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ntoki bean lectin (KBL)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콩과 토란에서 추출한 FITC-Lectin의 마우스 소장조직에 대한 현미경 관찰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al Observation of the Binding of Lectin to Mouse Intestine)

  • 서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4-499
    • /
    • 1993
  • 렉틴투여 마우스의 소장을 고정절편으로 해서, HE 염색한 후 광학현미경관찰 및 조직을 반전고정해서 주사형전자현미경관찰을 하여, 소장점막의 미융모막의 변화를 대조군과 비교했다. 그 결과 소장융모의 팽윤, 단평화, 소장벽의 박약화, 상피세포의 밀도화 및 흐트러짐 등이 관찰되었다. 즉 렉틴이 정상적인 생체기능을 방해한다는 의미에서의 독활성이 있다는 것은, 소장조직에의 영양소흡수부전이 하나의 요인이 됨을 알 수 있다.

  • PDF

콩과 토란에서 추출한 $^3$H-Lectin의 마우스 소장에의 흡착량 정량 (Binding of $^3$H-Lectin from Kintoki Bean and Taro Tuber to Small Intestine of the Mouse)

  • 서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89-493
    • /
    • 1993
  • 렉틴의 항영양작용기구 해명의 하나로서 마우스 반전소장에의 흡착양상을, $^3$H로 레벨한 렉틴을 가지고, 방사활성을 측정했다. 그 결과, 소장부위에 의한 흡착량은 유의차가 없었고, 흡착포화시간은 60분간 37$^{\circ}C$에서, 흡착량은 8.6$\times$$10^{7}$ 1mg intestine이 되고, 렉틴이 소장세포와 반응해서, 여러 가지 항영양작용을 유도한다고 생각된다. $^3$H 레벨한 렉틴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흡착량은 크게되고, 2mg/$m\ell$에서 거의 포화에 달했다. pH7부근에서 흡착량이 제일 크고, 생체내에서의 소장은 렉틴이 가장 흡착되기 쉬운 상태임을 알 수 있었으며 저해인자는 fetuin과 EDTA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