 12주에는 다소 낮았다. 또한 저지방식이군(低脂肪食餌群)은 대조군과 전실험(全實驗) 기간 동안 차이가 없었다. 혈청(血淸) TG 함양(含量)도 45%-butter fat 식이군(食餌群)이 실험전(全( 기간 동안 대조군(對照群)보다 증가된 치(値)를 나타내었으며, 45 %-corn oil식이군(食餌群)과 저지방식이군(低脂肪食餌群)은 12주(週)째에만 증가된 치(値)를 나타내었다. 혈청(血淸) 인지질(燐脂質)의 함양(含量)은 저지방식이군(低脂肪食餌群)에서만 식이투여(食餌投與) 12주(週)에 대조군(對照群)에 비해 낮은 치(値)를 보였다. 혈청(血淸) 지단백분획(脂蛋白分劃)의 함양비(含量比)는45%-butter fat 식이군(食餌群)이 4, 8 및 12주에, 45%-corn oil 식이군(食餌群)은 8, 12주(週)에, 저지방식이군(低脂肪食餌群)은 12주에 대조군(對照群)에 비(比)해 ${\alpha}$-lipoprotein의 함양비(含量比)는 감소(減少)되고 ${\beta}$-lipoprotein의 함양비(含量比)는 증가되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저지방식이군(低脂肪食餌群)이 가장 헌저한 변동을 보였다.

  • PDF

우분퇴비와 화학비료 시용이 간척지 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ttle Manure and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on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Silage Corn in Reclaimed Paddy Field)

  • 정민웅;최기춘;표효열;최은민;김천만;김종근;박형수;송채은;김맹중;김원호;임영철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3-130
    • /
    • 2011
  • 본 시험은 충남 당진 석문간척지 논에 첨가적인 우분퇴비의 시용을 통하여 벼 대체 여름 사료작물인 옥수수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여 논을 이용한 옥수수의 이용성 증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석문 송산 간척농지는 1985년에 조성되어 본격적인 벼농사가 이루어진지는 약 5~10년 정도 되었다. 현재도 가뭄에 의한 염해 현상이 나타나고 배수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에 사료작물 재배지로써는 한계가 많은 간척농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간척농지 305 ha 중 일부인 149 ha에 옥수수를 파종한 송산 28단지 A와 B 지역, 송산 27단지 A와 B 지역, 송산 42단지 A, B 그리고 C 지역 및 지역송산 43단지 A와 B 지역에서 무작위로 시료를 채취하여 조사하였다. 송산 28단지 A와 B 및 송산 27단지 A에서 재배된 P32B33의 건물수량은 ha당 13~15톤으로 송산 27단지 B 보다 약 3~5톤 정도 높은 수량을 보였으며, 송산 42단지 A 및 송산 43단지 A와 B에서 재배된 광평옥의 건물수량은 23~27톤으로 송산 42단지 B와 C 보다 약 15~16톤 정도 높은 수량을 보였다. 석문 간척농지의 논에서는 도입 품종인 P32B33보다 국내보급 품종인 광평옥이 현저하게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지역간 옥수수의 사료가치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품종간에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간척농지인 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비료원의 공급보다는 배수가 양호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임을 보여주고 있다.

옥수수 전분박(澱粉粕)을 이용(利用)한 식사료(食飼料) 효모생산(酵母生産)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Foods and Feeds Yeast from the Hydrolyzate of Corn Starch Cake)

  • 성낙계;김명찬;기우경;김종규;윤한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4호
    • /
    • pp.219-226
    • /
    • 1976
  • 옥수수 전분박을 이용하여 식사료 효모를 생산하기 위하여 전분박의 산당화법을 검토하고 이 산당화액을 이용하여 liquid culture에서 식용효모, semisolid culture에서 사료효모를 생산하기 위한 배양조건을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옥수수 전분박의 신당화시 가수분해제로는 염산이 황산보다 효과적이었으며, 염산 농도 1%, 압력 $2.0kg/cm^2$에서 30분간 가수분해 시켰을 때 당화율이 57.2%로서 가장 좋았다. 2) 산분해시 원료와 전분박의 비가 1:10 이상에서는 분해가 증가되지 않았으며 semisolid substrate를 만들기 위해서는 1:3의 비율이 적당하였다. 3) 6종류의 효모를 전분박 당화액에 배양시켰을 때 Candida tropicalis가 가장 좋았으며, 최적 초기 pH는 6이었으며, 최적온도는 $30^{\circ}C$였다. 4) Liquid culture에서 Candida tropicalis의 무기 영양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NH_2)_2CO$ 0.3%, $KH_2PO_4$, 0.15%, $MgSO_4{\cdot}7H_2O$ 0.04%였으며, semisolid culture시에는 $NH_4CI$ 0.4%, $KH_2PO_4\;0.1%\;MgSO_4{\cdot}7H_2O\;0.04%$를 가했을 때가 좋았다. 5) 식용 효모생산을 위한 액체배양에서는 초기당 4%에서 88.75%를 소비하였으며, 원료에 대한 건조효모로써 19.13%의 수율을 보였다. 6) 사료효모를 생산하기 위해 semisolid한 상태에서 배양하였을 때 처리하지 않은 전분박에 비해cellulose는 14.7%에서 3.76%로 감소하였으며, 건조효모는 13.89%가 생성되었다.

