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ikhye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5초

팽화미분 첨가에 따른 식혜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ye Prepared with Puffed Rice Powder during Saccharification)

  • 이명욱;이영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53-558
    • /
    • 2012
  • 팽화미분 첨가량[0, 25, 50, 75 및 100%(w/w)]에 따른 식혜의 당화 과정 중 pH, 탁도, 색도, 당도, 환원당, 총당, ketose, 아미노산, 단백질 및 관능 성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팽화미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pH는 낮아지고(p<0.05) 탁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L값은 25% 0시간을 제외하고 팽화미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고 모든 시료에서 1시간에 최고값을 나타낸 후 감소하였지만(p<0.05) 0%는 1시간 후 비교적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당화 초기를 제외하고 팽화미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적색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황색도(p<0.05)는 높았다. 팽화미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당도, 환원당, 총당 및 sucrose는 높았다(p<0.05). 모든 시료에서 당화 6시간에 sucrose는 0.79-0.86%로 시판 식혜 보다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 동일한 시간에 아미노산은 시료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지만 단백질은 100%가 다른 시료보다 항상 높았다. 동일한 시료에서 아미노산과 단백질은 시간이 경과 할수록 높았다(p<0.05). 팽화미분 0과 75% 및 0과 100%는 0.1%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차이정도는 있음(moderate)에 가까웠다. 팽화미분 75와 100%는 0%보다 선호도가 높았다(p<0.05).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식혜의 최적 분무건조 조건 (Optimization of spray drying condition of Sikhy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기창;조인희;김경미;최송이;김진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83-689
    • /
    • 2015
  • 본 연구는 식혜의 편이성, 유통성,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피막물질을 첨가하고 분무건조를 통하여 분말화를 하고자 하였다. 최적조건 설정을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독립변수는 피막물질 maltodextrin의 첨가량(%), 분무건조기의 inlet 온도($^{\circ}C$) 그리고 분무건조기내 시료의 공급속도(mL/min)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영향을 받는 반응변수는 분말의 흡습량(g), 용해도(%), 입자크기(${\mu}m$)로 설정하였다. 각 반응변수에 따른 회귀식은 흡습량은 p<0.001, 용해도는 p<0.05, 입자크기는 P<0.00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그리고 각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영향을 나타내는 반응표면그래프를 이용하여 최적 분말화 조건을 예측한 결과 각 종속변수 최적점인 MD 22%, 분무건조기의 inlet 온도 $140^{\circ}C$ 그리고 분무건조기 내로 유입되는 시료의 공급속도는 51 mL/min로 예측되었다.

홍국쌀로 제조한 식혜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ae Made with Monascus Anka Rice)

  • 나성주;최상호;이선호;안종성;김정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6-56
    • /
    • 2013
  • 홍국쌀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전통음료인 식혜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홍국쌀을 첨가한 식혜의 당화과정 중 pH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당도는 증가 하여 식혜 제조를 위한 최적의 당화시간은 $^{\circ}Brix$의 증가가 최대인 4시간 이후부터 5시간 사이가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홍국쌀 식혜의 pH는 홍국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당도와 환원당은 변화가 없었다. 색도는 홍국쌀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L값은 감소하고 a값과 b값은 증가하였으며, 탁도는 증가하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의 변화는 홍국쌀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은 값을 보였다. $4^{\circ}C$에서 저장을 하여 미생물 총균수를 측정한 결과 홍국쌀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저장성이 향상이 되었다. 기호도는 40% > 50 %> 30%, 20% > 0%, 10%순이었으며 홍국쌀의 첨가량은 40-50% 미만으로 첨가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보여 지며, 홍국쌀의 첨가는 식혜에 붉은색을 나타내어 관능적으로 좋은 점수를 나타냈고, 항산화성의 향상과 미생물 생육억제작용이 나타나 제품의 저장성과 기호성을 증진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초등학생의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 기호도 및 섭취 실태 -김치류, 떡류, 음료류를 중심으로 - (The Perception, Preferences, and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kimchi, tteok and eumcheong varieties-)

