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Learner of Hong Kong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The Mathematic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Comparative Perspective

  • Wong, Ngai-Ying;Rowland, Tim;Chan, Wing-Sum;Cheung, Ka-Luen;Han, Ngai-Sz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4권2호
    • /
    • pp.173-194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mathematics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among England, the Chinese mainland and Hong Kong. Data were collected from a ten-item test in the SKIMA subject matter audit instrument [Rowland, T.; Martyn, S.; Barber, P. & Heal, C. (2000). Primary teacher trainees'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and classroom performance. In: T. Rowland & C. Morgan (ed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Volume 2 (pp.3-18). ME 2000e.03066] from over 500 participants.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from England performed consistently better, with those from Hong Kong being next and then followed by those from the Chinese mainland. The qualitative data revealed that participants from Hong Kong and the Chinese mainland were fluent in applying routines to solve problems, but had some difficulties in offering explanations or justifications.

홍콩의 한국어 학습자 특성 연구 - 홍콩의 대학 부설 평생교육기관 학습자를 대상으로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Enrolled in University-attached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in Hong Kong)

  • 이현주;이영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68-37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홍콩의 대학 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한국어 수업을 듣는 학습자들을 가르친 경험이 있는 한국어 강사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들을 가르치면서 알게 된 홍콩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홍콩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교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소 5년 이상 한국어를 가르친 경험이 있는 강사 1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하였다. 연령별 홍콩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으로는 20대가 가장 많았지만, 50대 이상도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등 연령층이 다양했다는 점이다. 한국어 학습의 동기 부여에 한류, 홍콩 정부의 평생 교육 보조금 지원의 영향이 컸다. 홍콩 학습자들의 특성은 적극적인 학습 욕구와 노력, 지속적인 학습 의도, 말하기에서 소극적인 참여와 절제, 개인 정보 공개에 민감함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를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는 한 반에서 다양한 연령층을 고려한 교수 학습 방법이 필요하다는 점과 홍콩 한국어 학습자들의 특성이 반영된 말하기 교수 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홍콩에서 그동안 파악되지 않았던 현지의 홍콩 한국어 일반 학습자들의 특성 분석을 통해, 학습 동기, 학습 태도, 한국어 학습을 할 때 어려워하는 점을 확인한 현장 연구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