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LIS curriculum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4초

문헌정보학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 운영과 학습만족도 측정연구 (A Study on the LIS Capstone Design Curriculum and the Learning Satisfaction Survey)

  • 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89-11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에 캡스톤 디자인 과목을 개설하고 강의계획서 및 매뉴얼을 개발하여 적용하였으며, 교육전후 설문을 통하여 교과목 성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필요요소는 수행기대효과와 0.414의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학습성과기대와는 0.452의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수행기대효과는 학습성과기대와 0.767의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둘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에 대한 이해정도는 교육과정 수행 전 3.56이었으나 교육과정 수행 후 4.07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의 필요요소에 대한 인식은 교육과정 수행 전 4.13이었으나 교육과정 수행 후 4.39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의 수행기대효과에 대한 인식은 교육과정 수행 전 3.77이었으나 교육과정 수행 후 3.88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의 학습성과에 대한 인식은 교육과정 수행 전 3.79이었으나 교육과정 수행 후 4.22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Suggesting Structure and Direction of 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Applying Design Thinking Methods

  • 이경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39-363
    • /
    • 2023
  • In response to the changing needs of users and library service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library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that reflects such change and to foster competent librarians. Recent studies abroad have emphasized the need for librarians who can apply design thinking methods which is a problem-solving methodology that expansively explores various alternatives and derives results, in response to recent changes and problems occurring in libraries.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how design thinking methods can be taught an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and librarians involved in the course, a case study is conducted of a class that applied design thinking methods and students and librarians have been interviewed who had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class. By reflecting on the needs of students and librarians', this study explored new directions of what forms courses can take for future libraria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mong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design thinking, the value of cooperation, problem-solving ability, flexibility and iteration of design characteristics was considered as the value of a class for LIS students and librarians where design thinking methods were applied. From the findings, the research suggests future directions of creating more structured courses that involve an element of design thinking.

연구방법론 과목의 교육내용 및 현황분석 (Research Methods and Library & Information Spence Education)

  • 박소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9-326
    • /
    • 2002
  • 한 학문분야의 연구의 질을 향상시키고, 연구를 수행하거나 비판할 수 있는 연구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연구방법론의 견실한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석사 과정에서의 연구방법론 교육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고, 연구방법론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석사과정이 개선된 국내 22개 문헌정보학과 및 도서관학과를 대상으로 연구방법론 교육의 개선현황, 특성과 동향을 분석하고, 미국 문헌정보학 석사과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향후 연구방법론 교육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우리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 공공도서관 사서직에 적합한가? (LIS curriculum in korea, Is it proper for public librarianship)

  • 이기명;이제환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5년도 제12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5-233
    • /
    • 2005
  • 이 연구는 '우리 문헌정보학은 현장의 요구와 필요에 충실히 부응하고 있는가?'에 대한 기본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공공도서관 현장의 요구를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이 얼마나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조사하기위해 공공도서관 사서들이 업무수행을 위해 필요로 하고 있는 지식(knowledge), 기술(skill)과 태도(attitude)는 무엇인가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도서관 현장의 관점을 중시하며 공공도서관 사서직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해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이 보완${\cdot}$강화해 나가야 할 부분을 짚어보았다.

  • PDF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실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ng the Practicalness of Library and Information Courses in Korea)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2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교과목들의 현장필요성을 평가하고 교과과정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현장사서들을 대상으로 현재의 교과목운영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기반으로 구체적으로 필수 또는 핵심과목, 그리고 선택과목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필수과목으로 사서실습,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학(분류목록), 정보조사 제공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등 6개 과목, 핵심과목으로 정보자료분류목록실습, 주제별정보원(참고정보원), 장서개발론, 디지털도서관론, 서지학개론, 기록관리학개론 등 6개 과목, 나머지 과목은 학교의 상황 및 교수진의 구성에 따라 선택과목으로 개설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교육방법으로 사서실습 및 현장답사를 통한 교육, 발표 및 토론위주 교육을 제안하며,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내실화를 위해 중요한 것은 교육주제의 최신성, 교육내용의 전문성, 교육자의 전문성 및 자질, 교육교재의 전문성, 담당과목과 담당교수의 전공상관도 제고 등이다.

