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nosirus punctatus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1초

광양만 전어 (Konosirus punctatus) 후기자어의 먹이생물 (Food Organisms of the Postlarval Shad (Konosirus punctatus) in Kwangyang Bay)

  • 박광재;차성식;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50-455
    • /
    • 1996
  • 전어 (Konosirus punctatus) 후기자어의 먹이생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0년 6월 광양만에서 채집된 전어의 장내용물을 조사하였다. 전어 후기자어의 장에서 관찰된 먹이생물은 요각류의 난과 nauplius 유생, 유종류의 Tintinnopsis, Codonellopsis 등이었다. 척색장 $4.8\~5.0mm$의 자어에서는 요각류 난과 nauplius 유생이 주요 먹이생물이었으나, 척색장 5.0mm 이상의 자어에 서는 요각류 nauplius 유생과 유종류 Tintinnopsis가 중요한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 PDF

Cytogenetic Study of Pleuronectes obscurus, Konosirus punctatus and Pseudoblennius percoides

  • Kim, Eun-Mi;An, Hye-Sook;Park, In-Se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0권1호
    • /
    • pp.24-29
    • /
    • 2007
  • Our objective was to clarify the cytogenetic characteristics, including karyotypes, cellular DNA content, and nuclear size of erythrocytes, of black plaice Pleuronectes obscurus, dotted gizzard shad Konosirus punctatus, and perch sculpin Pseudoblennius percoides, collected from the coastal areas of Jo Island, Busan, Korea. Karyotypes of P. obscurus and K. punctatus both had a diploid number of 48 and a fundamental number (FN) of 48, with a chromosome formula of 48T. The karyotype of p. percoides had a diploid number of 46 and FN of 56, with a chromosome formula of 10SM +36T. No sex-associated heteromorphic pairs were detected for any species. The variation in DNA values (P. obscurus=1.15 pg/nucleus, K. punctatus=1.56pg/nucleus, P. percoides=1.11 pg/nucleus) was positively related to variation in chromosome FN.

낙동강 하구역에 출현하는 전어(Konosirus punctatus) 자치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Larval Konosirus punctatus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최희찬;한인성;서영상;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752-759
    • /
    • 2015
  • We examined the feeding habits of larval Konosirus punctatus using 165 specimens collected from May to August 2011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We found that larval K. punctatus [3.9-8.4 mm notochord length (NL)] are carnivorous, consuming mainly rotifers. Their diet also included small numbers of rhizopods, tintinnids, euglenoids, copepods, larval bivalves, dinoflagellates, diatoms, and unidentified materials. To evaluate ontogenetic changes in dietary composition, we split the larvae into three size groups: < 5 mm, 5-6 mm, and > 6 mm NL. The smallest size group frequently preyed on rhizopods. As NL increased, the number of rotifers increased relative to those of rhizopods. Larvae also showed bimodal feeding for feeding incidence, with peaks in the midafternoon and at midnight, while the mean number of prey per individual peaked at 18:00-19:00 h.

전어(Konosirus punctatu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 and Juvenile of the Konoshiro Gizzard Shad, Konosirus punctatus)

