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orea National Arboretum

Search Result 97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Environment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habitats (세뿔투구꽃의 자생지 식생과 환경특성)

  • Park, Jeong-Geun;Pi, Jung-hun;Jung, Ji-young;Park, Jeong-seok;Yang, Hyung-ho;Lee, Cheul-ho;Suh, Gang-uk;Son, Sung-w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0 no.5
    • /
    • pp.896-907
    • /
    • 2016
  •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he altitude ranged from 260m to 728m with inclinations of $4-39^{\circ}$. As a result of vegetation survey within natural populations, a total of 147 taxa were identified inside 20 quadrates in 7 natural habitats. The importance value of Aconitum austrokoreense was 23.0% based on the coverage and frequency of the herbaceous layer and sat is more dominant. Species diversity was 1.23, and dominace and evenness were found to be 0.22 and 0.77, respectively. The soil type were silty loam (four sites), sandy loam (two sites) and loam (one site). The average field organic matter was 7.83% and the total nitrogen and pH were 0.35, and 5.69.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 showed the correlations between chlorophyll content and slope, flowering rate and soil humidity. Conservation on habitats conditions is important for stable maintenance the flora and the surrounding area including habitats has to be designated a protection area for habitats conservation.

Temperature Control of Seed Germination in Carex jaluensis Kom. Native to Korea (온도조건에 따른 자생 참삿갓사초 발아 특성)

  • Kim, Do Hyun;Kim, Sang Geun;Song, Chi Hyeon;Im, Hyeon Jeong;Choi, Kyu Seung;Oh, Beom Seok;Kim, Yang Su;Song, Ki Seon;Won, Chang 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14-14
    • /
    • 2019
  • 참삿갓사초는 전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사료용, 사방용 소재로 사용되며 조경용, 관상용 지피식물로 사용되기도 한다. 참삿갓사초의 대량증식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파종 시기를 추정하기 위해 생장상을 이용해 인공적인 온도조건을 주고 참삿갓사초 종자의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실험을 위해 온도를 항온조건(30, 25, 20, 15, $5^{\circ}C$)과 변온조건(15/30, 20/10, $25/15^{\circ}C$) 총 8가지 조건으로 설정하여 발아율을 매일 측정하였다. 광조건은 명/암을 매일 12시간씩 반복하였다. 항온조건에서 발아율은 $20^{\circ}C$$17{\pm}7%$로 가장 우수하였고, $25^{\circ}C$ ($12{\pm}2.8%$), $30^{\circ}C$ ($3{\pm}1.9%$) 순으로 나타났으며, $15^{\circ}C$, $5^{\circ}C$에서는 발아하지 않았다. 그러나 $20^{\circ}C$$25^{\circ}C$조건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는 발생되지 않았다. 한편, 변온조건에서의 발아율은 $15/30^{\circ}C$$91{\pm}3.8%$로 가장 우수하였고, $25/15^{\circ}C$ ($89{\pm}4.1%$), $20/10^{\circ}C$ ($69{\pm}3.4%$)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5/30^{\circ}C$$25/15^{\circ}C$조건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는 발생되지 않았다. 따라서 참삿갓사초의 종자발아를 위해서는 변온이 필요하며, $25^{\circ}C$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효과적인 파종 시기를 추정할 때, 낮-밤 $10^{\circ}C$ 이상의 기온차가 있는 초여름~늦여름 사이가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emperature Control of Seed Germination in Carex arenicola F.Schmidt Native to Korea (온도조건에 따른 자생 진퍼리사초 발아 특성)

  • Kim, Do Hyun;Kim, Sang Geun;Song, Chi Hyeon;Im, Hyeon Jeong;Choi, Kyu Seung;Oh, Beom Seok;Kim, Yang Su;Song, Ki Seon;Won, Chang 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17-17
    • /
    • 2019
  • 진퍼리사초는 한반도 중부 이북에 분포하고, 군락 자생지는 강원도 동해안 석호 주변 모래땅 1곳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퍼리사초 현지외보전을 위한 대량증식 연구의 일환으로 가장 효과적인 파종 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종자의 최적 발아조건을 찾기 위해 배양상 온도조건을 항온(30, 25, 20, 15, $5^{\circ}C$)과 변온(15/30, 20/10, $25/15^{\circ}C$) 총 8가지 조건으로 설정하여 발아율을 매일 측정하였다. 광조건은 명/암을 매일 12시간씩 반복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발아실험실의 생장상에서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항온조건에서 발아율은 $30^{\circ}C$에서 $39{\pm}7.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circ}C$ ($28{\pm}4.3%$), $25^{\circ}C$ ($24{\pm}3.7%$) 순으로 나타났으며, $15^{\circ}C$, $5^{\circ}C$에서는 발아하지 않았다. 한편, 변온조건에서의 발아율은 $25/15^{\circ}C$에서 $60{\pm}5.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5/30^{\circ}C$ ($43{\pm}4.1%$), $20/10^{\circ}C$ ($26{\pm}3.8%$)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퍼리사초의 종자 발아는 항온보다 변온에서 잘 이루어졌으며, $25^{\circ}C$이상의 온도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효과적인 파종 시기를 추정할 때, 낮 기온이 평균 $25^{\circ}C$이상이며, 일교차가 $10^{\circ}C$ 정도인 초여름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Temperature Control of Seed Germination in Carex remotiuscula Wahlenb. Native to Korea (온도조건에 따른 자생 층실사초 발아 특성)

