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Pavement Management System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32초

생애주기비용을 고려한 도로포장의 자산가치 평가에 대한 연구 (Asset Evaluation Method for Road Pavement Considering Life Cycle Cost)

  • 도명식;김정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1D호
    • /
    • pp.63-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도로포장의 장기 공용성 추정 및 자산가치 평가를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구축하여, 도로 포장의 공용성 평가와 생애주기분석을 통한 예방적 유지보수를 위한 최적 타이밍의 결정 등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일정한 금액의 예산으로 예산수준에 맞게 유지보수의 장소를 선정하는 근시안적인 예산관리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로관리자가 필요한 예산의 수준을 예측할 수 있도록 장기 소요예산 예측시스템 및 경제성원리를 도입하여 최소 비용으로 도로의 공용성을 유지하기 위한 도로포장자산평가시스템의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로포장자산평가시스템 활용에 있어서, 적정수준의 포장평가지수를 유지하기 위해 대상구간의 당해년도 필요유지예산을 참고하여 효율적으로 예산을 편성할 경우, 가장 합리적인 도로포장 유지보수 예산을 분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불필요한 예산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도로포장의 장기 공용성 추정 및 자산가치 평가를 위한 의사결정 시스템 개발을 통해 최적 유지보수 기준의 제시 및 새로운 도로포장의 공법 도입을 위한 사전 평가 및 타당성 분석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IS를 활용한 전국 일반국도 포장상태 조사 데이터 관리 및 검증 기능 시스템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Pavement Management and Evaluation System for National Highway Pavement Using GIS)

  • 임재규;김성희;이석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603-1605
    • /
    • 2013
  • 산업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토목분야도 GIS, DBMS 등 다양한 정보시스템을 도입하여 국가 발전의 선구자 역할을 주도 하고 있다. 토목분야 중에서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도로 포장관리시스템(PMS)에도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도로포장 관리를 위해 GIS 및 DBMS를 운용하고 있다. 전국 일반국도 포장상태 조사 및 자료 검증의 경우 DBMS를 통해 포장 상태 산출과 평가 신뢰성이 확보되어 효율적 예산 배치 및 정확한 포장상태 관리의 기반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GIS 기반의 전국 일반 국도 포장상태 조사 지점 관리 및 자료 검증 시스템 개발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도로면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최적 경로계획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n Optimal Trajectory Planning Algorithm for Automated Pavement Crack Sealer)

  • 유현석;이정호;김영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68-79
    • /
    • 2010
  • 도로면 크랙실링 공법은 예방적 차원에서 도로면에 발생된 크랙을 초기에 효과적으로 보수할 수 있는 공법으로 국내외에 서는 1990년대 초반부터 기존 도로면 크랙실링 작업의 생산성, 안전성 및 품질의 균일성 확보를 목적으로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 노력을 수행해 왔다. 도로면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특히 경로계획은 주어진 작업 영역 내에서 개발 장비로 하여금 실링될 크랙 네트워크를 시간 효과적으로 횡단할 수 있도록 하는 운항 정보를 제공하게 되므로 이는 개발 장비의 성능을 결정 짖는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 영역 내 경로계획 데이터의 효과적인 모델링을 통해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최적 경로계획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으로써, 경로 집합전체를 완전 탐색하는 2단계 트리 알고리즘과 크랙의 순열만을 탐색하는 1단계 트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알고리즘의 성능 측정 및 분석을 통해 최적 경로계획 알고리즘의 적용 범위와 그에 따른 성능 향상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도로면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스팔트 포장의 품질향상을 위한 정보화 시공법 개발 (Developing Computer Integrated Construction Methodologies to Improve Quality of Asphalt Pavement)

  • 이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지
    • /
    • pp.208-213
    • /
    • 2001
  • The current progress in computer and electrical engineering has enabled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implement innovative technologies in design and engineering. However, the construction segment is still largely based on experience, and this makes it difficult to meet the recent rigorous specifications, especially in the highway construc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current progress and the findings in the development of the computer integrated asphalt paving system, which is expected to assist the equipment operators to construct the quality pavement. The technologies to collect the required information, preferably in real-time, were reviewed comprehensively, and the selected technologies are proposed for the future development. Positional and thermal data were collected at the sample project in real-time to verify the capability of the available technologi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method to confirm th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compaction of the sample project, and to develop the empirical model, which can be adopted in the future system.

