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Native Plants

검색결과 429건 처리시간 0.026초

Changes of an endangered population of Iris dichotoma after conservation translocation in Taeanhaean National Park, Korea

  • Dakyum ROH;Geun-Hye GANG;Dae Hun CHOI;Byung Bu KIM;Hyun-Jin JUNG;Dae Seob SHIN;Hyeon Seon RYU;Chang Ho CHOI;Heehyeok KANG;Yowhan SON;Soonku S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8
    • /
    • 2023
  • Sustainable habitats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the survival and habitat pre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To conserve the endangered species Iris dichotoma Pall. and its habitat in Taeanhaean National Park, we collected seeds from a natural population and germinated and propagated them in a greenhouse. In 2019, the propagated individuals of I. dichotoma were transplanted at two study sites in Taeanhaean National Park. After conservation translocation, annual monitoring was conducted from 2020 to 2022, and factors related to the survival and growth of I. dichotoma (clonal propagation rate [%], the flowering rate [%], the population density [individual/m2], the maximum leaf bundle length [height; cm], the maximum leaf bundle width [cm], and the pedicel length [cm])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onitoring of the flowering and fruiting periods for three years after transplantation, 82.4% of individuals in total were found to have survived. During 2020 to 2022, the mean population density (individual/m2) increased from 0.36 to 0.42 and the size of the leaf bundle length and the width both decreased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figures in 2019 (p < 0.05). According to the findings here, the transplanted population of I. dichotoma is considered to have adapted successfully to its new site in Taeanhaean National Park.

A New Record for Invasive Alien Plant Ranunculus sardous Crantz (Ranunculaceae) in the Republic of Korea

  • Sun, Eun-Mi;Kim, Hye-Won;Lee, Kang-Hyup;Kim, Hee Soo;So, Dong Ch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52-757
    • /
    • 2019
  • The establishment of invasive alien species management is widely recognized as a pivotal issue in the preservation of biodiversity. Ranunculus sardous Crantz, a species native to Europe, has been widely introduced in many other areas of the world, including the coasts of the United States, Australia, China, India, and Japan. In Korea, the first population of this plant was found growing adjacent to a wetland in Hanon, Seogwipo-si, Jeju Province, on 22 May 2018. Field observations confirmed the presences of at least two populations of this species in Jeju Province, Korea. This species is similar to Ranunculus sceleratus L., but can be readily distinguished by its presence of the trichomes in the whole plant, longer petioles of radical leaves, ovate-shaped leaf segments, globose to subglobose-shaped fruits and flat achenes with narrowly winged and papillae. The Invasive Alien Plant Risk Assessment (IAPRA), a system for recognizing and categorizing alien plants in Korea forests, was used to assess the invasiveness status of the species. Based on this system, R. sardous received a low score of 6, suggesting its potential invasion to natural forests. Although the current distribution of R. sardous is restricted to Jeju Province and thus far has had limited impact on local environments, local and regulatory authorities should pay close attention to this plant and take measures to prevent its further expansion.

자연표토 복원공법에 의한 암절취비탈면의 생태적 복원에 관한 연구 : 원주사례지역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Rock-exposed-cut-slope by Natural Topsoil Restoration Methods : In Case of Won-Ju Experiment)

