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barbel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17초

잉어, Cyprinus carpio와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수염의 조직학적 관찰 (Histological Observation of the Barbel in Common Carp, Cyprinus carpio and Bagri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 임상구;한형균;박혜정;박인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245-256
    • /
    • 2014
  • 잉어, Cyprinus carpio와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의 상악 하악 수염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동자개의 수염은 연골성 증축(axial rod of cartilage), 신경섬유다발(bundle of nerve fiber), 표피(epidermis), 평활근 층(smooth muscle layer) 및 미뢰(taste bud)로 구성되었으며, 잉어의 수염은 표피, 신경섬유다발, 혈관(blood vessel) 및 미뢰로 구성되었다. 수염 길이에서 잉어는 상악 바깥쪽 수염(second maxillary barbel)이 상악 안쪽 수염(first maxillary barbel) 보다 길게 나타났으며, 동자개는 하악 안쪽(inner mandibular barbel), 상악 위쪽(upper maxillary barbel), 하악 바깥쪽(outer mandibular barbel), 상악 아래쪽(lower maxillary barbel) 순으로 길게 나타났다(P<0.05). 미뢰의 수를 고려하였을 때, 동자개와 잉어간의 미각에 대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아울러, 두 어종의 모든 수염에서 수염 상부의 미뢰 수가 하부의 미뢰 수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 결과, 동자개의 수염은 딱딱하며 굴절성인 수염(flexible and stiff type)이었으며 잉어의 수염은 연하고 유연한 수염(tender and yielding type)으로 파악되었다.

어름치(Hemibarbus mylodon)에서 Clinostomum complanatum 감염증 (Infection of Clinostomum complanatum in Korean Barbel (Hemibarbus mylodon))

  • 김지형;김경연;오태엽;장환;조성준;데니스 고메즈;카시아노 허모피아;박세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7-309
    • /
    • 2008
  • The metacercariae species have often been isolated from fresh water fish in Korea. In this study, we reported Clinostomum complanatum, a species of metacercariae isolated from gill and muscle of Korean barbel (Hemibarbus mylodon), a natural monument fresh water fish in Korea, by morphological observation. The excysted metacercariae, tongue-shaped and progenetic, were 3.11-4.62 mm in length and 0.90-1.43 mm in width. Fresh water fishes are known as the second intermediate hosts of C. complanatum. This is the first isolation report from Korean barbel.

한국산 쓸종개, Plotosus lineatus (Thunberg) 수염의 조직 (Histology of the Barbels of Striped Sea Catfish, Plotosus lineatus (Thunberg))

  • 박인석;설동원;김은미;김영자;이영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58-163
    • /
    • 2005
  • This paper deals with the histology of the barbels of striped sea catfish, Plotosus lineatus (Thunberg). This fish have eight noticeable barbels of two pairs on their maxillary and mandibular. Each barbel is composed of an epidermis, dermis and a central rod of cartilage. The epidermis in the middle part of the maxillary barbel is thicker than those on other parts, and formed of stratified epithelium which contains many cutaneous taste buds and a few small club cells. Number of taste buds increase on the middle and posterior part of each barbel. The dermis consists of loose connective tissue fibers which encloses blood vessels and bundles of nerve fibers. The barbels of this fish can be categorized into stiff and flexible types and are accessory, feeding and sensory structures. Thus we substantiate that they are gustatory receptor organs for this fish.

한국의 메기과 (Siluridae) 어류 2종의 상악 수염의 조직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Histological Structure of the Mandibular Barbels of Two Species of Catfish (Siluridae) from Korea)

