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8초

은퇴노인가계의 경제구조 분석 (The Economic Status of Retired Elderly Households)

  • 이희숙;신상미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4호
    • /
    • pp.103-11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conomic status of retired elderly households. This study especially looked for the differences in the economic status among retired elderly households and the level of subjective financial strain.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data of 2000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conducted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levels of income in the retired households were found to be lower than those of the employed elderly households, and the transfer income took the biggest portion out of 5 income types reflecting high economic dependency. 2) The levels of expenditure were found to be similar to the minimum living cost, and the food cost at home was 41.9% of the expenditure. 3) About 40% and 27.3% of households reported that they felt financial strain due to food expenditures at home and health care respectively. 4) Ninety percent of all assets were found to be real estate, reflecting the lack of asset liquidity. Further, retired elderly households were classified as 'not at all strained financially', 'moderate', 'seriously strained', and 'extremely strained' groups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assessment. The last two groups showed the lower level of income and expenditures than the first two groups. In particular, 26.5% of retired elderly households belonged to 'extremely strained' group and showed very serious economic problems.

한국의 수질오염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Water Pollution on Life Satisfaction in Korea)

  • 김수정;강성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2호
    • /
    • pp.124-140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제1차~제15차년도 자료와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의 전반적인 생활만족도(life satisfaction)가 수질오염으로 대표되는 환경오염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서수적 순서를 가진 종속변수의 특성과 패널자료의 이질성을 감안하여 패널 확률효과 순서형 프로빗(panel random-effects ordered probit) 모형으로 추정하였다. 수질오염도를 반영하는 지표로는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총인(total phosphorus, TP) 농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와 같이 개인의 경제적 특성,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 BOD, TP 모두 개인의 생활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다른 변수들은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다. 자신의 소득 증가, 연령, 기혼, 자가주택 보유, 건강, 여성, 높은 교육수준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타인의 소득 증가, 실업자, 도시거주, 자영업자인 경우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전은퇴 남성의 주된 소득원천 및 소득액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Entirely Retired Men's Main Income Source and the Amount of Income)

  • 김지경;김하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2권1호
    • /
    • pp.57-89
    • /
    • 2008
  • Using the data of 'middle-and old-aged people' in the 6th year(2003) of KLIPS(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is study compared entirely retired men's income source and amount of income divided by the time of retirement and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main income source and amount of income level using Multinomial Logit Analysis and Tobit Analysis. The results of these were as following; First, Entirely retired men has average 1.27 income source and the amount of income from main income source is positioned at 85% of total income. This result indicates the lack of variety to get opportunities of income sources for the living and also means high risk associated with the entirely retired men if he looses the main income source. Second, most of income source of entirely retired men is spouse's earned income or private income transfers, however, if we divide those as timing of retirement and characters of each individual, it is represented that the most of income source is differentiated by the position at labor market during work life and the opportunity for building the wealth, and the possibility of obtaining public pension and public support. Third, the income level depends on what sort of income source the retired men has, this shows that there is not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obtaining a Income source and gaining above the certain level of income.

  • PDF

베이비붐세대 기혼여성의 부부생활이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the impact of the married life of married women from the baby boom generation on the Happiness Index)

  • 박미려;김영순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3호
    • /
    • pp.115-129
    • /
    • 2016
  • This study is about the happiness of married women from the baby boom generation.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married life of such women on the happiness index and to improve the happiness of married women by improving married life.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the National Women and Family Panel Survey (4th year data) carried out by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e subjects for the final analysis totaled 885 married women from the baby boom generation, born between 1955 and 1963. Of these, 550 were married women in a dual income family, and 335 were married women in a husband-income family. IBM SPSS Statistic 21.0 was used.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omen's happiness index was higher in cases where the women had a more positive view of their husbands, the more often they were involved in leisure activities, the better their conflict resolution whenever there was a clash of opinions, and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with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Second, in the case of dual income families, the women's happiness index was higher where they had a positive view of their husbands, their conflicts were better resolved, and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with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Third, in the case of married women in a husband-income family, their happiness index rose the more positively they perceived their husbands, the more often they were involved in leisure activities together, and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with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경기변동과 고용 동학에 대한 분석: 집단 간 취업-미취업 이행확률 비교를 중심으로 (Business Cycle and Labor Market Transitions : A Comparison among Demographic Groups)

  • 고영근;안태현
    • 노동경제논집
    • /
    • 제41권2호
    • /
    • pp.31-59
    • /
    • 2018
  • 본 연구는 2000~2013년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월별로 재구성하여 취업과 미취업 간의 이행확률이 경기변동에 따라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노동시장 침체 시 취업 및 미취업으로의 이행확률에서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기 침체 시 취업으로의 이행확률 감소보다는 취업에서 미취업으로의 이행확률, 즉 노동시장을 이탈할 확률이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고령층, 고졸 미만 집단은 각각 남성, 노동시장 주 연령층(36~55세), 고졸 집단보다 취업에서 미취업으로의 이행확률이 경기에 더 강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근로빈곤 결정의 제도 동학: 노동시장과 가구, 복지국가 분배 과정 분석 (Institutional Dynamics of In-Work Poverty Determination: Distributive Process of Labor Markets, Households, and the Welfare State Using Korean Welfare Panel Study, 2008-15)

