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ts

검색결과 428건 처리시간 0.022초

고대 동중국해 사단(斜斷)항로에 대한 해양기상학적 고찰 (A Maritime Meteorological Research on the Ancient Sailing Route between Silla Korea and Tang China in the East China Sea)

  • 김성준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5-163
    • /
    • 2013
  • 최근 일부 연구자들은 9세기 장보고 휘하의 신라인들이 항해에 나침반과 첨저선을 이용하여 동북아 해역을 자유롭게 항해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항해에 나침반이 이용된 것은 중국이 11세기이고, 유럽이 12세기이다. 게다가 우리 선조들은 평저선을 사용하였다는 것이 학계의 중론이다. 이 논문은 중국 주산군도에서 흑산도를 잇는 동중국해 사단항로(서해남부 사단항로)의 이용 시점에 관하여 해양기상학적 관점에서 재검토해 보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고대 동중국해 사단항로에 관한 이제까지의 연구성과를 정리한 뒤, 동중국해의 해황(海況)을 바람과 해류, 안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뗏목으로 동중국해를 항해함으로써 장보고 선단이 동중국해 사단항로를 이용하였음을 입증하였다는 주장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해 보았다. 분석 결과 6 7월 해황은 동중국해 사단항로의 범주 항해가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것도 기상 조건이 아주 유리했을 경우에 한하여 한정적으로 가능했음을 확인하였다. 뗏목 탐사의 경우 제시된 항로도와 실제 선위간 이동경로와는 다소 상이하였고, 속력 또한 1.7 2노트 내외로 빠르게, 그것도 직선에 가깝게 이동한 것으로 분석되어 아주 이례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명확한 사료와 확실한 근거가 없는 한 동중국해 사단항로는 1068년 이후 주항로로 이용되었다는 설이 견지되어야함을 재확인하였다.

능동 진동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UH-60A 헬리콥터 기체의 진동 감소 시뮬레이션 (Vibration Reduction Simulation of UH-60A Helicopter Airframe Using Active Vibration Control System)

  • 이예린;김도영;김도형;홍성부;박재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443-453
    • /
    • 2020
  • 대표적인 기동 헬리콥터인 UH-60A의 기체 진동응답을 감소시키고자 능동 진동 제어 시스템(Active Vibration Control System, AVCS)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연구를 수행하였다. 로터 진동 하중, 기체 구조 동역학 모델링, 진동응답 해석 및 진동 제어 시뮬레이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DYMORE II, NDARC, MSC.NASTRAN 및 MATLAB Simulink 등의 다양한 해석, 설계 및 제어 프로그램들을 함께 사용하였다. 5개의 CRFG와 7개의 가속도계로 이루어진 Multi Input Multi Output(MIMO) 모델을 AVCS 시뮬레이션 연구에 이용하였다. 본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하여 진동이 극심한 158knots의 비행속도에서 UH-60A의 주요 위치(조종석, 로터와 기체의 접합부, 중앙 승객실 및 후방 승객실) 위치에서 AVCS의 사용으로 인하여 4/rev 기체 진동응답이 25.14~96.05%만큼 감소될 수 있었다.

쌍끌이 중층망의 전개성능에 대한 모형실험 (Model Test on the Opening Efficiency of the Midwater Pair Trawl Net)

  • 김정문;김진건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6권2호
    • /
    • pp.73-88
    • /
    • 2000
  • 쌍끌이중층망은 1993년에 우리 나라에 처음으로 도입된 이후 그 보급이 급속하게 확산되어 현재는 대부분의 온 쌍끌이 기선저인망어선이 중층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 어구를 운용함에 있어서 망목의 크기가 12,800mm의 것으로 커지면서 어구현황 및 전개성능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대상어종 및 해양환경에 따른 어구어법과 운용기술의 정립이 미흡하고, 그물목줄의 가닥수가 많으며 뜸이 그물코에 끼여서 파망이나 안전사고의 원인이 된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최대망목 12,800mm인 중층망의 구조적인 결함을 보완하여 설계한 개량형의 모형망을 제작하여 회류수조에서 그물목줄의 길이와 가닥수 및 침강력의 변화에 따른 어구의 전개성능을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물목줄의 길이는 옆줄에 연결된 2번과 3번 목줄의 길이를 현행의 것에 비하여 약 30%를 더 짧게 한 어구의 전개성능이 약 7% 향상되었다. 2. 그물목줄의 가닥수는 4가닥형이 가장 우수하며, 3가닥형, 2가닥형의 순으로 전개성능이 저하되었다. 특히, 2가닥형의 경우에는 유속이 빨라짐에 따라 옆판의 중앙부가 뒤쪽으로 뚜렷하게 처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3. 침강력을 크게 할수록 어구의 전개성능은 우수해지며, 그물목줄을 3가닥형, 2가닥형으로 하는 경우는 침강력을 4가닥형일 때의 각각 약 1.5배, 1.6∼l.7배 정도로 크게 해 주어야 기존어구와 같은 전개성능을 나타낼 수 있었다.