  • PDF

소음도·인공지능 기반 포장상태등급 평가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Noise and AI-based Pavement Condition Rating Evaluation System)

  • 한대석;김영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도로 포장 유지관리에 필요한 핵심정보를 생산해 낼 수 있는 저비용·고효율 포장상태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시각정보와 고가 센서에 의존하는 기존 장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소음과 인공지능 기반의 포장상태등급 평가시스템을 고안하였다. 시스템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 정립부터 기능 정의, 정보흐름 및 아키텍쳐 설계 과정을 거쳤으며, 생산된 프로토타입에 대한 성능 검증과 활용 전주기에 대한 실증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높은 수준의 인공지능 평가 신뢰도가 확보되었으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적 요소 외에도 시스템 활용에 관한 짜임새 있는 가이드라인이 개발되었다. 또한 현장평가 과정을 통해 비전문가도 쉽고 빠른 조사와 분석이 가능하고, 직관적인 시각적 정보 제공을 통해 관리자의 업무 지원이 가능함도 확인하였다. 반면에 학습에 고려되지 않은 외부 조건에 대한 선행 판별 기술, 시스템 간소화, 가변 주행속도 대응 기술 등 기술의 완성도 제고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1960년대 이후 반세기 이상 지속되어온 포장상태 모니터링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되길 기대한다.

시도로 포장관리체계(PMS) 구성요소 최적화 연구 (안산시 Prototype PMS 개발사례) (Optimization of Municipal Pavement Management System(PMS) Components (Development of a Prototype PMS for Ansan City))

  • 박상규;서영찬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2권4호
    • /
    • pp.111-122
    • /
    • 2000
  • 우리나라 도로중 PMS가 구축된 도로는 현재, 고속도로와 국도가 있다. 그러나 많은 시(市)에서 도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시도로 PMS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단위에 적용가능한 Prototype PMS 전산시스템을 개발 제시하였다. 개발한 PMS는 기본적으로 PC 수준에서 운영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GIS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포장상태나 유지보수 현황 및 계획을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본 PMS의 기능상 구성은 크게 조회, 분석, 자료관리, 출력 부분으로 구축하였다. 특히, 분석과정의 주논리(보수우선순위결정, 보수공법결정)부분은 필요시 사용자가 각 항목의 criteria 값을 수정 할 수 있게 하여 시스템운영이 경직되지 않도록 배려하였다. PMS 데이터베이스의 항목은 시도로 PMS의 규모 및 목적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또한 PMS에서 사용된 도로 관리길이 및 위치 지정체계는 노선을 기준으로 기본 100m길이의 section으로 분할관리하였으며, 위치 지정체계 방식은 reference points 방식을 기본으로 사용하였다.

  • PDF

도심지 아스팔트 포장의 유지보수공법 의사결정 절차 개선 (Improvement of a Decision Tree for The Rehabilitation of Asphalt Pavement in City Road)

  • 박창규;김원재;김태우;이진욱;백종은;이현종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27-37
    • /
    • 2018
  • PURPOS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avement rehabilitation decision tree considering current pavement condition by evaluating severity and distress types such as roughness, cracking and rutting. METHODS : To improve the proposed overall rehabilitation decision tree, current decision tree from Korea and decision trees from other countries were summarized and investigated. The problem when applying the current rehabilitation method obtained from the decision tree applied in Seoul was further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decision trees do not consider different distress characteristics such as crack type, road types and functions. Because of this, different distress values for IRI, crack rate and plastic deformation was added to the proposed decision tree to properly recommend appropriate pavement rehabilitation. Utilizing the 2017 Seoul pavement management system data and considering all factors as discussed, the proposed overall decision tree was revised and improved. RESULTS :In this study, the type of crack was included to the decision tree. Meanwhile current design thickness and special asphalt mixture were studied and improved to be applied on different pavement condition. In addition, the improved decision tree was incorporated with the Seoul asphalt overlay design program. In the case of Seoul's rehabilitation budget, rehabilitation budget can be optimized if a 25mm milling and overlay thickness is used. CONCLUSIONS:A practical and theoretical evaluation tool in pavement rehabilitation design was presented and proposed for Seoul City.

