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mpsat

검색결과 1,081건 처리시간 0.029초

KOMPSAT-2 영상 PAN밴드의 내부표정 정확도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Analysis and Improvement of Interior Orientation Accuracy of KOMPSAT-2 PANchromatic Bands)

  • 김태정;정재훈;김덕인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39-449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KOMPSAT-2 스테레오 영상의 PAN밴드에 존재하는 미세한 크기의 Y시차가 발생하는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일련의 실험 및 분석과정을 보고한다. 분석결과, Y시차가 발생하는 원인이 KOMPSAT-2 영상을 생성할 때 PAN밴드를 MS밴드와 일치하도록 Warping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Resampling 오차 때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엄밀한 PAN밴드의 Warping 방식을 적용하여 Resampling 오차를 제거함으로써 Y 시차문제가 상당부분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KOMPSAT-2 영상 PAN밴드에서 관측된 밝기값 밀림현상도 엄밀한 Warping처리를 통해서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보다 엄밀한 Warping기법이 KOMPSAT-2 영상처리과정에 적용될 수 있다면 KOMPSAT-2 영상의 기하정확도 및 복사정확도가 많이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상운영기간동안의 KOMPSAT-3A호 주요 영상 품질 인자별 특성 (Characteristics of KOMPSAT-3A Key Image Quality Parameters During Normal Operation Phase)

  • 서두천;김현호;정재헌;이동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6_2호
    • /
    • pp.1493-1507
    • /
    • 2020
  • KOMPSAT-3A는 2015년 3월 발사하여 약 6개월의 기간 동안 초기 검보정을 수행한 이후 지난 8년 동안 성공적으로 KOMPSAT-3A 자료를 사용자들에게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영상 자료는 지도제작, GIS, 국토관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정성적, 정량적 정보 추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KOMPSAT-3A의 영상제품군에서 추출되는 정보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영상 품질과 인공위성 하드웨어 특성을 확인하고 있다. 또한 KOMPSAT-3A의 탑재체, 자세제어 센서들의 노후화에 따른 영상 품질 저하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영상 품질 개선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KOMPSAT-3A 개발 단계에서 정의된 발사 전후의 검보정 주요 과정 및 대표 영상 품질 인자인 MTF, SNR, Location accuracy 측정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발사 후 초기 LEOP Cal/Val이 완료된 이후 측정된 영상 품질 인자별 성능값과 최근 2016년부터 2020년 5월까지 KOMPSAT-3A호의 주요 품질 인자인 MTF, SNR, Location accuracy 현황과 특성을 기술하였다.

Establishing Application System of KOMPSAT-1

  • Choi, Gi-Hyuk;Lee, Joo-Hee;Paik, Hong-Yul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49-356
    • /
    • 1999
  • Korea Multi-Purpose Satellite-l (KOMPSAT-l) has been developed by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with the aid of TRW and will be launched on the December 21, 1999 at the Vandenberg Air Base in CA, U.S. Now, the satellite application group in KARI is preparing for the service with the KOMPSAT-l satellite data. For the purpose of supplying good service to the users, data application planning has to be established before launching satellite. To use satellite data effectively, KARI makes a plan for data policy, data price, mission planning, and commercializing strategy.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of effective use of satellite data. For this purpose, KARI, first, made 60 user groups to use KOMPSAT-l data for public welfare and research sectors. These user groups include government, public corporations, institutes, and universities. KARI will offer the service to users through online using Internet. Secondly, KARI made a policy for the priority of KOMPSAT-l missions. These are classified by the mission priority, payloads, and operational states etc. Thirdly, KARI will make data policy and data price of KOMPSAT-l based on the basic master plan. Especially, data price will be determined at the KOMPSAT-l committee including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MOST). KARI is also trying to commercialize the data with the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to expand the use of KOMPSAT-l data in the industries sector. Afterward in this study, KARI will continue the improvement for the effective distribution of KOMPSAT-l data for all users.

KOMPSAT 관제시스템의 운용가용도 분석 (Operational Availability Analysis of KOMPSAT TTC System)

  • 장대익;고지환이성팔김대영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5-158
    • /
    • 1998
  • The KOMPSAT system incorporates multiple missions designed to provide various applications in the field of Korean peninsula observation covering land, sea and coastal zones. The missions are Korea cartography (1:25,000 scale maps of the Korean peninsula), biological oceanography and science instrument accommodation. The operational availability of KOMPSAT TTC system should be predicted more accurately because its failur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satellite command and tracking and on satellite data collection. In this paper, system availability structure of KOMPSAT TTC system are made and availability of KOMPSAT TTC system is analyzed aspect to the system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logistic condition.