  • PDF

조선시대 복식의 니트 기법 연구 (The Study on Knitting Techniques in Joseon Dynasty)

  • 임영자;권진
    • 복식
    • /
    • 제54권1호
    • /
    • pp.23-36
    • /
    • 2004
  • The knitting, which has developed from the onset of human civilization, has a close relation to dwelling as well as to clothing itself. Its progress has taken shape in a variety of forms according to nature-friendly tools and its knit texture in the past is different from that of modern times. With this basic idea, the work aims at the further study of various knitting structure which triggered the origin of modern techniques, the establishment of those methods, and the finding of what means was utilized earlier based on these. By doing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the foundation in the Korean historical timeframe in knitting field and give definition to knit wear in a historical sense. As to definition, the outcome in the research boils down to two categories. broad meaning and narrow meaning. The former can be the hook-formed textile, referring to making, twisting, or binding the knots. On the other hands, the latter, that is, narrow type, can be the loop-linked fabric which can be defined as modern knitting. The knitting dates back to the ancient way of binding structure, combining structure in other words, and braiding structure and this kept dividing into subgroups like Netting. Nalbinding, Sprang and Crochet as the usage of hands and tools by mankind has got improved. And it changed into knitting and crochet which means a bamboo needle-hook knitting (larger needle type) and a crochet-hook knitting (smaller needle type), respectively through middle ages and modern times and settled down to the production of fabric. In this work, Netting, Nalbinding, Sprang and Crochet are classified as ancient category in which these originate the modern knitting method. Though the modern type of knitting is not found in the Joseon Dynasty, some various methods from the ancient twisting skill and binding skill where the materials with easy access to acquisition in the nature such as rattan, straw, horsehair, hemp, rush, cotton, silk and the like to Netting, Nalbinding and Sprang except Crochet were handed down and used in costume for diverse application. This work can provide the basic frame in terms of Korean history of knitting which has been excluded in the relevant researches until now. When applying the study, it would trigger the initiation of more versatile design with which the previous unique techniques along with modern techniques can be adopted in the clothing market as knit designs gain in public favor more and more.

조사선 제라호의 조종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neuverability evaluation by the research vessel JERA)

  • 이창헌;안장영;김석종;김민선;최찬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2호
    • /
    • pp.177-186
    • /
    • 2017
  •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navigator with specific information necessary to assist in the avoidance of collision and in operation of ships to evaluate the maneuverability of research vessel Jera. Authors carried out full-scale sea trials for turning test, zig-zag test, and spiral test at actual sea-going condition, which were performed on starboard and port sides with 10-20 rudder angle at service speed of 10 knots. The turning circle was much different at both of the turning of port and starboard which was longer at the starboard than at the port. In the zig-zag test results, the port and starboard was $10^{\circ}$ the first and second overshoot angles were $6.0^{\circ}$, $5.8^{\circ}$ and $6.3^{\circ}$, $7.1^{\circ}$ respectively and the first overshoot angles were $16.4^{\circ}$, $17.6^{\circ}$ when using $20^{\circ}$. Her maneuverability index T and N can be easily determined by using an analogue computer with the data obtained from the zig-zag tests where K is a constant representing the turning ability and T is a constant representing her quick response. In the zig-zag tests under $10^{\circ}$ or $20^{\circ}$ at rudder angle, the value K is 0.149. 0.123 sec- and T is 11.853 and 6.193 sec and angular velocity is $0.937^{\circ}/sec$ and $1.636^{\circ}/sec$. In the spiral test, the loop width was unstable at $+0.51^{\circ}$ and $-1.19^{\circ}$ around the midship of rudder, but the tangent line at $0^{\circ}$ was close to vertical. From the sea trial results, we found that she did comply with the present criterion in the standards of maneuverability of IMO.