  • 박인석;김치홍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6-42
    • /
    • 2005
  • 한국의 메기과 (Siluridae) 어류의 수염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메기, Silurus asotus의 상악 수염은 연골성 중축을 감싸는 진피와 표피로 구성 되었다. 표피층에는 점액세포, 과립형세포 및 미뢰가 있었다. 세포질이 약한 호염기성을 보이는 점액세포와 호염기성을 보이는 미뢰는 각각 표피의 표면과 표피 말단 부위에 위치 하였다. 표피와 진피는 기저막으로 구분되며 진피는 소성결합조직으로 구성 되었으며 신경세포와 혈관이 내재하고 있었다. 수염의 가장 내부에 연골성 중축이 존재 하였으며 근육층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미유기, S.microdorsalis의 상악 수염 구조는 메기의 상악 수염 구조와 비교시 별다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상악 상부와 하부에서의 표피 % 두께 및 상악 상부와 중부에서의 미뢰 수에 있어 미유기는 메기에 비해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메기와 미유기의 상악 수염은 딱딱하고 굴절성형(stiff and flexible type)으로 파악 되었다.

Histological Observations and Regeneration of Barbels in Juveniles of the Chinese Longsnout Catfish Leiocassis longirostris

  • Park, In-Seok;Kim, Chi-Hong;Choi, Jae Wo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5권4호
    • /
    • pp.299-303
    • /
    • 2012
  • Barbel structure and regenerated barbel length in the juvenile Chinese longsnout catfish Leiocassis longirostris (G$\ddot{u}$nther), were evaluated. The barbles consisted of an epidermis, a dermis, and a central rod. The epidermis harbored taste buds, granular cells and epidermal cells. The taste buds were basophilic and situated along the distal portion of the epidermis. The dermis was composed of loose connective tissue containing blood vessels pigment cells. The innermost central region was cartilage enclosed within layers of muscle layers. After 30 days, the regenerated barbel length measured $0.92{\pm}0.404mm$ at $15^{\circ}C$ (regenerated growth curve: y = 0.5085x + 4.0678, $r^2$ = 0.9654, where y is regenerated length and x is experimental period in days), $1.88{\pm}0.521mm$ at $20^{\circ}C$ (y = 0.1806x + 4.808, $r^2$ = 0.9822), and $6.44{\pm}0.751mm$ at $25^{\circ}C$ (y = 0.0914x + 4.9918, $r^2$ = 0.9944). Fifteen days after amputation, the regenerated length was significantly longer at $25^{\circ}C$ than at 15 or $20^{\circ}C$ (P < 0.05). The barbels of the Chinese longsnout catfish was the tender and flexible type, and our experimental findings provide evidence of temperature-dependent regeneration. Additional investigation of the behavior and physiology of the Chinese longsnout catfish is needed, particularly histological studies of regenerated barbels and the measurements of the numbers of taste buds per barbel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Optimal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for Growth of Long-nosed Barbel, Hemibarbus longirostris

  • Kim, Yi-Oh;Hwang, Gyu-Deok;Lee, Sang-M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2권4호
    • /
    • pp.311-316
    • /
    • 2009
  • A 10-week feeding trial with four dietary protein levels (22%, 32%, 42% and 52%) and two dietary lipid levels (8% and 17%)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for growth of long-nosed barbel fingerlings. Survival rate of fish was not affected by either the dietary protein or the dietary lipid level.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were affected by the dietary protein level (P<0.01), but not by the lipid level, and increased with the dietary protein level at the both lipid levels.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of fish fed the 52% protein diets with 8-17% dietary lipi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fish fed the 42% protein diets with 8-17% dietary lipids and 32% protein diet with 17% dietary lipid. Daily feed intake of fish was not affected by either dietary protein or dietary lipid level. Protein efficiency ratio and protein retention rate of fish fed the 32% protein diet with 17% dietary lipi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52% protein diets with 8-17% dietary lipids. Moisture content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8% lipid were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17% dietary lipid at each protein level. Crude lipid content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17% dietary lipid were higher than that of fish the fed the diet containing 8% dietary lipid at each protein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32% protein and 17% lipid could be the optimum dietary level for growth of juvenile long-nosed barbel.