문헌정보학과의 인재상 및 전공역량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Talent Model and Major Competence of the LIS)

  • 노영희;신영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1-62
    • /
    • 2016
  • 인재상 및 핵심역량 기반 교육이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K대학 문헌정보학과의 인재상 및 전공역량을 개발하고, 이에 적합한 교과목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분석, 전문가 의견수렴, 그리고 수요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정보학과에 요구되는 인재상은 큐레이션 인재, 지능 인재, 서비스 인재, 기술 인재, 전문 인재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인재상별 요구역량은 문헌정보 수집능력, 조직능력, 보존능력 등 15개의 전공역량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대학의 교과목은 이러한 인재상 및 전공역량을 실현하기 위해서 교과목의 추가가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에는 국가차원에서 사서의 인재상 및 전공역량 개발이 요구되며, 더불어 NCS 기반 교육과정의 개발과 도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Constructing a Metadata Database to Enhance Internet Retrieval of Educational Materials

  • Oh Sam-Gyun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43-156
    • /
    • 1998
  • 이 논문은 미국 초중고교 교사들을 이용 대상자로 인터넷 상에 산재해 있는 강의안 및 교육자료의 메타데이터 DB를 구축한 GEM 프로젝트에 대한 보고이다. GEM 프로젝트에서는 현재 거의 표준으로 간주되는 더블린 코어의 15개 요소(Elements)를 채택하였고, 여기에 8개 요소를 첨가하여 검색을 원활히 하고자 하였다. GEM 메타데이터 DB의 구축에는 메타데이터 요소들간의 관계를 좀 더 명확히 표현할 수 있는 개념적 데이터 마들링을 사용하였고 메타데이터는 Sybase라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했으며, 이 DB에 웹 인터페이스를 장착하는데에는 Microsoft 액티브 서버 페이지 (ASP) 기술을 이용하였다. GEM 메타데이터의 실제목록은 미국 전역에서 참가하고있는 컨소시엄 회원들에 의해서 이뤄지고 있으며, 그 결과는 인터넷을 통해 Sybas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적으로 입력된다. 이 논문에서는 더블린코어, GEM의 개념 및 논리 스키마들을 제시하는 한편, 메타데이터 DB의 구축에 개념적 데이터 마들링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장점들을 논하였다. GEM 프로토타입 시스템이 가동되고 있는 URL은 다음과 같다: http://lis.skku.ac.kr/gem/.

  • PDF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서의 어린이청소년 문학 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Children's and Young Adult Literature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artm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A Study of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 임여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03-329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과 대학에서 수행되는 어린이청소년 문학 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문헌정보학과의 학부와 대학원에 개설된 어린이청소년 문학 관련 교과목의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 대학 문헌정보학과에서 어린이청소년 문학 관련 교과목을 강의한 경험이 있는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국내 문헌정보학과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평균 1.7개의 어린이청소년 문학 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데, 개설 과목이 1개 이하인 학교가 전체 대학의 36%이며, 학부와 대학원 모두 개설 과목이 대체로 '독서지도론'에 편중되어 있었다. 설문 응답자 29명 중 자신이 담당하는 어린이청소년 문학 관련 교과목에서 '어린이청소년 문학'에 관한 내용을 가르친다고 응답한 이는 24명(83%) 이었다. 교수자들이 수업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장르는 그림책이었으며, 적은 시간을 할애하는 장르는 SF, 판타지, 만화 등 다양했다. 상대적으로 소홀한 장르가 있을 수밖에 없는 가장 큰 이유는 수업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부족한 수업 시간은 어린이청소년 문학을 가르치며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지적되기도 했다. 설문 응답자 중에는 스스로 어린이청소년 문학에 대한 이해 역량을 갖고 있으면서도 어린이청소년 문학의 전문가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일부 존재했는데, 면담 대상자들은 어린이청소년 문학과 관련한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강점을 스스로 인정하지 못하는 분위기를 안타까워했다. 면담 대상자 모두와 일부 설문 응답자들은 문헌정보학과에서의 어린이청소년 문학 교육이 현장 중심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수자들은 토론, 스토리텔링 실습, 리뷰 작성 등 다양한 교수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졸업 후 실제 도서관에서 어린이청소년 서비스를 제공할 때 도움이 되는 지식을 습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도서관장애인서비스 담당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inuing Education & Training Program for the Disabled Users Service Special Librarian)

  • 김혜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3-197
    • /
    • 2015
  • 본 연구는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양성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하여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문화과에서 수행한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계속교육 강좌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얻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역량강화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제안되는 프로그램 모형은 Track 1, 2로 나누었으며, 교육 형태는 사이버형 교육, 집합형 교육, 그리고 혼합형 교육으로 편성하였다.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인터넷 기반 교육용 컨텐츠 개발 및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Internet-Based Educational Contents Development and Evaluation for Teacher Librarian's Competency)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55-373
    • /
    • 2009
  • 최근 학교도서관에서는 도서관협력수업을 통해서 교과학습과 동시에 정보활용능력을 신장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즉, 수업전문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사서교사 양성 체제는 제도적으로 미흡하고, 커리큘럼 편성에 있어서 사서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기반의 사서교사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컨텐츠를 개발하고, 컨텐츠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터넷 기반의 사서교사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컨텐츠는 강의 전용 저작도구인 LectureMAKER v2.0으로 제작하였으며, 5점 척도의 20개 문항으로 구성된 지필 검사지로 사전 사후 분석을 실시하여 개발한 컨텐츠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레빈의 등분산 검증과 대응표본 t-검정 기법을 적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