  • 강정희;이경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43-555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preferences, and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focusing specifically on kimchi, tteok (rice cake), and eumcheong (beverage) varieties; and compared them by gender, living with grandparents, mother's occupation, and meal preparation by the grandmother. The subjects were 287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80% of children were interested in Korean traditional foods. 40% believed that their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was decreasing because these foods were not palatable to them. The majority of them, however, said they would continue to eat Korean traditional foods as they had done (54.7%) or eat more than before (36.6%) in the future. The children thought that Korean traditional foods were rich in nutrition and good for their health. The children had the highest preference for Baechu-kimchi among varieties of kimchi, and they had high preferences for Songpyeon, Galaitteok, and Injulmi. They had high preferences for Sikhye, citron tea, and adlai tea. Over 80% reported consuming Baechu-kimchi and Kkakdugi three to four times per week. They had eaten Injulmi the most frequently among the tteoks, while over 80% had eaten the other types of tteok only once or twice per month. Adlai tea, citron tea, and Sikhye were drunk more than once per week. In general, we no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perceptions, preferences, and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gender, living with grandparents, mother's occupation, and meal preparation by grandmother, with the exception of several items. The students had a very positive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They had higher preferences for and had more frequently consumed the more familiar Korean traditional foods.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if the children had opportunities to experience Korean traditional foods more frequently and variously at home or in restaurants, they would appreciate Korean traditional foods even more, and develop higher preferences for these foods.

부산지역 성인여성의 연령별 세시음식에 대한 인식, 선호도 및 이용실태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Preference and Usage of Korean Festival Foods among Women by Age in Busan)

  • 이정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9권4호
    • /
    • pp.356-372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preference and usage of Korean festival foods of women according to age in Busa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5, 2012 to November 30, 2012 using questionnair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program. In general, younger women (20~30 years old) had a lower interest in Korean festival foods than slightly older women (40~50 years old). Most of women over 40 years of age prepared Korean festival foods at home, but many who were in their 20's (45.9%) and 30's (41.1%) obtained their foods from family and relatives. Overall, 62.5% of the subjects wanted to inherit Korean festival food from family and relatives.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nd recipes of Korean festival foods were needed for succeeding to Korean festival foods. The taste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for women in their 20's compared to those over 40. Women under 40 reported a lower ease of cooking compared to women over 50. Tangguk (4.93) on Seollal showed the highest perception degree in the order of Namul (4.91), Tteokguk (4.90), and Sikhye (4.90). Jeon, Yaksik, Sikhye, and Gangjeong were the most highly preferred in every group. The preference degree of Paje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under 40 than in those over 60. Tteokguk and Tangguk were more highly preferred in women in their 30's and 40's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eference for festival food and education level, degree of knowledge, degree of interest, will for inheritance, and will for learning (P<0.01). In conclusion, festival foods rich in local tradition should be developed, publicized and used to educate others. The simplification of cooking methods and the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are needed to pass on the traditional food culture of Busan.

식혜의 이소말토올리고당에 관한 연구(I) -정제 및 구조해석- (A Study on Sugars in Korean Sweet Rice Drink "Sikhye"(I) -Sugar Content and Its Composition-)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2-86
    • /
    • 1997
  • 쌀 20%, 엿기름 4%를 가하여 7시간 동안 당화시켜 제조한 식혜는 말토오스 11.01%, 이소말토올리고당 5.31%, 말토트리오스 1.75%, 글루코오스 0.28%를 나타냈다. 알코올침전, Toyopearl HW-40S의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식혜의 이소말토올리고당, 말통스, 말토트리오스를 분리 정제하였다. NMR 분석 결과 말토오스와 말토트리오스는 $\alpha$-1, 4-글루코시드 결합만으로 이루어져Tr, 이소말토올리고당은 $\alpha$-1, 4-글루코시드 결합과 $\alpha$-1, 6-글루코시드 결합이 5:1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소말토올리고당은 pullulanase 처리한 결과 말토오스와 말토헥사오스까지의 분포를 나타냈다.

  • PDF

인진쑥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혜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ikhye Added with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 송금자;황은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630-1637
    • /
    • 2016
  • 본 연구는 인진쑥 추출물의 함량을 달리 첨가한 식혜의 저장기간 중 이화학적 품질 특징 및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진쑥 추출물을 달리하여 식혜를 제조한 후 15일 동안 저장하면서 측정한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식혜의 초기 당도는 인진쑥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당도가 실험군보다 높았으며, 각 시료에서는 저장기간에 따른 당도는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보다 인진쑥 추출물을 첨가한 실험군의 pH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pH가 크게 낮아지지 않고 초기 pH를 유지하거나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탁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시료에서 증가하였고, 인진쑥 추출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탁도가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명도($L^*$값)은 대조군보다 인진쑥 추출물을 100% 첨가한 시료가 낮게 측정됐지만, 적색도($a^*$값), 황색도($b^*$값)에 있어서 저장기간 중 적색도가 증가한 원인은 저장기간 중 당의 갈변화 현상으로 생각한다. 식혜에 함유된 유리당으로는 sucrose와 maltose가 확인되었고, maltose는 엿기름이 당화 과정에서 아밀라아제에 의해 생성되었고, sucrose는 식혜 제조 시 첨가한 설탕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한다. 총폴리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통해 살펴본 항산화 활성은 인진쑥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색과 맛에 대한 선호도는 인진쑥 추출물을 50% 첨가한 시료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전반적인 선호도는 인진쑥 추출물을 50% 첨가한 시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식혜에 인진쑥 추출물을 첨가할 때는 50% 수준에서 첨가하는 것이 색, 맛, 밥알의 퍼짐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서울.경기 지역 대학생들의 세시음식에 대한 인지도와 이용에 관한 연구 (A Survey on the Perception and Preparation of Traditional Korean Festival Foods in Seoul and the Kyonggi Area)