경골어류 잉어과 참마자의 수정란 난막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Fertilized Egg Envelope from Long nose barbel, Cyprinidae, Teleost)

  • 김동희;등영건;김해영;류동석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1호
    • /
    • pp.85-90
    • /
    • 2001
  • 한국어류의 수정란 난막 미세구조를 분류체계에 따른 체계화 작업의 일환으로 난문의 미세구조, 난막의 표면 및 단면구조를 밝힘으로써 계통분류학적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경골어류, 잉어과에 속하는 참마자의 수정란을 실험재료로 하여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부착성란으로 등물극 쪽에 수정을 위한 정자의 통로로 생각되는 한 개의 난문이 관찰되었고 난막표면은 버섯모양의 돌기들이 뭉쳐 하나의 덩어리를 형성하여 분포되어 있었다. 부착성 구조물은 기부는 구조물끼리 떨어져 있지만 상부로 올라가면서 합쳐지는 형태였으며, 이 구조물의 기부는 난막을 관통하지 많고 난막의 바깥면인 외막 표면에 부착되어 있었다. 난막단면의 미세구조는 모두 2층으로, 이중층인 외층과 4층으로 구성된 내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상과 같이 참마자 수정란 난막의 미세구조적 특징은 참마자의 수정란이 가지는 독특한 형태학적 형질로서 종을 분류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왕종개 Iksookimia longicorpa (Cobitidae) 수염의 조직학적 관찰 (Histological Observation of the Barbel in the Spined Loach, Iksookimia longicorpa (Cobitidae))

  • 김익수;김선영;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4-27
    • /
    • 2001
  • Iksookimia longicorpa의 수염은 표피, 진피, 중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중층막으로 되어 있으며 미뢰, 점액세포, 과립형 세포, 표피 세포를 포함한다. 점액세포는 약한 호염기성을 보이며 표피의 표면에 위치하고 있다. 반면에, 미뢰는 강한 호염기성을 나타내며 표피의 기부에 위치하고 있다. 진피는 소성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고, 혈관, 색소세포, 신경세포를 함유하고 있다. 중축은 가장 깊숙한 부분으로 근육층으로 둘러싸여 있다.

  • PDF

자연산 점몰개, Squalidus multimaculatus Hosoya et Jeon의 새인두흡충, Clinostomum complanatum (Rudolphi, 1814) 감염 (Infection of Clinostomum complanatum (Rudolphi, 1814) in spotted barbel gudgeon (Squalidus multimaculatus Hosoya et Jeon))

  • 박명애;서정수;정승희;최희정;전은지;지보영;이완옥;우승호;이은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1-166
    • /
    • 2011
  • 경상북도 영덕군의 하천에 서식하는 점몰개 spotted barbel gudgeon (Squalidus multimaculatus Hosoya et Jeon)의 근육에서 새인두흡충 Clinostomum complanatum (Rudolphi, 1814)의 피낭유충이 발견되었다. 감염된 점몰개는 "yellow grub"인 기생충의 피낭유충으로 인해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보였으며, 수면위에 힘없이 유영하였고 일부 폐사한 개체도 발견되었다. 분리된 탈낭유충의 형태는 혓바닥모양이었으며, 크기는 2.85~5.89 mm${\times}$0.8~1.99 mm였다. 어체당 1~98개의 피낭유충을 분리하였으며 평균 감염수는 25개로 나타났다. 특히, 성어크기인 평균 7cm 정도의 점몰개는 100% 감염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자연수계에 서식하는 어류에서 C. complanatum 의해 질병이 발생하고 폐사가 일어난 첫 보고이다.

First Record of Japanese Codling, Physiculus japonica Hilgendorf (Moridae, Gadiformes) from Korea

  • Koh Jeong-Rack;Moon Dae-Ye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6권2호
    • /
    • pp.97-100
    • /
    • 2003
  • The Japanese codling fish, Physiculus japonica (family Moridae) is recorded as new to the Korean fish fauna. The specimen was fished from the South-Eastern waters off Jeju Island, Korea in March 1999. Standard length of the specimen was 343.2 mm, with a thin barbel on ower jaw, 67 soft second dorsal rays, 71 soft anal rays and 12 lateral-line above scales. Identification key of this specimen as P. japonica in the family Moridae was teethless vomer, chin barbel and well-developed black ventral light organ located on the anterior of anus. We give a new Korean name Dol-dae-gu for P. japon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