  • PDF

KOMPSAT2 탑재컴퓨터 설계, 성능 분석 및 시험 (On Board Computer Design, Analysis and Test for KOMPSAT2)

  • 조영호;심재선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53권8호
    • /
    • pp.571-577
    • /
    • 2004
  •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structure, function and the design factor of common module for KOMPSAT-2 OBC, which will be launched in 2005. By analysing OBC's performance, we can know the throughput and how much improve performance than KOMPSAT-l. it is used in the satellite mission design by system engineer. We verify the usefulness of common module for KOMPSAT-2 OBC through environment test.

다목적실용위성 3호의 지상관측확률에 관한 연구 (Surface Observation Probability System of KOMPSAT-3)

  • 박명숙;허창회;김영미;김응현;김규선
    • 대기
    • /
    • 제16권4호
    • /
    • pp.371-378
    • /
    • 2006
  • The surface observation probability system (SOPS) of the Korea Multi-Purpose Satellite (KOMPSAT)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climatological distribution of cloud coverage and the expected passage of satellite orbit. While the optical camera loaded on KOMPSAT series has been operated with the purpose of observing earth's surface, it cannot see the surface when an obstacle (i.e., cloud) exists between them. In the present study, cloud information of International Satellite Cloud Climatology Project incorporates into high resolution grid of the KOMPSAT-3 orb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MPSAT SOPS are discussed.

KOMPSAT-5 후방산란계수의 보정식 산출 및 적용을 통한 해상풍 산출 결과 개선 (Improvement of KOMPSAT-5 Sea Surface Wind with Correction Equation Retrieval and Application of Backscattering Coefficient)

  • 장재철;박경애;양도철;이선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6_4호
    • /
    • pp.1373-1389
    • /
    • 2019
  • KOMPSAT-5는 우리나라 최초의 X 밴드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탑재 인공위성으로, 2013년 8월부터 운영되고 있다. KOMPSAT-5는 운영 목적에 따라 지구환경 감시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연안 환경 감시를 위한 고해상도 해상풍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KOMPSAT-5의 활용도도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해상풍 정확도 검증 연구에서는 다른 SAR 탑재 인공위성 기반 해상풍에 비해 정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OMPSAT-5 기반 해상풍의 정확도 개선을 위한 후방산란계수 보정식을 산출하였고, 보정식의 개선 효과를 해양 부이 자료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18장의 미국 서부와 하와이 연안을 관측한 KOMPSAT-5 자료와 해양 부이 자료를 활용하여 후방산란계수 보정식을 산출하였고, 산출한 후방산란계수 보정식은 18장의 한반도 연안을 관측한 KOMPSAT-5 자료에 적용하여 해상풍을 산출하였다. 이론적으로 산출된 후방산란계수와 KOMPSAT-5에서 관측된 후방산란계수는 입사각에 따른 1차 함수 관계식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정식을 적용하기 전에는 2.89 m s-1의 상대적으로 큰 평균 제곱근 오차와 -0.55 m s-1의 편차를 보였다. 보정식을 적용한 후에는 각각 1.60 m s-1, -0.38 m s-1로 개선되었다. 입사각의 범위에 따라 후방산란계수 보정식의 개선 효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지형공간정보 생성을 위한 KOPMSAT-2 영상의 활용성 분석 (Analysis for Practical use as KOMPSAT-2 Imagery for Product of Geo-Spatial Information)