  • 남상준;석원진;김남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54-63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ecological restorat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revegetation technology for the rock-exposed cut-slopes by the Natural Topsoil Restoration Methods (NTRM) with the following restoration objectives; (1) prevention or reduction of wind and water erosion, (2) provision of food and cover for variety of animal species, (3) improvement of the visual or aesthetic quality of the disturbed slopes. On Nov. in 1995, the 5cm thick layer of artificial soil and 2cm thick layer of straw-mulching was attached at rock-exposed cut-slopes by NTRM without using anchor wire and anchor pin. The main results during four years surveying on the ground-coverage effect, plant growth, species diversity and importance valu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rtificial soil attached at rock exposed cut-slopes was not eroded until recovered by tree and herbaceous vegetation in spite of not using anchor wire and anchor pin. Also it shows low soil hardiness and has almost the same amount of bacteria and fungi with in surrounding natural topsoil. 2. In 'combination for the woody vegetation', Lespedeza cyrtobotrya, Albizzia julibrissin, Rhus chinensis, Indigofera pseudo-tinctoria occupied upper layer vegetation. Since three years after seeding, Indigofera pseudo-tinctoria had overwhelmed the other woody plants and cool season foreign grasses, Erigeron canadensis, Taraxacum mongolicum, Commelina communis, Arundinella hirta (Thunberg) and Oenothera erythrosepala grows at lower part of the vegetation, 3. The heights of the Rhus chinensis grows 1.8m, Indigofera pseudo-tinctoria 2.0m, so it seems that the objectives of woody vegetation with native plants could be accomplished. 4. After 4 years later after seeding in 'combination for the herbaceous vegetation', the most dominant plant was Indigofera pseudo-tinctoria, the next was in order of cool-season grasses, Taraxacum mongolicum, Erigeron canadensis, lxeris dentata (Thunberg), Oenothera erythrosepala, Arundinella hirta (Thunberg). The diversity index in 'combination for woody vegetation' was higher than that in 'combination for the herbaceous vegetation'. The tendency of the intrusion of secondary succession plants was more effective in 'combination for the herbaceous vegetation' than in 'combination for the woody vegetation'.

  • PDF

Growth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of Epilobium hirsutum L., a class II endangered wildlife species

  • Kwang Jin Cho;Hyeong Cheol Lee;Sang Uk Han;Hae Seon Shin;Pyoung Beom Kim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7권4호
    • /
    • pp.282-289
    • /
    • 2023
  • Background: As wildlife habitats are being destroyed and growth environments are changing, the survival of animals and plants is under threat. Epilobium hirsutum L., a species that inhabits wetlands, has held legally protected status since 2012. However, no specific measures are currently in place to protect its habitat, leading to a decline in remaining populations as a result of land use change and human activities. Results: The growth environment (including location, climate, land use, soil, and vegetation) of the five habitat sites (Samcheok, Taebaek1, Taebaek2, Cheongsong, Ulleung) of E. hirsutum L.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se habitats were predominantly situated in flat areas with gentle south-facing slopes, at an average altitude of 452.7 m (8-726 m) above sea level in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ranged 11.5℃ (9.2℃-12.9℃), whereas the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ranged 1,304.5 mm (1,062.7-1,590.7 mm). The surrounding land use status was mainly characterized by mountainous areas, and human interference, such as agricultural land and roads, was commonly found in proximity to these natural habitats. Soil physicochem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soil was predominantly sandy loam with a slightly high sand content. The average pH measured 7.64, indicating an alkaline environment, and electrical conductivity (EC) averaged 0.33 dS/m. Organic matter (OM) content averaged 66.44 g/kg, available phosphoric acid (P2O5) content averaged 115.73 mg/kg,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averaged 23.43 cmolc/kg. The exchangeable cations ranged 0.09-0.43 cmol+/kg for potassium (K), 10.23-16.21 cmol+/kg for calcium (Ca), 0.67-4.94 cmol+/kg for magnesium (Mg), and 0.05-0.74 cmol+/kg for sodium (Na). The vegetation type was categorized as E. hirsutum community with high numbers of E. hirsutum L.,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 Zucc.) H. Gross, Phragmites japonica Steud.,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and Bidens frondosa L.. An ecological flora analysis, including the proportion of lianas, naturalized plants, and annual herbaceous plants, revealed that the native habitat of E. hirsutum L. was ecologically unstable. Conclusions: Analysis of the habitat of E. hirsutum L., a class II endangered wildlife species, provided essential data for local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efforts.