  • PDF

계통간 분류거리에 의한 한국 재래종 옥수수의 게통분류 (Classification of Korean Local Corn Lines by the Taxonomic Distance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이인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7-60
    • /
    • 2004
  • 육종재료를 얻기 위하여 부산ㆍ경남지역에서 수집된 우리나라 재래종 옥수수 49계통에 대하여 주성분분두법을 이용하여 계통간 거리를 구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계통분류를 실시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계통간 거리에 의해 49계통은 4개의 계통군으로 분류되었고, 계통군 I 에는 11계통, 계통군 II에는 20계통, 계통군 III에 는 14계통, 그리고 계통군 IV에는 4계통이 속하였다. 계통군 I은 조생, 단간, 소수, 소분얼형의 계통들이었고, 계통군 II는 조생, 장간, 대수, 다수, 소분얼형의 계통이었고, 계통군 III은 만생, 단간, 소수, 다분얼형 의 계통이었고, 계통군 IV는 중생, 장간, 대수, 다수, 다분얼형의 계통들이었다.

답전작 사료작물의 사료 가치 비교 및 생육촉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arison of forage value and the accelerating of growth for several forage crops as prior crops of paddy field)

  • 홍기창;강신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3권
    • /
    • pp.83-92
    • /
    • 1973
  • In order to compare the forage value and to promote the growth without the hindrance of rice transplanting period for several forage crops as prior crops of paddy fiel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hree kinds of foliar application, such solution as Urea, Gibb. and Gibb. +Urea were applied to promote the growth. The results g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forage crops, there were large difference of yields. The rankings of yield were shown as follows; Fresh weightㆍDry weight : Oats. Italian rye grass. White clover. Corn. Soybean. Crude protein content: Soybean. White clover. Corn. Italian rye grass. Oats. Crude protein Yield: White clover. Italian rye grass. Oats. Corn. Soybean. 2. The ranking of suitable forage crops as prior crops of paddy field were Oats, Italian rye grass, White clover, but Corn and Soybean were unsuited. 3. In general, length of stem, length and width of leaf were enlarged such rank as foliar application of Urea, Gibb. and Gibb. + Urea solution. There were apt to be increased fresh and dry weight by growth of stem length, these trend were shown among all crops and between foliar applications of same crops. 4. All crops were shown not only promoted growth but also increased yield by every treatments. The order of application effects were as follows; Fresh weigthㆍDry weigth: Gibb., Gibb. +Urea, Urea. Crude protein content and yield: Urea, Gibb, Gibb. + Urea. 5. In Oats, heading date was more accelerated 1, 2 and 3 days than control by foliar application of Urea, Gibb. and Gibb. + Urea respectively.

  • PDF

Effects of the Slow-releasing Fertilizer and Sowing Date on Waxy Corn "Mibaek 2" Propagated through Double Cropping without Tillage in the Middle Region of Korea

  • Lee, Jae-Wung;Hwang, Se-Gu;Moon, Hye-Rim;Kim, Ik-Jei;Kim, Young-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477-484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ow-releasing fertilizer and sowing date on waxy corn propagated through double cropping without tillage. "Mibaek 2" was sown for first cropping on March 25th, April 5th, and April 15th, and for second cropping on July 5th, July 15th, and July 25th in 2018-2019. In order to save labor, slow-releasing fertilizer was utilized only one time before sowing. The accumulated temperature from sowing to silking was about 590-700℃. It took 65-77 days when "Mibaek 2" was sown in early April, but the one sown in early July took 42-52 days. In the first cropping, the culm length and ear length caused by the sowing date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the kernel set length was the highest at 123 cm in the sowing district on April 5th. The weight of marketable ears was the highest at 100%, in addition to soil testing-based recommended fertilization. Meanwhile, in the second cropping, culm length, ear length, and yield were less compared to the first cropping. The culm length, kernel set length, ear length, and seed set length decreased as sowing date was delayed. The number and yield of marketable ears were the highest at 100%, in addition to soil testing-based recommended fertilization like in the first cropping. It has been found that securing yield by July 15th to finish the second seeding of the crop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is advantageous. Thes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farmers for the double cropping of waxy corn cultivation and management.

