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ng Sejong Institute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34초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원문의 전산처리 (The computerized management of the original text for the database of Hyangyakjipseongbang (鄕藥集成方))

  • 강연석;안상우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67-76
    • /
    • 2001
  • The 85 books were compiled into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at the period of the king Sejong(世宗). That books were assembled in the late stage of the Korea dynasty(高麗) and the first stage of the Chosun dynasty(朝鮮). It is a great work on medicine and a textbook of native herbs representating independent medicine of the dynasty of Chosun. The original text was written in technical chinese character terms and this was processed with a newly developed text cognizance program which helped decrease the time and energy needed and increase accuracy. We hope that the ground work and experience gained from this process would be analyzed and used for future in computerized information management for medical classic literature.

  • PDF

「조선왕조실록」 밀납본의 열화특성 분석 (Analysis on deterioration behaviors of the beewax-treated Annals of Joseon Dynasty)

  • 조병묵;김형진;최태호;엄태진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8호
    • /
    • pp.21-37
    • /
    • 2007
  • Paper cultural asset show various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during the storage. The understanding of the paper itself and its conservation knowledge is thus prerequisite to preserve paper cultural assets and pass them to descendants in a good conditio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ur written cultural assets (National treasure No.151) and it is registered as a UNESCO Memory of the World.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is composed of 1707 volumes and 1,187 books that were written on the official history of 472 years(AD 1392-1863) from King Taejo to King Chuljong (25 generations). Among them, beewax-treated Annals show severe damages due to the deterioration of wax materials such as breaking, hardening, darkening, discoloring and whitening. Urgent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serve the Annals and prevent further deterioration. Therefore, a systematic and scientific approach on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is definitely necessary. So it can be used an example to show how much the preservation science can conserve the paper cultural asse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paper properties and deterioration behaviors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the most damaged one, using non-destructive micro analysis techniques.

  • PDF

조선왕릉 봉분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일고 - 문헌에 기록된 석실과 회격의 구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Joseon Royal Tomb Tumulus)

  • 전나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1호
    • /
    • pp.52-69
    • /
    • 2012
  • 본 연구는 사료를 통하여 조선왕릉의 내부와 외부 구조를 분석한 후 시각적으로 구성하고, 조선왕릉의 특징을 고려 왕릉, 조선 사대부 무덤과 비교하여 본 논문이다. 조선왕릉은 구조적으로 견고한 건축의 성격을 지닐 뿐만 아니라 내부와 외부에 수호를 상징하는 미술 장식을 넣어 오래도록 왕과 왕후를 수호하도록 기원하고 있다. 조선 전기에는"세종실록 오례의"와 "국조오례의"가 남아 있어 이 사료를 통하여 조선왕릉의 내부는 석실이고, 외부는 병풍석과 난간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세조가 자신의 능에 석실을 만들지 말라고 유언을 남긴 이후로 조선왕릉의 내부는 모두 회격이 되었다. 조선 후기에 조선왕릉의 조성 과정을 작성한 사료는 영조 때 편찬한 "국조상례보편"이 있다. 이 책에는 조선왕릉을 회격으로 조성하는 구체적인 과정이 나타나있다. 조선 후기에 조성한 왕릉의 병풍석은 십이지상을 새겼던 기존과 달리 모란을 새겨 넣는다. 모란은 궁궐의 장식화로 자주 사용되었으며 조선왕릉에 모란이 나타난 점은 조선왕릉이 왕의 일상 공간이라는 인식이 반영된 점으로 볼 수 있다.

극한지에서의 유체기계를 위한 플랜트 설비구조물의 비파괴 건전도 평가 (Strength Evaluation of the Plant Facility for Fluid Machinery Using Schmidt Hammer in Cold Regions)

  • 홍승서;김영석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5-28
    • /
    • 2016
  • The Schmidt hammer test is one of the best nondestructive tests to measure the strength without breaking structures, which has been used to measure the strength of concrete structures in a simple way at construction sites. However, the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apply Schmidt hammer in cold regions.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unconfined compression test result of the oil storage facilities foundation taken at the King Sejong Antarctic Station and Schmidt hammer test result at the sample-taking site. Also, the equation for uniaxial compression strength using Schmidt hammer rebound value is proposed.