갈치 끌낚시 어구의 수심변화 및 어획량 시험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depth and catch of hairtail trolling lines)

  • 김문관;박수현;강형철;박용석;안영일;이춘우;박수봉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2호
    • /
    • pp.107-115
    • /
    • 2018
  • In this study, we tested Japanese trolling lines in the Jeju fishery. This fishery simulates the natural marine environment with many seabed rocks, and has been redesigned and manufactured it to be suitable for the Jeju fishery. In order to ensure that the trolling lines were deployed at the inhabitation depth of hairtails, the conditions required for the fishing gear to reach the target depth were determined for use during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test fishing was conducted at the depth of 120 m water in front of Jeju Seongsanpo and in the offshore area of Jeju Hanlim. The fishing gear used in the test fishing is currently used in a variety of field operations in Japan. However, several problems were identified, such as twisting of the line during its deployment and excessive sinking of the main line. The fishing gear was, therefore, redesigned and manufactured to be more suitable for the Jeju fishery environment. For the fishing gear to accurately reach the target depth, depth loggers were installed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main line and at the 250 m and 340 m points of the line. Depth and time were recorded every 10 seconds. According to the daytime positioning of hairtails in the lower water column, the target depth of the fishing gear was set at 100-110 m, which was 10-20 m above the sea floor. At a speed of 1.9 knots and with a 9 kg sinker attached, the main fishing line was deployed and catch yields at depths of 100 m, 150 m and 180 m were recorded and analyzed. When the 180 m main line was fully deployed, the time for the hairtail trolling lines to arrive at the appropriate configuration had to be 5 minutes. At this time, the depth of the fishing gear was 16-23 m above the sea floor, in accordance with the depths at which the hairtails were during the day. In addition, in order to accurately place the fishing gear at the inhabitation water depth of hairtails, the experimental test fishing utilized the results of the depth testing that identified the conditions required for the fishing gear to reach the target depth, and the result was a catch of up to 97 kg a day.

유물 수노리개와 현대 수노리개의 비교 연구 (1990년 시중 수노리개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Ancient Embroidered Norigae and Modern Embroidered Norigae. -Focus on the Current Embroiered Norigae in 1990-)

  • 홍복의;박경자
    • 복식
    • /
    • 제18권
    • /
    • pp.373-381
    • /
    • 1992
  • Woman in Choson era had various kind of accdssories like rings, ear ring, ornamentak hairpins and so on. Among them their favorite was the Norigae, the pendent trinket. With the embroidered ornament at its center, beads and knots wer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 and it was hung with a tassel. It was carried on the string of the Chogori. norigae oreginated in waist string of Three Countries era(Sills, Paekje and Koguryo) ; had been changed with the development of fashion, embroidery and the influence of Buddhistic culture. The differences between Embroidered Norigae and Norigae are following. If the ornament at its center is made of such jewels as gold, silver, jade and the like, it is called Norigae. But if the ornament at its center is made of the embroidered Norigae. Such a Embroidered Norigae in which perfume was contained, was as a perfume box or a perfume bag and was carried on the strings of Chogori by Danjak(single work). The Differences between ancient Embroidered Norigae of late Choson era and modern Embroidered Norigae are Following; 1) The type of main body-the embroidered ornament at its center was mainly embroidered with the shape of animals in both of ancient Embroidered Norigae was usually formes like a bat and that of modern Embroidered Norigae like butterfly. 2) plants were adapted as the main design of ancient Embroidered Norigae, but plants and animals as that of modern Embroidered Norigae. 3) The colors of the background and the design are usually red in both ancient and modern Embroidered norigae. 4) The tassels of ancient Embroidered Norigae were mode in the shape of srick and a strawberry. but the tassels of modern Embroidered Norigae were mainly made in the shape of a stick. 5) Nowadays the beauty of external form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while the symbol of main body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Choson era. 6) The role of Thidon in the composition of Embroidered Norigae is declined and a lot of main bodies are used in modern Embroidered Norigae. 7) Modern Korean people are apt to choose Embroidered Norigae depending upon the design of main body and the traditional Korean beauty. 8) Modern people who desire to get new thing, try to make the design of main body various. As their cognition of Korean tradition is of the increase, the restoration of ancient Embroidered Norigae to its original form has been accom

