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nee arthroplasty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5초

후방 안정형 인공 관절 전치환술 후 슬개골 덜컹 증후군의 초음파적 진단 - 증례 보고 - (Ultrasonographic Diagnosis of the Patellar Clunk Syndrome after Posterior Stabilized Total Knee Arthroplasty - A Case Report -)

  • 유재두;김남기;정재윤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9-44
    • /
    • 2014
  • 슬개골 덜컹 증후군은 인공 관절 전치환술 후 슬개골 버튼 근위부에 섬유성 결절이 형성되어 통증, 염발음, 잠김 현상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슬개 대퇴 합병증이다. 주로 후방 안정형 삽입물을 사용한 후에 발생하며, 굴곡시 섬유성 결절이 과간 절흔에 포착되었다가 신전시 이탈하면서 증상을 유발한다. 대퇴 삽입물의 구조적 특징이 가장 큰 원인으로 추정되고 초기의 후방 안정형 삽입물에서 발생 빈도가 높았다. 이후 새로운 형태의 삽입물에서는 구조가 개선되어 발생 빈도가 감소하였으나 최근까지도 슬개골 덜컹 증후군의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진단은 주로 증상에 의해 이루어지며, 영상의학적 검사도 진단에 도움이 된다. 특히, 초음파 검사는 대퇴 사두건의 섬유성 결절을 쉽고 간편하게 발견할 수 있다. 저자들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된 슬개골 덜컹 증후군 1례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환자에서 부프레노르핀 경피 패치의 적용부위에 따른 수술 후 통증 조절 효과 비교: 후향적 환자-대조군 연구 (Comparison of the Postoperative Pain Control Effects of a Buprenorphine Transdermal Patch on Total Knee Arthroplasty Surgery Patients according to Its Applied Sites: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 김옥걸;이상욱;김현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527-533
    • /
    • 2020
  • 목적: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 TKA) 후 통증 조절을 위한 부프레노르핀 경피 패치(buprenorphine transdermal patch, BTDP)의 흉부 적용 및 무릎 적용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8월부터 2019년 8월까지 TKA를 시행한 231명 중에서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등을 고려한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해 선별된 20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BTDP를 적용하기 전후에 Numeric Rating Scale (NRS), 부작용 및 순응도를 측정하였으며 흉부 적용군(A군=100명)과 무릎 적용군(B군=100명) 사이의 모든 측정치를 비교하였다. 결과: 술 후 BTDP 적용군 간의 휴식 시 NRS는 전반적으로 비슷하였으나 B군의 술 후 2, 3일째 오후, 5일, 6일, 7일째 휴식 시 NRS는 A군의 NRS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BTDP 적용 후 중추신경계, 위장관계 부작용은 B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심혈 관계, 피부의 부작용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 조절을 위한 지속적인 BTDP 유지에서도 B군이 A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TKA 후 BTDP를 통증이 있는 무릎 관절에 직접 적용하는 것은 술 후 초기 통증 조절에 있어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기존의 흉부 적용 방법보다 부작용 빈도를 줄여 환자의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척추감염을 동반한 양측 슬관절 전치환술 후 감염의 치료 (Treatment of Spinal Infection Following Bilateral Total Knee Replacement Postoperative Infection)

  • 심범진;손욱진;조창우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92-96
    • /
    • 2017
  • 슬관절 전치환술 후 감염은 큰 관심을 가지는 문제로 국소 부위 및 전신적 감염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때로는 패혈증으로 진행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패혈증은 신체의 다양한 부위로 전파될 수 있으며 사망에까지 이르게 하는 중대한 합병증이다. 하지만 감염 후 척추로 전이된 경우는 임상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이 어려우며, 이러한 증례에 대한 보고는 어떠한 문헌에도 없었다. 이에 양측 슬관절 전치환술 후 감염으로 인하여 패혈증으로 진행되어 척추로 전이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고정형 슬관절 단일 구획 치환술의 중기 추시 결과: 최소 5년 추시 (Mid-Term Results of Fixed Bearing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Minimum 5-Year Follow-Up)