  • 강재희;윤숙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73-488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observance of traditional Korean holidays and preparation of traditional Korean holiday food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the Gyeonggi area in order to further develop modernize and globalize the food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raditional Korean holidays with the highest perception and observance was Seollal, followed by Chuseok, Jeongwaldaeboreum, Dongji, Dano and Sambok. Traditional Korean festival foods such as Ddukgook, Mandoogook, Sikhye, Injeolmi, Yookgeijang, Kalgooksoo, Songpyon, Galbizzim, Soondubu and Samgyetang also scored high in perception and preparation. Schools were the most frequent route of introduction to Korean traditional festival foods at a rate of 41.6%.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chools were also high at introduction rates of 38.3% and 19.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raditional Korean festival foods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as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food culture was the highest among 61.4% and 41.3% of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 'standardization of flavor, nutrition and cookery' is the most necessary action to popularize seasonal specialty foods.

  • PDF

한국음식에 대한 일본관광객의 기호도 및 재방문 의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Korean Food and Revisiting Intention of Japanese Tourists)

  • 이연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47-256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by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revisiting intentions of Japanese tourists.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280 Japanese tourists staying at Gyeongju and Busa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mong the respondents, $61.1\%$ selected 'tast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preference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On the frequency of eating, 'over 8 times per year' scored as high as $27.9\%$. The motivation of eating Korean foods was answered as 'With visiting Korea' by $48.2\%$ Thirties and forties ate Korean traditional foods more often than the others did $61.8\%$ of the Japanese tourists intended to eat more Korean traditional foods in the future. But the necessity of hygienic improvement was pointed out by $32.1\%$ of the subjects. Male subjects wanted the improvement of nutrition, taste and storage, while females shape, color and packing. The preferred Korean traditional foods were 'Bulgogi', 'Kimgui', 'BaechooKimchi', 'Bibimbap', and 'Samgaetang' in the order. On the other hand, the preference for 'Soojeongkwa', 'Songpeon', 'Kalgooksoo', 'Injelmi' and 'Sikhye' was very low. Male subjects favoured 'Cholbap', 'Ogokhap', and 'Youkgaejang', while females liked better 'Oisobaki' and 'Ddukboki. The people who were over fifties preferred 'Ssalbap', 'Boribap', 'BaechooKimchi', and 'Ggakdugi' and forties liked 'Kongbap' and 'Kimhap' better. The most effectual food items provoking revisiting intention to Korea were 'Jeon', and 'Bap', 'Meon' and 'Jjigae' were ranked in next.

  • PDF

한국 및 일본산 맥주의 당에 관한 연구 - 1. 당함량 - (Sugars in Korean and Japanese Beer - 1. Sugar Contents -)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3-149
    • /
    • 1998
  • 한국산 맥주 3가지와 일본산 맥주 21가지의 당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당함량은 1.71%∼3.93%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평균 3.15%를 나타냈다. 한국산 맥주는 에탄올 함량 4.5%짜리 뿐으로 평균 당함량은 3.24%, 일본산 에탄올 함량 4.5% 제품은 당함량 2.5%, 에탄올 5% 제품은 당함량 3.2%, 에탄올 5.5% 제품은 당함량 3.15%를 나타냈다. 비발효성 말토올리고당과 한계덱스트린은 평균 2.32%를 나타냈다. 당의 조성은 말토오스 ∼ 말토데카오스, 한계덱스트린까지 균일한 분포를 나타냈다. 그러나 식혜 당화법에서는 말토테트라오스∼말토헵타오스까지의 말토올리고당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식혜당화법을 사용하면 맥주 제조의 당화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