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Hemiculter fishe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산 살치속(Hemiculter) 어류의 분자계통분류학적 위치 (Molecular Phylogenetic Status of Korean Hemiculter Species)

  • 김맹진;이재성;송춘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2-78
    • /
    • 2014
  • We investigated the molecular phylogeny and genetic differences among local populations of Korean Hemiculter fishes based on their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sequenc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Hemiculter leucisculus populations in China were clear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Group 1) included the populations of the Yangtze River and its surrounding areas (including the Qiantangjiang, Lingjiang, Jiulongjiang, and Minjiang rivers); the second group (Group 2) contained local populations from southern China (including the Nanliujiang, Zhujiang, Wanquanhe, Qianjiang, and Nandujiang rivers). The Korean Hemiculter eigenmanni differed in its cytochrome b gene sequence by 0.6-1.0% from the Chinese H. leucisculus (Group 1), which inhabited the Yangtze River and its surrounding areas, suggesting they were phylogenetically close and likely to be the same species. The Korean H. leucisculus differed from the Chinese H. leucisculus (both Groups 1 and 2) by 8.1-9.5%, indicating a very distant phylogenetic relationship; however, the Korean H. leucisculus differed from Hemiculter bleekeri by only 0.5-0.7%, showing intraspecific nucleotide differences. We conclude that the taxon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H. leucisculus and H. bleekeri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using type specimens.

경상북도 포항시 저수지에서 채집된 어류상 (Ichthyofauna collected from reservoirs in Pohang-si, Gyeongsangbuk-do)

  • 유동재;한경호;이성훈;임후순;황재호;이진희;강경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63-370
    • /
    • 2008
  • The ichthyofauna of certain reservoirs in Pohang-si, Gyeongsangbuk-do, were studied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7-19, 2005. During the study period, 9,480 individuals (ind.) belonging to 22 species, 17 genera, 8 families and 4 orders were collected. Of these, 11 species were cyprinidae fishes, and the dominant species was Pseudorasbora parva (relative abundance 47.14%). There were six Korean endemic species (289 ind., relative abundance 3.04%), including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Squalidus mulimaculatus, Hemiculter eigenmanni, Iksookimia yongdokensis and Coreoperca herzi, and the dominant Korean endemic species was Pseudobagrus brevicorpus (relative abundance 3.04%) collected in Hoehakji, Cheonggyeji, Ahnsimji and Mabukji. There were five introduced species. Three species, including Hemiculter eigenmanni, Pseudobagrus fulvidraco and Hypomesus nipponensis, were introduced from other native stream systems, and two species, including Carassius cuvieri and Lepomis macrochirus, originated in foreign countries. Of these, Lepomis macrochirus (l,521 ind., relative abundance 16.05%) was collected at the all reservoirs except at Gidongj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otic fishes in question have been widely dispersed within the reservoirs in Pohang-si.

옥정호에 도입된 배스 Micropterus salmoides의 식성 및 어류상에 미치는 영향 (Feeding Habits of an Introduced Large 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Perciformes; Centrachidae), and Its Influence on Ichthyofauna in the Lake Okjeong, Korea)

  • 고명훈;박종영;이용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6-44
    • /
    • 2008
  •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옥정호에 도입된 외래어종 배스 Micropterus salmoides를 채집하여 식성을 조사하였다. 채집된 배스의 체장범위는 13~511 mm (n= 419)였다. 배스는 강한 육식성 어종으로 주로 어류를 섭식하였으며 그밖에 수서곤충과 새우류 등을 섭식하였다. 배스는 성장하면서 식성이 변하였는데, 10~20mm는 주로 지각류를 섭식하였고, 30~50 mm은 수서곤충과 소형어류를, 50 mm 이상의 개체는 피라미, 치리, 밀어와 같은 어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1981년부터 옥정호의 어류상을 분석한 결과, 강한 육식성 어종인 배스의 도입은 옥정호 토착종의 다양도와 출현비율의 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섬진강의 유로변갱이 동진강 어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eam Modification in the Seomjin River on the Fish Communities of the Dongjin River in Korea)