  • PDF

항만 해저침적 위험유해물질(HNS) 회수용 기계장치의 성능요건 분석 (Analysis of Performance Requirements of Mechanical System for Recovery of Deposited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from Seabed around Seaport)

  • 황호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81-688
    • /
    • 2020
  • 해상을 통하여 운송되는 화학물질은 6,000여종에 이르며, 이러한 화학물질에는 해양을 오염시키거나 해양생물에 해로운 HNS(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가 포함되어 있다. 해상운송 과정에서 바다로 유출된 HNS는 해상 및 해중에서 물리적, 화학적 변화를 거치게 되는데, 어떤 종류의 HNS는 해저로 침강하여 퇴적되기도 한다. 해저에 침적된 HNS는 해저생태계에 커다란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해저침적 HNS를 탐지·처리하여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저침적된 HNS를 회수하기 위한 기계장치를 개발할 때,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는 성능요건을 제시하였다. 해저의 오염물질을 회수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의 준설장비에 대하여 조사하고, 준설장비의 방식별 성능지표를 분석함으로써 기계장치에 대한 10가지의 성능지표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성능지표를 활용하여 해저침적 HNS 회수용 기계장치의 개발을 위한 성능요건을 제안하였다. 국내 항만의 수심을 고려하여, 해저침적 HNS 회수용 기계장치의 성능요건을 생산율(50 ~ 300 ㎥/hr), 최대운용수심(50 m), 저질 종류(대부분의 저질 형태), 고형률(10 % 이상), 수평 작업 정확도(± 10 cm), 제한 유속(3 ~ 5 knot) 등으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성능요건은 해저침적 HNS 회수용 기계장치의 개념설계와 기본설계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선박 근접상황에서 항해사의 인적특성요인이 지각한 충돌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Navigator'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Perceived Collision Risk in Close-quarter Situations)

  • 김도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44-655
    • /
    • 2020
  • 본 연구는 항해사가 근접상황에서 심리적 충돌의 두려움으로 당황하여 규정된 충돌 회피조치를 수행하지 못하는 인적오류 상황을 연구하였다. 연구 목적은 선박 간 근접상황에서 항해사의 인적특성 요인인 승선경력, 면허등급, 연령요인이 충돌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선과 상대선박 간 네 가지 대표적인 근접상황의 충돌침로에서 항해사가 지각한 충돌위험도 값을 측정, 정량화된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충돌위험도 측정실험을 설계하고 두 척의 선박이 거리 2.5해리에서 충돌상황까지 상호 10노트의 속도로 접근할 때 본선의 30명의 항해사의 심장박동변이를 측정하여 항해사가 지각한 충돌위험도 측정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측정값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항해사의 승선경력과 면허등급 요인은 충돌위험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고, 연령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검정 결과 승선경력≤4년인 항해사는 승선경력≥5년인 항해사 보다 충돌위험도 값이 유의미하게 높았고 면허등급 요인은 4 ~ 6급 그룹이 2 ~ 3급 그룹보다 충돌위험도 값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충돌위험경보시스템 개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박안전성 평가를 위한 카페리선박의 선체가속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ull Acceleration Analysis of Car Ferry Ship for Securing Safety Evaluation)

  • 유용웅;이윤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87-593
    • /
    • 2020
  • 국내 연안의 카페리선박의 고박안전성은 화물의 중량과 적재된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선체가속도를 기반으로 한 작용 외력과 고박장치의 고박력 비교를 통해 평가하고 있다. 고박안전성 평가에 기본이 되는 국내 기준상의 선체가속도는 선박의 특성 및 항해조건의 반영이 없이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안 카페리선박의 선체가속도를 분석하고자 부산-제주를 통항하는 DWT 6,800톤급 선속 15.5 knots의 선박을 기준으로 선체의 4개 지점에서 총 12회의 가속도 계측을 수행하였고, 항해구역 인근 기상관측 부이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한정된 계측 결과에 대한 이론적 비교 분석을 위하여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주파수 응답 해석을 통한 RAO를 해석하였고, RAO 결과를 바탕으로 4개 지점에 대한 가속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가속도 비교 결과 위치별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Y축 가속도의 경우 해석 1.81 m/s2, 계측 1.47 m/s2로 해석 시뮬레이션 결과가 0.34 m/s2 높게 분석되었고, 고박안전성 평가기준 8.59m/s2와 비교해 볼 때 해석은 22 % 수준, 계측은 18 % 수준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