한국(韓國) 야생차(野生茶)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1보. 전질소(全窒素), 회분(灰分), 가용분(可溶分), 탄닌, 카페인 및 비타민 C 에 관(關)하여 -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Tea Shoots in Native Tea Plant in Korea - Part 1. Total nitrogen, Ash, Water extract, Tannin, Caffeine and Vitamin C -)

  • 은종방;이종욱;김동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3호
    • /
    • pp.202-208
    • /
    • 1985
  • 한국(韓國) 재래(在來) 야생차(野生茶)의 유연성(類緣性) 조사(調査)로 형질(形質)이 다른 용장(龍欌) 차엽(茶葉)과 와운(臥雲) 차엽(茶葉), 그밖의 8개소(個所)의 야생차엽(野生茶葉)(일반차엽(一般茶葉)) 및 일본(日本)의 우량(優良) 녹차(綠茶) 품종(品種)인 Yabukita의 유엽(幼葉)을 각각(各各) 채엽(採葉)하여 차(茶)의 품질(品質)을 좌우(左右)하는 중요(重要)한 화학(化學) 성분(成分)인 전질소(全窒素), 회분(灰分), 가용분(可溶分), 탄닌, 카페인 및 비타민 C를 분석(分析) 비교(比較)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전질소(全窒素) 량(量)은 대죽(大竹) 차엽(茶葉)이 6.05%로 가장 많았고 용장(龍欌) 차엽(茶葉)이 4.94%로 가장 적었으며 일반차엽(一般茶葉)의 평균치(平均値)는 5.50%, 와운(臥雲) 차엽(茶葉)은 5.70%이고 Yabukita 차엽(茶葉)은 5.81%였다. 2) 회분(灰分) 량(量)은 군유산(軍有山) 차엽(茶葉)이 5.47%로 가장 많았고 태안사(泰安寺) 차엽(茶葉)이 4.94%로 가장 적었으며, 일반차엽(一般茶葉)의 평균치(平均値)는 5.15%이고 와운(臥雲) 차엽(茶葉)5.10%, 용장(龍欌) 차엽(茶葉) 4.97%, Yabukita 차엽(茶葉)은 5.18%였다. 3) 가용분(可溶分) 량(量)은 태안사(泰安寺) 차엽(茶葉)과 Yabukita 차엽(茶葉)이 각각(各各) 48.45%로 가장 많았고 대죽(大竹) 차엽(茶葉)이 44.10%로 가장 적었으며, 일반차엽(一般茶葉)의 평균치(平均値)가 46.78%, 와운(臥雲) 차엽(茶葉)이 47.75%, 용장(龍欌) 차엽(茶葉)이 47.78%였다. 4) 탄닌 량(量)은 용암산(聳岩山) 차엽(茶葉)이 15.67%로 가장 많았고 Yabukita 차엽(茶葉)이 10.41%로 가장 적었으며 일반차엽(一般茶葉)의 평균치(平均値)는 12.88%, 와운차엽(臥雲茶葉) 12.09%, 용장(龍欌) 차엽(茶葉)은 13.44%였다. 5) 카페인 량(量)은 대죽(大竹) 차엽(茶葉)이 2.89%로 가장 많았고 만덕산(萬德山) 차엽(茶葉)과 Yabukita 차엽(茶葉)이 2.43%로 가장 적었으며, 일반차엽(一般茶葉)의 평균치(平均値)는 2.72%, 와운차엽(臥雲茶葉)은 2.73%, 용장(龍欌) 차엽(茶葉)이 2.55%였다. 6) 총(總) 비타민 C 량(量)은 용암산(聳岩山) 차엽(茶葉)이 436.59mg%로 가장 많았고 군유산(軍有山) 차엽(茶葉)이 146.94mg%로 가장 적었으며 일반차엽(一般茶葉)의 평균치(平均値)는 264.59mg%, 용장(龍欌) 차엽(茶葉)이 223.10mg%, Yabukita 차엽(茶葉)이 256.49mg%였다. 7)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할 때 용장(龍欌) 차엽(茶葉)은 일반차엽(一般茶葉)과 형질(形質) 뿐만 아니라, 성분(成分)도 다르므로 품종(品種)이 다른 수종(樹種)으로 추정(推定)되며 와운(臥雲) 차엽(茶葉)은 일반차엽(一般茶葉)과 형질(形質)은 다르나 성분상(成分上)의 비슷한 점으로 보아 동일계통(同一系統)의 변이(變異)된 대엽종(大葉種)으로 추정(推定)된다.