  • 김익수;이완옥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49-556
    • /
    • 1984
  • 1982년 7월부터 1984년 5월까지 동진강의 본류와 여러 지류에서 채집된 담수어류는 모두 10과 38속48종이고 기수역에서는 해산어류 17속 18종이 동정되었다. 동진강 본류의 우점종은 Rhinogobius brunneus 와 Zacco platypus이고, 각 지류에서는 Abbottina springeri, Hemiculter eigenmanni 및 Moroco oxycephalus 등이며 특히 본 조사 수역에서 Pelteobagrus nitidus 와 Lefua costata의 서식이 확인된 것은 담수어의 지리적 분포에 있어 주목되는 사실이다. 한편 섬진강 수류가 동진강에 유입되므로 인하여 섬진강에 서식하던Hypomesus olidus, Hemiculter eigenmanni, Pseudobagrus sp., Liobagrus mediadiposalis, Cobitis taenia striata 및 Lepomis macrchirus가 도입되었으나 이 어류들은 모두 생태적으 로 안정되지 않았다. 동진강 본류의 중간수역에는 섬진강에서 도입된 Cobitis taenia striata와 동진강 중하류에 서식하는 C. taenia lutheri의 2아종이 재결합하여 형성되었다고 추측되는 중간형의 많은 표본이 출현하였다. 한편 동진강 본류와 상중류에 서식하는 C. koreensis의 체측반문의 모양자 수는 C. koreensis의 다른 지리집단의 것과 비교하여 볼 때 큰 차이가 있었는데, 이것도 섬진강 수류의 유입에 의한 찬 수온과 빠른 유속 등의 환경에 기인된 것이라 사료된다.

  • PDF

영산강 수계 댐호의 육수생물학적 비교연구 ( 1 ) - 어류상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Limno-biological Aspects of the Dammed Lakes in the Youngsan River in Korea - Centering on Fish Fauna -)

  • Nah, Chang-So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1호
    • /
    • pp.51-65
    • /
    • 1989
  • Some aspects of limno-biology of the five dammed lakes such as Tamyang, Changsong, Kwangju, Naju, and Youngsan Lake along the Yongsan River were investigated from June 1986 to July 1988 for the comparison on the lentic ecosystems in relation to the fish fauna. Sixty four fish species representing 48 genera and 21 families of fishes were collected in these dammed areas, which included 29 species of the family Cyprinidea and 40 speaies of the primary fresh-water fishes. Among, these, 12 species such as Rhodeus Acheilognothus yamatsutae, A canathorhodeus gracilis, Sarcocheilichthys nigripinis morii, S. variegatus wakiyae, Gnathopogon strigatus, Squalidus gracilis majimae, Microphysogobio yaluensis, Cobitis longicorpus sp, Liobagrus mediadiposalis and Odontobutis platycephala are enddmic to Korea. Leiocassis nitidus and Gasterosteus aculeatus which occur in these water areas take note of the zooge rographic study of Korea. The fish species in each of the dammed lakes is in proportion of the scale of the lakes such as 32 species in Thamyang, 40 species in Changsong, 24 species in Kwangju, 35 species in Jaju, and 52 species in Yongsan Lake. The dominant fish species of the 4 upper dammed lakes of Thamyang, Changsong, Kwangju and Naju Lake are Zacco platypus and Rhodeus uyekii, while those of Youngsan Lake are Hemiculter eigenmanni and Carassius auratus. This difference of fish species of those areas suggests that the upper damed lake differ from the lower dammed lakes in the habitable condition of fishes. The migratory fish species have significantly declined and will continue to decline in both population size and number of species in the dammed lakes in near future as a result of the dam construction barriers in the river estuary. The major migratory fishes of this water area are as follows; Anguilla japonica, Plecoglossus altivelis, Hypomesus olidus, Gasterosteus aculeatus, Konosirus Punctatus, Coilia ectens, Hemirhampus sajori, Mugil cephalus. Acanthogobius flavimanus, and Takifugu ocellatus.

  • PDF

경상북도 경주시 저수지에서 채집된 어류상 (Ichthyofauna from Reservoirs in Gyeongju-si, Gyeongsangbuk-do, Korea)

  • 유동재;한경호;임후순;서원일;이성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8-46
    • /
    • 2009
  • 2005년 8월 17일부터 9월 22일까지 경주시 소재의 만수면적 10 ha 이상인 저수지 13개를 선정하여 어류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저수지에서 출현한 어류는 총 4목 9과 20속 25종 22,747개체로 잉어과에 속하는 어종이 14종으로 가장 많은 출현 종수를 차지하였고, 참붕어가 총 11,893개체 (52.28%) 채집되어 가장 우점하였다. 한반도 고유어종은 참중고기, 참몰개, 점몰개, 치리, 꼬치동자개, 동사리 등 6종이 1,935개체가 채집되어 전체 저수지에서 출현한 어종의 개체수 구성비 8.51%였고, 이중 참몰개가 하곡지(St. 2), 송선지(St. 9), 화곡지(St. 10), 명계지(St. 12) 및 하동지(St. 13)에서 총 1,727개체(7.59%) 출현하여 고유어종 중 가장 높은 출현율을 나타내었다. 외래어종은 국내 타지역에서 도입된 어종이 치리, 동자개, 빙어 등 3종 4,775개체(20.99%)이었고, 국외에서 도입된 어종이 이스라엘잉어, 떡붕어, 블루길 등 3종 915개체(4.01%)이었다. 환경부에서 생태계교란야생동 식물로 지정한 블루길이 911개체 채집되어 전체 개체수 구성비의 4.00%를 차지하였고, 옥산지(St. 1) 외 6개의 저수지에서 출현하였다.