  • 이현직;유지호;고영창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1-35
    • /
    • 2009
  • KOMPSAT-2(KOrean MultiPurpose SATellite-2)위성은 GSD(Ground sample distance) 1m급 전정색(panchromatic) 영상과 GSD 4m급의 다중분광(multispectral)영상을 동시에 제공하는 세계 7번째 고해상도(High-Resolution) 위성으로 지도제작, 국토모니터링, 환경 등 여러 분야에서의 다양한 활용이 기대된다. 그러나, KOMPSAT-2영상은 다중분광센서(MSC : Multi Spectral Camera)의 복잡성과 보안성에 의해 위성궤도 및 자세정보 등 영상 취득 시 기하학적 정보 및 영상이 제한적으로 제공되고 있어 KOMPSAT-2 영상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OMPSAT-2의 스테레오 영상을 이용하여 DEM 및 정사영상 제작실험을 수행하여 KOMPSAT-2 영상을 이용한 지형공간정보 생성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KOMPSAT-2영상을 이용한 DEM(Digital Elevation Model) 및 정사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표정해석(orientation)을 수행하여야 한다. DEM을 제작하여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수치지도에 비해 표고가 높게 추출되었다. 평지부에서는 평균 1.8m, 구릉지에서는 평균 7.2m, 산지에서는 평균 11.9m의 표고오차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생성된 정사영상의 수평위치오차 평균은 ${\pm}3.081m$로 1:5,000 수치지도 수평위치오차 허용범위인 ${\pm}3.5m$ 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OMPSAT-2호 영상을 이용하여 DEM 및 정사영상을 제작한 결과, 1:5,000급의 수치지도제작 및 지형공간정보 생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아리랑 2호/3호 영상을 이용한 영상융합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mage fusion results by using KOMPSAT-2/3 images)

  • 오관영;정형섭;정남기;이광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7-13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사용되는 센서의 특성, 특히 밴드 간 분광 응답함수의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영상융합 기법의 성능 차이에 대한 상대적 비교 분석을 주된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CS 기반의 대표적 영상융합 기법인 GIHS, GS1, GSA, GSA-CA을 선정하였고, 거의 동일 시기/동일 지역을 촬영한 KOMPSAT-2/3 위성영상을 이용하였다. 또한, 융합 영상의 성능 평가는 정량적/정성적 방법을 혼용하여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KOMPSAT-2/3 영상 모두에서 GSA 기법과 GSA-CA 기법이 다른 기법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품질을 나타냈다. 이는 다른 위성영상 및 문헌을 통해 제시된 결과들과 일치하는 것으로, 선형 회귀식을 통해 전정색 영상과 intensity 영상 간 스펙트럴 불일치를 최소화한 기존 방법론의 효능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일한 실험 조건을 적용하였을 때, KOMPSAT-2와 KOMPSAT-3에서 나타내는 융합 성능은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이 같은 결과는 두 위성 센서 내 밴드별 분광응답함수가 서로 다른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KOMPSAT-2의 경우, blue 밴드와 green 밴드의 분광 응답비가 전정색 밴드를 초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영상 융합 과정에서 과도한 저주파 요소를 삽입하여, 최종적으로 제작된 융합 영상에서의 색상 왜곡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KOMPSAT-3에서는 KOMPSAT-2에서 발생되었던 상당부분의 관련 문제들을 보완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동일한 실험 조건에서도 상대적으로 향상된 융합 결과를 나타냈다.

KOMPSAT-3와 Sentinel-1 SAR 영상을 적용한 토양 수분도와 NDWI 결과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NDWI and Soil Moisture Map Using Sentinel-1 SAR and KOMPSAT-3 Images)

  • 이지현;김광섭;이기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4호
    • /
    • pp.1935-1943
    • /
    • 2022
  • 위성 영상을 활용하여 대규모 또는 정밀 토양 수분도를 제작하는 방법의 개발과 이를 적용한 사례 연구는 원격탐사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이 연구는 제주도 연구 지역을 대상으로 토양 수분도를 제작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형으로 조정된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편광 영상과 입사각 정보를 이용하여 광학 영상과 함께 토양 수분도를 산출하였다. SAR 영상은 Google Earth Engine (GEE)에서 제공하는 후반 산란 계수 Analysis Ready Data (ARD) 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 (ESRI)의 토지 피복도(land cover map)와 KOMPSAT-3 고해상도 위성 영상의 지표 반사도로부터 산출한 식생 지수 정보(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를 토양 수분도 처리 과정에 적용하였다. 이처럼 SAR 영상과 광학영상 정보를 융합하여 처리하는 경우는 토양 수분 산출물의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출물의 과학적 분석을 위하여 KOMPSAT-3 영상으로 제작한 정규 수분 지수(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와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KOMPSAT-3 처리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Landsat-8 위성의 NDWI 처리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산출한 토양 수분도 결과는 KOMPSAT-3 영상과 Landsat-8 위성으로 각각 처리한 NDWI 처리 결과와 높은 상관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 사용한 토양 수분 산출 알고리즘을 우리나라 고해상도 위성인 KOMPSAT-5 영상에 맞게 추가 개발하면 다른 외부 영상 없이 KOMPSAT 광학 위성정보와 KOMPSAT SAR 영상정보를 이용한 정밀 토양 수분도 제작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