  • PDF

효과적인 번식을 위한 돌부추의 종자 및 발아 특성 (Seed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Allium koreanum H.J. Choi & B.U. Oh for Effective Propagation)

  • 황희성;황정훈;윤지혜;황소영;박지은;오현의;이상준;박정미;황승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59-365
    • /
    • 2023
  • 자생식물은 관상용, 약용, 식량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고유 유전자원이다. 돌부추(Allium koreanum H.J. Choi & B.U. Oh)는 우리나라 해안 암반지대에 분포하는 자생식물 중 하나로, 기후변화와 서식지 감소로 인해 보전 가치가 높은 식물이다. 이번 연구는 온도와 과산화수소가 돌부추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종자를 무처리(대조군) 또는 1% 과산화수소(H2O2)로 90분간 처리한 종자를 준비해 15, 20, 25℃로 설정된 식물 생장 챔버에 배치하였다. 그 결과, 파종 23일 후 15℃에서 42%인 발아율이 20℃와 25℃에서 각각 18%와 0%인 발아율보다 2배 이상 높았으며, H2O2 처리 여부와 관계없이 15℃에서 발아율이 42%로 가장 높았다. H2O2 처리와 관계없이 최종 발아율 50%(T50)에 도달하는 일수는 20℃에서 가장 짧았지만, 일평균 발아율(MDG)은 15℃에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1%의 H2O2 처리는 돌부추의 발아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15℃의 온도가 돌부추의 발아율을 높이는 데 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돌부추의 발아를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자생 왕포아풀의 형태적 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entucky Bluegrass(Poa pratensis L.) Native to Korea)

  • 심상렬;정대영;안병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1-26
    • /
    • 2003
  • 2000년 9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약 50여 회에 걸쳐 전국적으로 191개체를 수집하였고, 관리 도중 고사한 38개체를 제외한 153개체의 왕포아풀의 형태적 특성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왕포아풀의 초장은 최저 4.5cm의 왜성형으로부터 최고 40.0cm의 고성형 까지 다양한 범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중 초장의 범위가 10~20cm사이에 있는 왕포아풀이 가장 많이 조사되었고 초장이 30cm를 넘는 고성형은 그리 많지 않았다. 2) 왕포아풀의 엽장은 최저 3.0cm에서 최고 30.2cm의 범위였으며, 평균 13.1cm였다. 초장과 마찬가지로 엽장의 길이도 20.0cm 이하인 것이 대다수였다. 3) 왕포아풀의 엽폭은 최저 1.0mm 세엽형으로 부터 5.0mm 광엽형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2.0~3.5mm의 범위에 속하는 개체가 135개체로 가장 많았다. 4) 시각적 품질과 형태적 특성간의 상관분석에서는 초장, 엽장, 엽폭 등 모든 형태적 특성의 항목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지만, 상관계수는 낮게 나타났다. 5) 형태적 특성간의 상관분석에서는 초장과 엽장의 상관계수가 0.74로 나타나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보였고 95%의 수준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

천연물 유래의 $5{\alpha}-Reductase$ 저해제의 개발과 인체 유래 피지선 세포의 배양을 이용한 피지분비 억제 효과 측정 ([ $5{\alpha}-Reductase$ ] Inhibitors from Native Plants and their Sebosuppressive Effects in Cultured Human Sebaceous Gland Cells)