파로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in Lake Paro)

  • 최재석;장영수;이광열;김진국;권오길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111-119
    • /
    • 2004
  • 2002년 12월부터 2003년 9월까지 파로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어류는 총 12과 45종이었다. 한국고유종은 H. mylodon, A. yanatsutae, C. herzi 등 15종 (33.33%)이었다. 우점종은 Z. platypus (72.41%), 아우점종은 H. labeo (9.75%)였고 우세종은 O. uncirostris amurensis (5.98%), Z. temmincki (2.42%), R. brunneus (2.01%), H. olidus (0.88%) 등이었다. 채집된 어종들의 생체량은 Z. platypus 82,863.15g, H. labeo 32,942.63 g, O. uncirostris amurensis 27,482.39 g, C. carpio 6,502.87 g, A. japonica 3,022.15 g,S. scherzeri 2,711.05g의 순으로 나타났다. 파로호에서 확인된 도입종은 A.japonica, H. eigenmanni, H. olidus, O. masou masou, C. urotaenius, R. giurinus, C. carpio (Israeli type), C. cuvieri, M. salmoides, L. macrochirus의 10종이었다. 이 중 C. carpio (Israeli type), C. cuvieri, M. salmoides, L. macrochirus는 국외종이며 A. japonica, H. eigenmanni, H. olidus, O. masou masou, C. urotaenius, R. giurinus는 국내 다른 하천으로부터 도입된 종이다.

안동.임하호에 서식하는 수종 어류의 조직 내 중금속 함량 (Heavy Metal Contents in Tissues of Fishes in Andong and Imha Reservoirs)

  • 신명자;박영미;이종은;서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1378-1384
    • /
    • 2010
  • 안동호와 임하호에 서식하는 끄리(O. bidens), 잉어(C. carpio), 치리(H. eigenmanni), 백조어(C. brevicauda)의 부위에 따른 중금속 축적량을 비교하여 수환경 내 중금속이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동호와 임하호에 서식하는 어류의 중금속 함량은 안동호에 서식하는 어류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중금속에 따라 함량의 차이도 컸다. 안동호와 임하호에 서식하는 어류에서 Cr, Cu, Zn 및 Pb은 뼈 조직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고, Cd는 신장 조직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부위별 중금속함량은 Pb와 Zn을 제외한 전 중금속에서 높은 차이를 보였으며, 중금속별로는 Zn이 가장 많았고 Cd가 가장 낮았다. 또한 Cr은 안동호의 어류에서 임하호 보다 2배의 높은 함량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안동호에 서식하는 어류가 임하호에 서식하는 어류 보다 중금속 함량이 높았으며, 이는 안동호의 수질과 저니에서 중금속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아 수환경의 수질과 저니에 포함된 유기물을 어류가 먹이로 섭취함으로써 어류에서도 높은 함량을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회천 및 인접 소하천들의 어류상과 군집 구조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Structure in the Hoecheon Stream and Some Adjacent Tributaries of the Nakdonggang River, Korea)

  • 채병수;김상기;강영훈;허남수;유동욱;박재민;하헌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5-217
    • /
    • 2017
  • 2016년 7월부터 2017년 8월까지 낙동강수계의 1차 지류인 회천과 인접한 소하천들에서 24개 지점의 어류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모두 11과 32속 42종 4형의 어류가 확인되었다. 그중 잉어과 어류가 24종 4형(59.1%)으로 가장 많았다. 한반도 고유종은 A. yamatsutae와 Odontobutis platycephala 등의 16종이었다. 멸종위기야생생물에 해당하는 종은 I급에 Pseudobagrus brevicorpus와 Koreocobitis naktongensis, II급에 Culter brevicauda로 3종이 출현하였다. 외래종은 Lepomis macrochirus와 Micropterus salmoides의 두 종이 있었으며, 국내이입종은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Hemiculter eigenmanni, O. interrupta, Tridentiger brevispinis의 4종이 확인되었다. 우점종은 Zacco koreanus NS (19.16%), 아우점종은 Zacco platypus R(17.17%)이었다. 회천과 인접 하천 수계 전체에서는 다양도 2.894, 균등도 0.765, 우점도 0.353, 종풍부도 4.668로 나타나 다양하고 안정된 어류군집을 이루고 있었다. 어류군집 간의 유사도를 바탕으로 작성한 수지도에서는 상류집단, 중류집단, 중하류집단, 하류집단의 4집단으로 구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