  • 오정한;주일한;공동의;최충혁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498-504
    • /
    • 2018
  • 목적: 고정형 슬관절 단일 구획 치환술의 5년 추시 결과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 합병증 발생 빈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11년 8월까지 고정형 슬관절 단일 구획 치환술을 시행한 25명, 2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3.5세였으며 남자가 3명(3예), 여자가 22명(23예)이었으며 술 전 진단은 골관절염 23예, 골괴사 3예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평균 67개월(60-149개월)이었다. 임상적으로 술 전과 술 후의 미국슬관절학회 슬관절 점수 및 기능점수, 관절 운동 범위를 조사하였고, 방사선적으로 슬관절 기립 전후방 사진과 측면 사진, 투시기 촬영을 통하여 술 후의 정렬상태와 골용해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로 슬관절 점수는 평균 42.0점에서 87.9점으로, 기능점수는 57.5점에서 85.0점으로 향상되었다(p<0.001). 술 전 관절 운동 범위는 평균 $132.9^{\circ}$에서 술 후 $132.5^{\circ}$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방사선적 결과로 대퇴경골각은 술 전 평균 내반 $0.5^{\circ}$에서 술 후 외반 $2.2^{\circ}$로 측정되었다. 방사선 투과성 선(radiolucent line)이 관찰되는 경우가 2예 발견되었으며 그 중 1예는 삽입물이 안정적이었으나 다른 1예는 단일 구획 치환술 시 대퇴슬개관절의 관절염을 확인하였고, 추시상 슬관절 내측 관절선의 동통 및 슬관절의 미만성 통증이 있어 슬관절 전치환술을 권유하였다. 그 외 골용해, 감염, 술 후 강직, 탈구 등의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고정형 슬관절 단일 구획 치환술의 중기 추시 결과는 임상적 및 방사선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컴퓨터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핀 홀에 의한 응력 집중: 유한요소해석 (The Stress Concentration Caused by Pin-hole in Femur after Computer-navigated Total Knee Arthroplasty: A Finite Element Analysis)

  • 박형균;김윤혁;박원만;김경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51-456
    • /
    • 2008
  • Total knee arthroplasty(TKA) using computer-assisted navigation has been increased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femoral and tibial components implantation. Recently, a few clinical studies have reported on the femoral stress fracture after TKA using computer-assisted navig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ess concentration around the femoral pin-hole for different pin-hole diameter, the modes of pin penetration by finite element analys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pin-hole parameters on femoral stress fracture risk.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of a male femur was reconstructed from 1 mm thick computed tomography(CT) images. The bone was rigidly fixed to a 25 mm above the distal end and 1500 N of axial compressive force and 12 Nm of axial torsion were applied at the femoral head. For all cases, transcortical pin penetration mode showed the highest stress fracture risk and unicortical pin penetration mode showed the lowest stress concentration. Pin-hole diameter increased the stress concentration, but pin number did not increase the stress dramatic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a biomechanical guideline for pin-hole fracture risk of the computer navigated TKA.

초음파 유도 하 일회성 넙다리신경블록이 슬관절 전치환술 후 통증에 미치는 영향: 0.25% Levobupivacaine과 0.5% Levobupivacaine 주입의 비교 (Effect of Single-injection Femoral Nerve Block Using Real-time Ultrasound on the Postoperative Pain after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0.25% vs 0.5% Levobupivacaine)