  • Kim, Do Hyun;Kim, Sang Geun;Song, Chi Hyeon;Im, Hyeon Jeong;Choi, Kyu Seung;Oh, Beom Seok;Kim, Yang Su;Song, Ki Seon;Won, Chang 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18-18
    • /
    • 2019
  • 층실사초는 경북 북부를 포함한 강원도 지역의 습기있는 음지에서 자생한다. 여러해살이풀로서 주료 사료용으로 사용되며 지피식물 등 정원소재로도 사용된다. 본 연구는 층실사초의 대량증식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파종 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종자의 최적 발아조건을 찾기 위해 배양상 온도조건을 항온조건(30, 25, 20, 15, $5^{\circ}C$)과 변온조건(15/30, 20/10, $25/15^{\circ}C$) 총 8가지 조건으로 설정하여 발아율을 매일 측정하였다. 광조건은 형광등을 이용한 명조건과 암조건을 매일 12시간씩 반복하였다. 실험결과, 항온조건에서 발아율은 $25^{\circ}C$에서 $36{\pm}6.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circ}C$ ($27{\pm}4.4%$), $30^{\circ}C$ ($24{\pm}1.6%$) 순으로 나타났으며, $15^{\circ}C$, $5^{\circ}C$에서는 발아하지 않았다. 한편, 변온조건에서의 발아율은 $25/15^{\circ}C$에서 $22{\pm}7.3%$, $15/30^{\circ}C$에서 $10{\pm}2.5%$ 발아하였고, $20/10^{\circ}C$에서는 발아하지 않았다. 따라서 층실사초 종자의 발아최적온도는 $25^{\circ}C$이고 변온보다 항온이 유리했으며, 이 이상의 온도에서는 오히려 발아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효과적인 파종 시기를 추정할 때, 낮 기온 $25^{\circ}C$의 초여름에 실시하되, 밤 기온이 너무 내려가지 않도록 조절해준다면 보다 높은 발아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최고 발아율이 $36{\pm}6.3%$로 비교적 낮기 때문에 발아율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할 것이다.

  • PDF

Vitality and germination of Bletilla striata Rchb.f. seed according to treatment time and concentration of NaOCl (NaOCl 처리 농도 및 시간에 따른 희귀식물 자란(Bletilla striata Rchb.f.)의 종자 발아 및 활력 연구)

  • Jung, Young Ho;Kim, Jinki;Lee, Hayan;Song, Se-kyu;Bae, Kee Hwa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v.47 no.1
    • /
    • pp.73-77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vitality of Bletilla striata Rchb.f. seed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sodium hypochlorite (NaOCl) for different lengths of time.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 of NaOCl treatment times and concentrations on swelling formation and seed germination of B. striata seed. The non-treated B. striata seed had the highest survival rate (82.7%) Treatment with more than 1.5% NaOCl negatively affected the seed survival rate, as compared to concentrations of less than 1%. The swelling formation and seed germination percentages were highest (90.1% and 94.1%, respectively) when seeds were treated with 0.5% NaOCl for 20 min.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growth and restoration of B. striata and further suggest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 restoration in habitats.

In vitro Organogenesis and Propagation of Heloniopsis orientalis Thunb

  • Jong-Woo Nam;Yoon-Kyung Choi;Kyeong-Mi Cho;Young-Been Kim;Sung Hwan Yim;Kee Hwa Ba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v.39 no.3
    • /
    • pp.150-154
    • /
    • 2023
  • Heloniopsis orientalis (Liliaceae) is an important horticultural crop native to Korea. Under natural conditions, germination is poor and plant growth is delayed. Therefore, we have developed a vegetative propagation method to produce plants with vigorous growth characteristics via tissue culture. The regenerated shoots were then initiated directly from leaf explants on an MS medium containing either 0.5 to 2.0 mg/L 2,4-D or 1.0 to 3.0 mg/L BA. Healthy plantlets with adventitious roots were formed o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1.0 mg/L BA (81%). BA triggered callus initiation without caulogenesis or rhizogenesis, and callus formation was better on the half-strength MS medium than on the full-strength medium. This in vitro propagation protocol will be useful for conservation, as well as for mass propagation.