  • 정세규;김정기;백지훈;이기무;조인식;이승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3-27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피지분비 억제 효과를 지닌 신규 화장품 원료를 대한민국 유래의 천연 식물에서 개발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식물 추출물의 5alpha-reductase에 대한 저해효과를 자외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효소 동력학적 분석법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효소 동력학적 분석을 위하여 각각 쥐의 간 조직과 배양된 인체 유래 피지선 세포에서 5alpha-reductase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 5-AR에 대하여 뛰어난 저해효능을 보이는 3종의 식물 추출물을 선정하였고, 이들의 피지분비 억제 효과를 배양된 인체 유래 피지선 세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수십 종의 식물 추출물 중 해송 추출물이 가장 강력한 5-AR 저해능을 나타내었으며, 인체 유래 피지선 세포에 대하여 0.005% 농도로 처리한 경우 48%의 피지 생성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해송 추출물은 피지 분비를 감소시켜 여드름이나 지루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 질환에 효과를 지닌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자생식물 적용을 통한 DMZ 불모지 복원공법 연구 (Study on the Restoration Method of DMZ Barren Land through the Application of Native Plants)

  • 김영은;김동학;조형복;허미영;김상준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5-65
    • /
    • 2022
  • 지속가능한 DMZ 일원의 생태복원 추진을 위해 DMZ 생태교란지에서 복원공법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강원도 인제군, 철원군 및 경기도 연천군의 DMZ 내(450m2)에서 진행되었으며, 흰민들레, 구절초, 매발톱, 질경이, 꿀풀이 공시식물로 사용되었다. 각 대상지의 식생유형별 시공방법에 따른 침입종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22년 4월부터 9월까지 일반식생기반재와 특수식생기반재로 처리된 실험구의 전체 피도, 도입종 피도, 침입종 피도, 초장, 출현종 등을 측정하였다. 전체 피도는 세 곳 모두 일반 기반재보다 특수기반재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나 대상지에 따라 침입종 피도가 미치는 영향은 달랐다. 도입종의 피도는 인제, 철원, 연천에서 동일하게 흰민들레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특수기반재에서 보다 높은 피도를 보였다. 폭염 및 폭우로 6월 이후 흰민들레가 감소하면서 구절초, 매발톱의 피도가 점차 증가하였으며 기반재 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구절초 피도가 특수기반재보다 일반기반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지역에서 질경이와 꿀풀의 생장은 미미하였다. 같은 처리를 했음에도 대상지별로 소재식물의 출현 여부, 생장률, 침입종의 피도 등이 다른 것으로 보아 복원지의 환경 여건에 따라 적용해야 하는 종, 시공방법, 주변 완충지역의 범위 등에 차이를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Cytological Analyses of Iris ruthenica K. Gawl. (Iridaceae), an Endangered Species in Korea

  • Choi, Bokyung;Temsch, Eva M.;Weiss-Schneeweiss, Hanna;So, Soonku;Myeong, Hyeon-Ho;Jang, Tae-Soo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24
    • /
    • 2019
  • Iris L. is a perennial genus comprising approximately 300 species worldwide, with the greatest number of endemic species occurring in Asia. Iris is one of the largest genera in the family Iridaceae and includes ca. 15 species native to Korea. Although chromosome number change, karyotype restructuring, and genome size vari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plant genome diversification, understanding the karyotype variation in Korean Iris species has been hampered by the wide range of base chromosome number (x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2) reported to date. This study documents the chromosome numbers, karyotype structure and genome size variation in Iris ruthenica K. Gawl., an endangered species in Korea obtained using classic Feulgen staining and flow cytometry. The chromosome number of all investigated plants from the nine populations was 2n = 42. All individuals studied possessed metacentric and submetacentric chromosomes. The genome size of the I. ruthenica in eight wild populations ranged from 2.39 pg/1C to 2.45 pg/1C ($2.42{\pm}0.02pg/1C$: $mean{\pm}SD$).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report of genome size variation in Iris ruthenica in Korea. This study lays foundation for cytogenetic further analyses employing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to better understand the chromosomal evolution in this species and in the whole genu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