Prediction of Nutrient Composition and In-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of Corn Kernel Using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Choi, Sung Won;Lee, Chang Sug;Park, Chang Hee;Kim, Dong Hee;Park, Sung Kwon;Kim, Beob Gyun;Moon, Sang H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7-282
    • /
    • 2014
  • Nutritive value analysis of feed is very important for the growth of livestock, and ensures the efficiency of feeds as well as economic status. However, general laboratory analyses require considerable time and high cost.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is a spectroscopic technique used to analyze the nutritive values of seeds. It is very effective and less costly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was a corn kernel and the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 method was used for evaluating nutrient composition, digestibility, and energy value based on the calibration equation. The evaluation methods employed were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and the root mean squared error of prediction (RMSEP). The results showed the moisture content ($R^2_{val}=0.97$, RMSEP=0.109), crude protein content ($R^2_{val}=0.94$, RMSEP=0.212), neutral detergent fiber content ($R^2_{val}=0.96$, RMSEP=0.763), acid detergent fiber content ($R^2_{val}=0.96$, RMSEP=0.142), gross energy ($R^2_{val}=0.82$, RMSEP=23.249),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R^2_{val}=0.68$, RMSEP=1.69), and metabolizable energy (approximately $R^2_{val}$ >0.80).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nutritive components of corn kernels can be predicted using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고냉지 사료작물 윤작체계 조사연구 (Studies on the Rotation System to Forage Crop Cultivation at the Alpine Area)

  • 한성윤;김대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00-304
    • /
    • 1993
  • 평야지보다 일조량과 적산온도가 다소 적은 고냉지에 적합한 사료작물 윤작체계를 구명하여 토지의 이용성 및 단위생산성을 제고하여 조사료 생산기반을 확대시키고자 호맥+숙기가 다소 틀린 옥수수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 9개 품종의 작부체계를 공시하여 2모작 작부체계를 확립고자 해발 800m의 대관령지역에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1. 높고 추운 대관령 지역에서도 양호하게 호맥을 재배할 수 있다. 2. 호맥후작으로 도입되는 옥수수는 구태어 조생종이나, 중생종이 아니라도 대관령 지역같은 고랭지에서도 만생종 옥수수재배가 가능하다. 3. 호맥에 이은 옥수수재배의 2모작으로 건물량이나 생초수량으로 약 30%의 증수가 가능하다. 4. 가장 우수한 사료작물로서 열대성 작물인 옥수수는 지형이나 지역적인 환경변이 즉, 고도의 상승에 따라 야기되는 기온의 저온화 현상에 의해 숙기나 발육상태가 단축되거나 늦어지기도 한다.

  • PDF

2002년 사료작물 수입적응성 인증품종의 생육기성 및 수동성 1. 조숙 양질 다수성 사료작물 옥수수 교잡종 “DK 537”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Recommended Cultivars by Imported Forage Crop Regional Yield Trials in 2002 I. Early Maturing, Good Qualify, and High Yield of Forage Corn Hybrid, “DK 537)

  • 성병렬;최기준;임용우;임영철;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47-252
    • /
    • 2002
  • “DK 537”has been selected by forage crop breeding team at the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NLRI), RDA and has been determined by the Deliberative Council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NACF) in 2002, as a new recommended hybrid which is early maturing, good quality and hi호 yield of corn for silag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hybrid are as follows ; 1. The seed coat is yellow and the mean of tasseling date is 5th of July, included in early maturing hybrid which is one day delayed than check cultivar, DK 501. The culm length is 246cm. It is resistant to lodging because of its low height from surface to ear. 2. DK 537 shows resistance to H. maydis and Maize Black-Streaked Dwarf Virus(MBSDV). It also shows strength to corn borer as much as DK 501 does. 3. Fresh yield. dry matter yield. and TDN per a ha are 50 tons, 16.9 tons, and 11.4 tons respectively. which are almost same yielding level of DK 501. Its percent ear to total dry matter is 50.8% at the same time. Through all these tests, we could make sure at DK 537 hybrid will be recommended as good forage crop.

탈취온도가 옥수수 기름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제2보, 탈취온도가 옥수수기름의 냉각시험 및 발연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odorizing Temperatur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Corn Oil 2. Effect of Deodorizing Temperature on Cold Test and Smoke Point in Corn Oil)

  • 이근보;한명규;이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10
    • /
    • 1998
  • 탈취온도가 옥수수기름의 냉각시험 및 발연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해 보았다. 탈취온도가 상승할수록 투입되는 탈납유 대비 탈취유의 냉각시험 결과는 현저히 하락하였으며, 26$0^{\circ}C$ 이상에서는 그 정도가 극심하여 이는 포화도 증가 및 SU2, S2U, S3형 triglycerides 함량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한편, 발연점은 탈취온도 24$0^{\circ}C$에서 가장 높은 242$^{\circ}C$를 나타내었고, 탈취온도 245~27$0^{\circ}C$의 범위에서는 235~238$^{\circ}C$로 하락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시료유의 산값과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 이화학적 특성, 지방산 조성 등과 함께 냉각시험 및 발연점에서도 고온탈취는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