Four Newly Recorded Amanita Species in Korea: Amanita sect. Amanita and sect. Vaginatae

  • Kim, Chang Sun;Jo, Jong Won;Kwag, Young-Nam;Oh, Junsang;Shrestha, Bhushan;Sung, Gi-Ho;Han, Sang-Kuk
    • Mycobiology
    • /
    • v.41 no.3
    • /
    • pp.131-138
    • /
    • 2013
  • We collected nearly 70 specimens of Amanita species during a diversity study of Korean mushrooms conducted in 2012. In this study, we primarily investigated 23 Amanita specimens belonging to sections Amanita and Vaginatae. Based on sequence data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and partial large subunit of ribosomal RNA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 identified the following 15 phylogenetic species: A. alboflavescens, A. ceciliae, A. farinosa, A. fulva, A. griseofolia, A. ibotengutake, A. melleiceps, A. orientifulva, A. pantherina, A. rubrovolvata, A. sinensis, A. subglobosa, A. vaginata, A. cf. vaginata f. alba, and an undescribed Amanita species. In this study, four of the identified Amanita species (A. griseofolia, A. ibotengutake, A. orientifulva, and A. sinensis) w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axonomic Re-evaluation of Megacollybia Species in Korea

  • Kim, Chang Sun;Jo, Jong Won;Kwag, Young-Nam;Han, Jae-Gu;Shrestha, Bhushan;Sung, Gi-Ho;Han, Sang-Kuk
    • Mycobiology
    • /
    • v.42 no.1
    • /
    • pp.22-26
    • /
    • 2014
  • The diversity of the genus Megacollybia in Korea was examined based on morphological observation and analysis of molecular data. Currently, the genus is consisted of nine species with a global distribution. However, only M. platyphylla has been reported in the floral survey of Korea. During our re-evaluation of the taxonomic diversity of Megacollybia in Korea, six Megacollybia specimens collected in 2012 were identified based o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s and morphology. Here, we report two Megacollybia species, M. clitocyboidea and M. marginata, as newly recorded species from Korea. The microscopic features of the two species are provided in this study.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phylogenetic analysis of Korean Megacollybia species.

Influence of Shading on Early Growth of Cardamine komarovii Nakai (차광조건이 는쟁이냉이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 Kim, Do Hyun;Kim, Sang Geun;Song, Chi Hyeon;Im, Hyeon Jeong;Choi, Kyu Seung;Oh, Beom Seok;Kim, Yang Su;Song, Ki Seon;Won, Chang 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0-40
    • /
    • 2019
  • 는쟁이냉이는 전국 각지 산지의 응달이나 물가에서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3월 경 눈을 뚫고나와 가장 이른 봄나물로 식용하기도 한다. 특유의 매운 맛이 있어 식용작물로 발전가능성이 높은 식물종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는쟁이냉이 재배기술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차광에 따른 는쟁이냉이 생육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경북 봉화군 소재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양묘장 노지에 무차광, 40% 차광, 55%차광, 65%차광 처리구를 배치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생육특성의 비교를 위해 초장, 초폭, 엽 수, 엽길이, 엽너비, 엽병길이, SPAD 값 총 7가지 항목에 대해 생장기(6월), 휴면기(9월) 두 차례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모든 측정값이 차광구가 무차광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무차광구는 6월 조사 이후, 7월 말까지 생장량이 줄어들다가 전량 지상부 고사가 발생하여 는쟁이냉이 재배를 위해서는 차광처리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항목 중 초장, 초폭, 엽길이, 엽너비, 엽병길이는 차광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엽록소함량을 추정할 수 있는 SPAD 값은 40% 차광구가 가장 높았고 55%차광구, 65%차광구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엽 수도 40% 차광구가 가장 높았다. 위 결과를 종합해볼 때, 는쟁이냉이 재배 시 55% 이상의 차광율을 적용하면 잎 자체의 크기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며, 40% 수준의 차광율을 적용하면 잎 수와 혁질의 잎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본 실험은 는쟁이냉이 재배 생산량에 대한 부분에 집중하였고 상품화를 위해서는 품질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