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tchen fire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4초

에어커튼형 레인지후드의 슬롯 토출 각도 변화와 배기 효율 (Effect of Slot Discharge-Angle Change on Exhaust Efficiency of Range Hood System with Air Curtain)

  • 성순경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7권9호
    • /
    • pp.468-474
    • /
    • 2015
  • When oil is used for cooking in detached or apartment houses, large amounts of oil-mist, smoke, and particulate substances are generated and dispersed into the indoor-air environment. These pollutants diffuse into the surroundings and spread their odor while rising fast at a high temperature due to the heat energy from the gas range. Although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from the exhaust hood, which is installed on the top of a gas range to remove the diffuse pollutants, the exhaust conditions can vary greatly because they depend on the shape of the exhaust hood and the discharge rate. In this paper, the air that is required for the gas-exhaustion process is supplied by an air curtain that surrounds the kitchen hood, and the pollutant-capturing efficiency varies depending on the angle of the discharge grills; the pollutant-capturing efficiency was studied using a numerical-analysis metho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ollutant-capturing efficiency is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a change of the discharge-grill angle at a low air-discharge rate; however, at a high air-discharge rate, the efficiency value increases with an increase of the discharge-grill angle, whereby the best value occurs at 30 degrees and the efficiency decreases above this angle. Below 30 degrees, the effect of the discharge rate on the capturing efficiency is more than that of the discharge-grill angle.

발코니 확장 합법화 이후 분양된 아파트 평면의 발코니 특성과 활용에 관한 연구 - 수도권과 군 이하지역의 아파트 평면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Balcony after Legalization to Remodel the Balcony - Focused on Comparison of the Apartment Plans of Metropolitan Areas and Provincial Areas -)

  • 박경옥;이상운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61-7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some suggestions for the legal supplement of the regulation on the balcony expansion for the optimal use of apartment balcony. For the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s expanded to the balcony, in the plans supplied after the legalization of balcony expansion, comparing them by their locatio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Gyeonggi and the districts of the other areas. The 168 plans of apartments in the supplied by top 10 constructors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Seoul and Gyeonggi, together with the 92 plans in the other smaller districts in 2006 to 2007 were analyzed with the tools of frequency and chi-square analysis. The result is as follows. (1) The region showed no difference in the plans of balcony; whereas the size, the position and access of the shelter explained some differences of balcony plan. (2) In wider plans, balconies were placed in all sides of plan-front, rear and side, and were remodeled to expand facing rooms. (3) The balcony expansion tended to increase the number of bays. (4) In almost cases, the living rooms were expanded to balcony. In smaller plans, the balconies were remodeled to supply supplementary kitchen space, splitting it from laundry. (5) The shelters were placed at the rear or side of plans, but the shelter facing room could be dangerous in case of fire. The balcony expansion, despite of legalization spirit to adopt diverse use of additional spaces for residents' needs, was only a tool for the space expansion. The amendment of the regulation is needed to accommodate these findings that the balconies should be identified by their function, that the front corridor-type balcony should be limited in length and magnitude, and that the shelter should be positioned with easy access.

  • PDF

영유아의 사고유형 실태조사와 안전교육 효과 분석 (The Patterns of Accidental Injury in Young Children and Effect of Safety Education on Their Mothers Performance of Preventive Measures)

  • 송인자;한정석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5-74
    • /
    • 1998
  • In the past most major accidents resulted in death, but today there is a dramatic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survive such accidents but who are left with permanent injury. Particularly, children who are inquisitive about their surroundings but immature in their ability to assess danger, are more vulnerable to accidents and their causes as well as to determine attitudes towards prevention. The main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using an accident prevention manual for accident for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The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a questionnaire forma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3 mothers of children attending six day care centers in Seoul.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May 1 and June 15, 1997. The tools used for the study were a questionnaire developed the researchers and a manual for accident preven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ypes of accidents included stabbing, bums, falls from heights, choking, falls on slippery surfaces, traffic accidents, drowning, poisoning, and electrical shock in that order of frequency. 2. The main causes of accidents in children were from cosmetics and household medications. 3. The most frequent locations of accidents in the home were the bathroom, kitchen, and stairways in that order. 4. For $90.4\%$ of children safety seats were not used when the ridding in a car. 5. In examining the parents' accident prevention practices, it was found that many parents used only . one electrical outlet for many appliances, tending to overload the electricity lines and that they were not practically concerned bout the flammability of children's pajamas, indicating a less than positive attitude towards fire prevention. 6. The parents had not provided their children with any instruction on accident prevention or on what to do after an accident had occurred. 7. After the use of pamphlet in an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to which children carried out safety measures (t=14.96, p=.000) and in their safety habits (t=-1.67, p<.1) indicating an effectiveness in this method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are many things in a child's environment that can cause accidents and that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occurring is high. So nurses looking after children should be aware of the need for safety education to prevent accidents in the home and plan to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al material to help parents with this education.

