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Resident Foreigner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국내거주외국인의 생활만족도와 소비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Life Satisfac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of Resident Foreigners in Korea)

  • 김현주;나종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33-146
    • /
    • 2008
  • This study investgat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s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 foreigners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survey and 545 foreigners who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3 months, with age over 20 participated as respondents. A research framework was formulated based on the resource constraint hypothesis a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information resource(human, media and internet information source) and consumer resource(monthly income, language ability and consumer proficiency) on the levels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from data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consumer problems of resident foreigners in Korea indicated that resident foreigners recognize a burden for residence cost, food expense and education fee. Most of resident foreigners in Korea are found to use small local shops most often indicating they may experience adverse market environment due to resource constraint such as language or psychological barrier, and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most often used payment method was cash. Furthermore, resident foreigners in Korea responded that lack of language service, lack of information provision, inability to use certain goods and services are the common cause of consumer dissatisfaction, as well as price and quality problems. Second, the level of consumer satisfaction (2.96 in 4.0) is higher tha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2.63 in 4.0). Thir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 level of consumer satisfaction. The level of consumer satisfaction is by the media information source usage and consumer claim experience. Fourth, the level of consumer satisfaction is found to be the variable with the strongest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서울 지역 일부 외국인의 한국음식에 대한 적응도 및 기호도 (Adaptability and Preference to Korean Food with Foreigners Who Reside in Seoul, Korea)

  • 박수진;김동주;신원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782-79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orea-resident foreigners's adaptability and preference to Korean foods. The survey was carried out among 144 foreigners living in Seoul, Korea (male 57, female 87; from the East 109, from the West 35). Based on the first impression of Korean food, 'spicy', 'strong taste of seasoning', 'salty' were most common. About 90 percent of the foreigners adapted to Korean food in six months. It took more time to adapt to Korean food for Western people, compared to people from the East. Factors that influenced their adaption to Korean food were shown to be 'efforts by myself' and 'from friends'. Foreigners posited positive attitude toward Korean food according to their answers like 'nutritionally great food' and 'food with interesting ways of eating'. Westerners appeared to be more satisfied with Korean food. 'Too strong seasoning taste' and 'too sweet' were pointed out for further improvements. Beef Bulgogi, (Korean) fruit, Beef Ribs, Pork Ribs, and Grilled Pork Belly in order were foreigners' favorite foods, but Soju, Korean Sausage, Sliced Rice Cake Soup, Radish Kimchi and Vegetable Side Dishes were not. Taken together, the adaptability and preference to Korean foods to foreigne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der and cultural background. Target marketing strategy of Korean Foods should be considered for foreign customers.

국내거주 외국인의 재난 시 서비스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oreigners in the Country for the Occurrence of Disasters)

  • Koo, Wonhoi;Park, Jinchan;Baek, Minh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279-28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의 현황을 검토하고 이를 대상으로 재난의 경험 여부, 재난발생 시 위험성 및 문제점, 재난대응활동을 위한 서비스의 요구도 등에 대하여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재난발생 시 언어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신고의 어려움, 신고의 방법을 모른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신고를 접수할 수 있는 외국어 가능 전문인력을 확충하고 재난안전서비스가 필요한 곳에 지속적으로 제공해줄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언어적인 문제와 신고방법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제도적인 대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다문화 사회의 위협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한국인과 거주 외국인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Threat Awareness of Multiculture Society: Focusing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Koreans and Resident Foreigners in Korea)

  • 정하나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2호
    • /
    • pp.83-112
    • /
    • 2016
  • 한국사회에서 이주민의 증가는 서구 이민 국가에서 볼 수 있었던 인종, 문화적 다양성이 한국사회 전반에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인지하고 관련 연구들을 지속적으로 시행해왔다. 그러나 점차 이주민이 확대되고 세분화되면서 주류 집단인 한국인들과 함께 이주민들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한국 사회가 인종적, 민족적으로 다양화 되는 것을 위협으로 받아들이는 인식이 있음에도 그동안의 연구는 반이주적정서에 대한 요인이 아닌 다문화 지향에만 초점을 맞춰온 경향이 적지 않아 위협에 대한 연구 역시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를 위협으로 인지하는데 있어 이주민과 한국인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다문화 사회에 맞는 정책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국민 정체성, 사회적 거리감, 차별인지 및 집단 편견으로 다문화 위협에 대한 한국인과 이주민의 인식지형을 파악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한국인과 이주민 사이의 인식차이는 존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른 정책 방향이 필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첫째, 한국인의 다문화 태도를 결정하는 것은 접촉경험이었다. 접촉경험의 영향력이 높다는 것은 다문화 사회를 당연시하게 받아들이고 있지만 실제 이주민을 접하는 경험이 낮아 접촉이 강화되었을 때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정책적 도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이주민들의 경우 자신들의 차별을 인정하지 않고 편견이 강화될수록 다문화를 위협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는 이들이 가진 이중정체성, 즉 한국인에 대해서는 외국인이지만 다른 외국인과 자신을 구별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경우 한국 사회에서의 동화만이 대안이 아니며 자신들의 민족 정체성 강화를 위한 진정한 다문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함의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다문화정책 방향 제시 및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Planning and Modelling of Multicultural Policy in Korea)

  • 이혜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337-366
    • /
    • 2015
  • 본 연구는 사회 전반적으로 국내 거주 외국인 등의 사회적응 및 통합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사실과 동일 지역 내 다문화 서비스 중복이 발생한다는 사실이 상충되고 있음에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여, 우리나라 다문화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세 단계로 세분화된 다문화정책 수립 과정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다문화정책을 수립하는 장을 단일화하여, 관련된 부처 기능을 강조하는 동시에, 부처 간의 협력을 이끌어 내는 것이며, 두 번째 단계에서는 지리적 행정적 환경을 고려한 특정 지역 단위의 다문화기관 연계망 구축을 제안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개별 기관들의 활동에 초점을 두어, 관종별 도서관, 학교, 다문화지원센터, 사회복지기관, 체력증진센터, 주민센터, 문화시설 등 관련기관들의 협력을 도출하였으며, 부가적으로 시민단체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문화 정책 방향성과 모형화를 위한 도서관계의 구체적인 노력으로 다문화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정보 공유의 장인 메타 플랫폼을 제안하였으며, 다문화정책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정책의 모형을 구축하고 세분화하여, 다문화주의의 통합에 도달하는 단계를 구체화하였으며, 다문화정책 수립 시 고려되어야 할 인구학적 지리학적 특성 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