  • 류기락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4호
    • /
    • pp.71-10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 4-11차년도(2008-15)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근로빈곤의 구조와 동학을 가구-노동시장-복지국가의 분배과정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간 근로빈곤 연구가 근로 및 빈곤 개념의 규정과 측정 문제를 주로 다루고 노동시장에서의 취업 및 실업 지위의 지속과 반복을 통해 빈곤 동학을 규명해 왔으나, 상대적으로 제도의 분배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는 드물었다. 본 논문에서는 노동시장에서의 임금 소득 확보, 가구 단위에서의 복지 욕구 충족과 가구원 간의 소득공유, 복지국가 단계에서의 사회보장기여금과 소득세 납부 및 공적 이전소득이 근로빈곤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근로빈곤은 전반적으로 2008-11년까지 각 단계에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그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노동시장 단계에서는 전일제 노동 여부가 근로빈곤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종사상 지위와 고용형태에 따른 근로빈곤률의 차이도 두드러졌다. 가구 단계에서는 가구 노동 강도와 소득자수가 빈곤률과 빈곤탈출에 큰 영향을 주었는데 그 관계가 반드시 선형적이지는 않았다. 복지국가는 근로빈곤 탈출에 미치는 영향이 전반적으로 작았다. 제도의 분배과정 관점에서 근로빈곤 집단은 주로 가구-복지국가 단계, 혹은 노동시장-가구-복지국가 단계 내내 근로빈곤 위험에 처하고 있었다. 모든 단계에서 근로빈곤 위험에 노출이 된 적이 없는 비위험 집단은 약 80%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그 규모에는 큰 변동이 없었다.

산업간 임금격차의 경기변동상 변화 패턴과 분단노동시장 가설 (Cyclicality of Inter-Industry Wage Gaps and Segmented Labor Market Hypotheses)

  • 신동균
    • 노동경제논집
    • /
    • 제26권3호
    • /
    • pp.77-11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와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표본으로부터 구축된 특별한 형태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노동시장이 과연 분단되어 있는가를 검증한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이 사용하여 왔던 조사 시점에서 추출된 임금률은 장기근속자들을 선택하는 성향으로 말미암아 경기역행적인 방향으로 편의를 보이고 있으며, 이 경기역행적 선택성(countercyclical selectivity)은 저임금 산업보다는 고임금 산업에서 더 크게 나타난다. 이러한 선택성 문제를 통제하고 추정한 결과 기존 연구 결과와는 달리 실질임금은 저임금 산업보다 고임금 산업에서 훨씬 더 경기순응적(procyclical)으로 움직임이 밝혀진다. 현 연구 결과는 실질임금이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있어서 훨씬 더 경기순응적이라는 기존의 연구결과들과 일치한다. 그것은 여성과 비교하여 남성은 내구재 제조업, 건설업 등 경기순응성이 높은 고임금 산업에 과다분포(over-represented)되어 있는 반면 남성과 비교하여 여성은 소매업, 서비스업 등 경기변동에 덜 민감한 저임금 산업에 과다분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보다 중요하게는 현 연구 결과는 실질임금이 이차부문에서는 상당히 경기순응적인 데에 반해 일차부문에서는 다소 경직적이라는 분단노동시장 가설들의 공통적인 예측을 기각한다.

  • PDF

유형별 가계소득과 자산이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주거보유형태별 분석- (The Influences of Household Income and Asset in the Consumption Expenditures according to Housing Tenure)

  • 김혜련;최현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91-10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influences of different types of household income and asset in the consumption expenditures of homeowners and lessees with deposit.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the 1996 Korea Household Panel Study. 1,512 households data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percentage, one-way ANOVA, crosstab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how-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the differences between three groups in the expenditure levels of each consumption category and the shares of each consumption category of total expenditures. (2) The change of labor income influenced more significantly consumption expenditures of homeowners and lessees with deposit, compared to changes of different types of household income. Also homeowners and lessees with deposit changed their consumption expenditures in different ways to changes of various types of household income. (3) Homeowners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their consumption expenditures to increase of net asset than lessees with deposit.

  • PDF

은퇴자의 건강상태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Retirement on Health)

  • 이승렬
    • 노동경제논집
    • /
    • 제30권2호
    • /
    • pp.61-86
    • /
    • 2007
  • "한국노동패널" 원자료를 이용하여 2003년 이전에 은퇴한 것으로 확인된 50~69세(2003년 현재)의 건강상태를 살펴보았다. 은퇴자는 비은퇴자와 비교할 때, 주관적 건강상태(1년 전 대비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 포함)와 객관적 건강상태(질환보유 여부, 아파서 쉰 경험, 활동 제한, 감각기관 장애, 육체적 제약, 활동 제약) 모두 좋지 않은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히 건강을 이유로 은퇴한 경우에 두드러졌다. 건강 스톡(주관적 건강상태와 객관적 건강상태)과 건강 플로우(주관적 건강상태 변화)를 피설명변수로 한 임의효과 패널프로빗 분석을 시도한 결과, 은퇴 이유나 주관건 건강 인식에 따라 은퇴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 PDF

저소득가구의 주거이동 요인 분석 (Analyzing the Residential Mobility Factors of Low-Income Households)

  • 강미;이재우
    • 부동산연구
    • /
    • 제28권3호
    • /
    • pp.79-94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의 11차 연도부터 19차 연도자료를 이용하여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득계층을 구분한 후 저소득계층의 계층변동이 없는 가구와 변동이 있는 가구의 주거이동 영향요인을 전체가구와의 비교를 통해 이들의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저소득층은 주거이동확률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전체가구와 데이터를 분할하여 살펴본 가구특성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연령과 점유형태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계층 변동이 없는 가구에서 연령과 주거비용, 전월세의 임차가구만이 유의함을 보임으로써 이들의 주거비부담 완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소득계층의 변동이 있는 가구에서는 총소득과 상용직 종사자수가 전체가구와 마찬가지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나 저소득계층의 고용 안정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저소득계층 내에서도 불균형이 심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저소득층의 소득향상과 주거안정을 위해 지속적인 실태조사를 통한 주택정책을 펴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