  • PDF

오피스텔의 생활형 숙박업 용도변경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Legal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Revitalization of Change in Building use Officetel to Lifestyle Lodging Industry)

  • 호한철;송호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55-465
    • /
    • 2014
  • 본 연구는 오피스텔의 생활형 숙박업으로의 용도전환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어떠한 제도적 개선방안이 필요한지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오피스텔의 생활형 숙박업 용도 전환 저해요소를 정립하였다. 둘째, AHP방식을 이용하여 향후 오피스텔을 생활형 숙박업으로 용도 전환하는 것을 활성화할 목적에서 제도적 혹은 운영적 측면에서 개선이 시급한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오피스텔의 생활형숙박업 용도변경 저해요인으로 4개 항목 13개의 세부지표가 도출되었다. AHP 결과, '기존 분양계약자 100% 동의 요건'이 1위, '용도지역지구 중 상업/준주거지역' 2위, '전문 위탁운영업체 부족' 3위, '상대정화구역' 4위, '복잡한 인허가 절차로 용도변경 지연' 5위, '위탁운영사 운영 리스크' 6위, '시설물 관리 부담' 7위, '관련 제도 홍보부족' 8위, '건축법 내 생활형 숙박시설 개념 미비' 9위, '주차장, 하수도, 소방시설 등 기본 건축 요건' 10위, '환기시설 설치' 11위, '객실별 욕실 또는 샤워실 설치' 12위, '취사시설 설치' 13위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안전 지식과 가정 안전 실천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afety Knowledge and Home Safety Practice)

  • 김지영;윤진주;김용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240-424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변인에 따라 안전지식과 가정 안전환경 실천의 차이를 조사하고, 안전지식과 안전환경 실천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I시의 어린이집에 재원한 영유아의 자녀를 둔 어머니 143명이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 및 자료를 참고로 하여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수정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F검증, Scheffe 사후 검증,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안전지식은 평균 보다는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영유아 발달 특성, 놀잇감 안전, 위험 물질, 응급처치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안전지식의 총합 점수와 영유아 발달 특성, 위험 상황에서, 자녀의 연령에 따라 영유아 발달 특성, 전기 화재 안전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는 대체적으로 가정의 안전환경을 위한 실천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욕실과 현관영역에서, 자녀의 연령에 따라 안전환경 실천의 총합 점수와 방과 주방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어머니의 안전지식과 안전환경 실천간에는 관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어머니의 안전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안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 운영될 필요성이 있다.

조선조시대 소품 석공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ll stone crafts in the Cho Sun Dynasty)

  • 유해철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57-168
    • /
    • 1999
  • 조선조시대의 석재는 공예품 재료로 쓰이기도 하였으나 건축재로서도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의장재로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석재 특유의 재질감과 미적 관점으로서 수반, 주자, 화로, 베겟모, 필통 등 실용적인 생활용품과 장식품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었다. 석재는 다양한 재료와 선택에 따라서 크기, 수량, 운반, 가공방법의 제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문제를 고려하여 제작되어 온 조선조시대의 소품 석공예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그치지 않고 형태와 문양, 재료의 선택 및 가공방법 등 전과정에 걸쳐 연구하고자 하였다. 조선조시대의 석공예품은 생활도구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중요한 일면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들 석공예품의 민예품은 제작목적이나 제작기술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그 당시의 사회적 요구와 사용자의 기호, 취미가 형태와 문양에 반영되어 나타난다는 점에서 커다란 차이가 없었음을 수집된 관련 작품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석공예품을 일상생활용품, 문방용품, 도구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본 결과 일상용품의 대부분이 실용성을 강조하여 제작되었으며, 사용상의 특성을 살리어 불에 강한 납석재로 제작되었다. 더욱이 부엌에서 사용되었던 주방용품은 무문으로서 기능성을 고려하였고, 안방에서 사용되었던 생활용품은 다양한 형식의 장식적 표현을 음각, 양각, 투각, 상감기법 등으로 조각하여 사용된 점이 특징이었다. 문방용품에 있어서는 장식적 효과와 용도에 따른 재료의 선정 등 심미성을 강조하여 표현된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작사용 된 재료는 납석, 황옥, 청옥, 백석 등 다양한 재료의 선정으로 고루 분포되었다. 문양과 조각의 표현에 있어서도 장식적인 화려함을 엿볼 수 있었다. 도구에서는 섬세함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오석, 화강석 등이 널리 쓰여서 용도상의 특성을 살리어 제작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