  • 김관석;한경호;이정현;이성훈;김춘철;고현정;정관식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2호
    • /
    • pp.127-135
    • /
    • 2007
  • 이 연구는 2004년 6월에 전북 김제시 만경면 심포 앞바다에서 채집된 전어를 전남대학교 어류학실험실로 운반하여 습식법으로 인공 수정한 난을 대상으로 난 발생 및 자치어 발육 과정을 관찰하였다. 전어의 산란기는 $3{\sim}6$월이었고, 수정란은 구형의 분리 부성란으로 난경은 $1,14{\sim}1.34\;mm$(평균, 1.21 mm)였다. 수온이 $19.0{\sim}23.0^{\circ}C$(평균 $21.2^{\circ}C$)에서 수정 후 35시간 53분에는 눈에 렌즈가 착색되었고, 심장이 분화되어 꼬리가 난황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으며, 배체 전반부에 흑색 소포가 나타났다. 수정 후 37시간 10분 만에 첫 부화가 시작되었다. 부화 직후 자어의 전장은 $4.26{\sim}5.30\;mm$(평균 4.96 mm)로 난황을 달고 있었고, 입과 항문은 아직 열려 있지 않았으며, 항문은 전장의 80%로 꼬리지느러미의 기저에 약간 앞쪽에 위치하였으며, 근절은 $22{\sim}27$개였고, 눈에는 흑색 소포가 착색되어 있었다. 부화 후 2일째의 전기 자어는 $4.96{\sim}5.74\;mm$(평균 5.24 mm)로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었고, 부화후 16일째 후기 자어는 전장이 $9.66{\sim}10.81\;mm$(평균 9.66 mm)로 꼬리말단이 굽어지기 시작하면서 가슴지느러미, 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의 줄기가 형성되었다. 부화 후 53일째의 치어기는 전장이 $27.11{\sim}34.09\;mm$(평균 30.11 mm)로 머리 부분이 현저하게 발달하였고, 등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거의 일직선상에 위치하였다. 이 시기에 모든 지느러미는 정수에 달하였으며, 체형이나 반문이 성어와 닮은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결론적으로 어류는 같은 과 내에서도 흑색 소포의 모양과 위치가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흑색 소포의 특징과 함께 전어의 초기 발달의 특징을 명확하게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 PDF

만경 동진강 하구의 浮流性 卵 仔稚漁 分布 樣相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the Ichthyoplankton in the Mankyong-Dongjin Estuary)

  • 차성식;박광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7-58
    • /
    • 1991
  • 하구역의 부유성 난 자치어의 분포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89년 10월과 1990년 3월, 5월, 7월의 4회에 걸쳐 만경 동진강 하구의 수온와 염분을 조사하였으며, 부유성 난과 자치어를 채집하였다. 수온은 계절 변동이 뚜렷으며 정점간에는 차이가 거의 없 었다. 염분은 강물의유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정점간 차이가 증가하였다. 부유성 난과 자치어는 10월과 3월에는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5월에는 전어가 출현량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7월에는 밴댕이, 멸치, 망둥어류, 풀반지류가 우점하였다. 멸치의 난과 자치어는 만 외부에서 채집된 반면에 전어는 염분이 낮은 내만에서 우점하였다. 전어, 밴댕이, 만둥어류, 풀반지류는 본 하구역의 특징적인 어류로 이들은 염분이 낮은 하구 역에서 산란하고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저인망에 채집된 광양만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easonal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with a Bottom Trawl in Kwangyang Bay, Korea)

  • 차성식;박광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5-243
    • /
    • 1997
  • 광양만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0년 2월부터 12월까지 5개 정점에서 격월로 소형 저인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32과(科) 54종(種), 9,497개체, 65,838.2g이 채집되었다.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가 총 개체수의 64.9%를 차지하였으며, 주둥치와 전어(Konosirus punctatus)가 각각 총 생물량의 28.8%와 22.3%를 차지하였다. 수온이 낮은 2월에는 출현종수와 개체수, 생물량이 모두 연중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수온이 $12^{\circ}C$ 이상을 보이는 시기에는 20종 이상이 출현하였다. 개체수는 10월에, 생물량은 4월에 가장 높았다 광양만에서 어류군집의 구조는 주둥치와 전어의 출현량 변화에 따라 계절 변동을 보였다.

  • PDF

마산만 해역에서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 (Tempor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ssemblages in Masan Bay)

  • 곽성남;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2-141
    • /
    • 2007
  • 마산만 해역에서 유자망을 이용하여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27종이 출현하였으며, 우점종은 전어(Konosirus punctatus), 숭어(Mugil cephalus), 멸치 (Engraulis japonicus), 샛돔 (Psenopsis anomala), 농어 (Lateolabrax japonicus),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등줄숭어(Chelon affinis), 전갱이(Trachurus japonicus)였는데, 이들 어종은 전체 개체수의 87.6%와 총 생체량의 95.4%를 차지하였다.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이 뚜렷하였는데, 출현 개체수는 2005년 3월과 7월, 생체량은 2005년 9월과 11월에 높게 나타났다. 한편 출현개체수 및 생체량은 모두 2005년 11월에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온이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유자망은 어획대상 어종이나 어획 체장에 강한 선택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상업성어종의 채집에 효율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