  • 김윤주;김윤진;김동연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2권3호
    • /
    • pp.234-240
    • /
    • 2009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algesic effect of 0.25% and 0.5% levobupivacaine for real time ultrasound guided single-injection femoral nerve block for the patients who are undergoing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ethods: Femoral nerve block was done to all patients with 20 ml of 0.9% normal saline on one leg and 20 ml of 0.25% levobupivacaine on the other leg for group I (n = 16) and 0.5% levobupivacaine for group II (n = 15) with 1:200,000 epinephrine and using real-time ultrasound and a nerve stimulator. The data concerning the verbal numerical rating scale (VNRS) for each leg, the consumption of the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V PCA) and the demands for the additional analgesics was collected at 0, 1, 6, 12, 24 and 48 hours after the operation. Results: The legs on which femoral nerve block was done with levobupivacaine showed a lower VNRS score than the legs with normal saline in either group I or group II. The VNRS scores between the two legs, the consumption of the IV PCA and the demand for additional analgesic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single-injection femoral nerve block using real-time ultrasound with either 0.25% levobupivacaine or 0.5% levobupivacaine 20 ml provides a good effect for the postoperative pain control after TKA.

The analgesic efficacy of the continuous adductor canal block compared to continuous intravenous fentanyl infusion with a single-shot adductor canal block in total knee arthroplas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Kim, Min Kyoung;Moon, Hyoung Yong;Ryu, Choon Gun;Kang, Hyun;Lee, Han Jun;Shin, Hwa Yong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2권1호
    • /
    • pp.30-38
    • /
    • 2019
  • Background: The adductor canal block (ACB)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postoperative analgesia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 (TKA). However, the ideal ACB regimen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We compared the analgesic effects between a continuous ACB group and fentanyl-based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V-PCA) with a single-shot ACB group.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TKA were randomly allocated to either a continuous ACB group (Group CACB) or IV-PCA with a single-shot ACB group (Group IVACB). Before the surgery, ultrasound guided ACB with 0.5% ropivacaine 20 cc was provided to all patients. Before skin incision, the infusion system (0.2% ropivacaine through an adductor canal catheter in group CACB vs. intravenous fentanyl in group IVACB) was connected. The postoperative pain severity; the side effects of local anesthetics and opioids; administration of rescue analgesics and anti-emetics; and sensorimotor deficits were measured. Results: Postoperative pain sever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VACB group at 30 min, 4 h, 24 h, and 48 h after surgery. The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SD) of the NRS score of postoperative pain were $0.14{\pm}0.37$, $4.57{\pm}2.37$, $6.00{\pm}1.63$, and $4.28{\pm}1.49$, respectively in the IVACB group. Rescue analgesic requirements and quadriceps muscle strength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throughout the postoperative period. Moreover, rescue antiemetic requirements were higher in group IVACB than group CACB.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continuous ACB provided superior analgesia and fewer side effects without any significant motor deficit than the IV-PCA with a single-shot ACB.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재원일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Length of Stay in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 이혜승;김환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01-208
    • /
    • 2020
  •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 자료를 바탕으로 만65세 이상의 주진단이 무릎 관절증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기관 종별에 따라 재원일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의료기관 종별에 따라 성별, 연령, 의료보장형태, 중증도, 거주지역 및 병상규모가 재원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노인 인구의 증가와 이로 인한 노인 진료비 증가는 가계 및 국가 경제의 많은 부담으로 작용하는 시점에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재원일수 단축효과와 함께 효율적인 병상운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환자의 진료비 부담을 경감시키는 위한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노인환자의 양질의 라이프케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중 발생한 내측 측부 인대 견열 골절에 대해 생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 후 발생한 골용해 (Osteolysis-Related Bioabsorbable Suture Anchor Fixation in a Medial Collateral Ligament Avulsion Fracture during Total Knee Arthroplasty)

  • 허정욱;박만준;홍성확;박준형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545-549
    • /
    • 2020
  •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중 드물게 발생하는 내측 측부 인대 견열 골절의 치료는 보조기나 캐스트 등의 보존적 치료, 금속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 등의 다양한 치료법이 소개되고 있다. 생흡수성 봉합 나사못은 생체 적합성, 방사선 투과성, 제거를 위한 2차 수술이 불필요하다는 장점 등으로 여러 부위에서 금속 고정물을 대체해 사용되고 있으나 골용해 등의 합병증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중 발생한 내측 측부 인대 견열 골절에 대해 생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 후 심각한 골용해 소견을 경험하여 사용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판단하에 이에 대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