융설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보도포장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block-type sidewalk pavement system using snow-melting system)

  • 박경모;이정욱;김창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36-143
    • /
    • 2015
  • 해외 선진국에서는 2000년 자연재해대책법 개정을 통해 차도 중심의 융설시스템에서 인권위주의 보행자 전용시스템으로 확대 적용하고 있으나, 국내에는 2006년 선진국형 융설시스템이 도입되어 도로 부문에 일부 시공 되었지만 보행자를 위한 융설시스템 개발 및 적용 사례는 전무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선의 열이 보도블록 상부로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지반으로 손실되는 열을 최소화하고 충격에 따른 열선의 손상 방지 및 공정을 단순화하여 원가 및 공정을 절감할 수 있는 블록형 보도포장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 적용하였다. 품질시험 결과 휨강도는 KS기준보다 약 5배, 흡수율은 7배~10배의 성능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현장 시험결과 기존 융설시스템은 노면의 온도가 영상으로 올라가는데 약 180분이 소요되었으나 블록형 보도포장 기술은 약 1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30분 경과 후 노면 평균 온도는 $3.5^{\circ}C$를 유지하였다. 이처럼 조립식 보도블록 기술개발을 통해 겨울철 보행자 낙상방지를 통한 국민안전확보 및 화학제설제 사용 억제를 통한 환경오염 방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시험도로 건설과 계측시스템 구축 (A Review of Instrumentation System and Construction of Korea Highway Test Road)

  • 최준성;김도형;김성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03-606
    • /
    • 2000
  • The cost needed for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highways in the whole nation is rapidly growing so the research that can decrease the cost is required. However, most of the highway specs have simply converted from those of other countries, including USA. Therefore, some of our design and construction specs were not the optimum ones based on our own situation, requiring a research under the actual traffic and environment of our nation. The use of test road develops many aspects of highway engineering. Those are evalu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a general overview of korea pavement design and serviceability under the actual traff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nation. It is also economical and efficient compared to the trial construction of each item in spreaded form. A test road, 7.7km long with two lanes, is being constructed on the Inner Central Expressway. In this test road, 2.7km is planned for asphalt pavement and 3.4km is planned for concrete pavement. Three test bridges and five earth retaining structures will be included in the test road. Based on the master plan, the major performance was progressing such as detailed research modules of each area, preliminary research for the future research, sensor surveys for the behavior analyses of pavements and structures with installation methods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the foundation research of Integrated Instrumentation System and the Management Plan for automated measurement. Some area(structure research division, geotechnical research division) was designed the instrumentation plan because some instrument sensors must be install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test road. And then the instrumentation plan of each area was enforcing because a large majority of the instrument sensors must be install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test road. The field surveys with material property tests and pilot instrumentation test with sensor tests was also performing in accordance with the construction in the field.

  • PDF

도로포장 표면조사와 FWD정보에 기반한 도심지 도로포장 유지보수 기법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f Improvement of Urban Pavement Maintenance Technique based on Pavement Condition Evaluation and FWD Data)

  • 이상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532-541
    • /
    • 2016
  • 서울시 도로는 교통하중, 도로포장 노후화 및 잦은 굴착복구 등의 열악한 도로조건으로 인하여 도로포장 수명이 기대수명에 미치지 못하여 효율적 도로포장관리(Pavement Management System, PMS)와 적절한 유지보수 시기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표면상태조사와 FWD(Falling Weight Deflectometer)기반 조사를 통하여 장기 공용성 구간의 보수우선 순위를 선정하고 각 지수에 따른 우선순위의 상관도를 분석하여 명확한 포장상태 평가와 타당한 공법 및 시기의 선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의 장기 공용성 구간(Long Term Performance Pavement, LTPP)을 활용하여 표면상태조사를 통해 균열, 소성변형, 종단평단성을 측정하였고 서울포장평가지수인 SPI(Seoul Pavement Index)로 포장상태를 나타내었다. 또한 동일 구간에 대해 FWD시험을 통한 처짐량과 코어채취에 의한 포장두께 자료를 이용하여 포장층의 탄성계수를 역산하고 허용 교통량을 산정하여 실제 교통량과 허용 교통량을 비교 후 잔존수명을 추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출된 포장상태 지수와 포장지지력에 따른 잔존수명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표면상태지수인 Crack, Rutting, IRI(International Roughness Index) 값들의 보수 우선순위와 지지력에 의한 보수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보수 우선순위에 따른 포장상태지수와 포장지지력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균열과 소성변형에 대하여 R-square 값이 0.65이상으로 상관도가 높은 반면, 종단평탄성과 그 값을 포함한 SPI와의 상관도는 비교적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