조선왕조실록과 해괴제등록 분석을 통한 황충(蝗蟲)의 실체와 방제 역사 (Biological Identity of Hwangchung and History on the Control of Hwangchung Outbreaks in Joseon Dynasty Analyzed through the Database Program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Enrollment of Haegoeje)

  • 박해철;한만종;이영보;이관석;강태화;한태만;;김태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75-384
    • /
    • 2010
  • 조선시대의 기록인 조선왕조설록DB와 국역 해괴제등록(國譯 解怪祭謄錄)을 통해 역사적인 해충인 황(蝗) 또는 비황(飛蝗)으로도 불리는 황충(蝗蟲)의 발생상을 분석하여 그 실체를 밝히고 황충의 방제사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황충발생기사 건수는 조선왕조실록 총 261건, 해괴제등록 65건이 있었다. 조선시대 전체를 통해서 황충의 발생기사 건수는 4차례의 피크가 있었는데, 조선초기인 태조-세종대에 가장 발생 빈도가 높았다. 조선왕조실록과 해괴제등록의 황충 기록을 비교한 결과, 해괴제등록 65건으로 조선왕조실록 37건에 비해 월등히 많았지만, 사건기록의 일치성은 낮았다. 조선시대 황충의 개념은 곡식해충뿐 아니라 소나무 등 산림해충까지 포함하는 것이었으며, 해괴제등록의 경우, 충재 중 80%가 황충으로 언급되어 있었다. 따라서 황의 개념은 Saigo (1916, 1937)의 주장이 합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체 황해(蝗害) 기사 261건 중 9.5%인 25건에서 황충의 분류학적 실체를 추적할 수 있었는데, 멸강나방 11건, 나방류 9건, 이화명나방 2건, 풀무치 2건, 벼멸구 1건, 벼물바구미 1건으로 Paik (1977)의 주장과 상당부분 일치하였으며, 황충=풀무치 또는 메뚜기류란 주장은 타당성이 낮았다. 조선왕조실록에서 황충 기사 중 출현보고는 173건으로 전체의 66%이고, 출현보고의 47%가 단순보고로서 황충발생의 보고 자체가 매우 중요했음을 의미했다. 황충의 방제대책은 발생보고건수의 20%(34건)로 낮았고, 주로 포획법이나 포제를 올렸으며, 단지 1건의 예방법이 세종대에 기사화 되었다. 황해로 인한 정책수행이나 계획의 변경 논의가 37건 있었는데, 주로 백성의 구휼이나 세금 감면이었고 군사훈련 중지, 축성 중지 등 백성 동원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또한 황충피해는 백성뿐 아니라 국왕에게 영향을 미쳐 성종의 경우 10건의 기사에서 황충방제의 스트레스를 언급하였으며, 정종 대에는 선위에 간접적 영향이 있음도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남극 킹조지 섬의 바톤 및 위버 반도에서 번식하는 도둑갈매기류의 둥지 분포 (Nest Distribution of Skuas on Barton and Weaver Peninsulas of the King George Island, the Antarctic)

  • 김정훈;정호성;김지희;유정칠;안인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443-450
    • /
    • 2005
  • The ratio of breeding pairs of brown skuas (Catharacta lonnbergi), south polar skuas (C. maccormicki) and mixed species pairs between Barton and Weaver peninsulas remained the same $(X^2-test,\;X^2=0,503,\;df=2,\;p=0.778)$. The nests of skuas were clustered on Barton, whereas they were distributed randomly on the Weaver peninsula. The distance between brown skua nests, and that of mixed species pair nests were longer than those of south polar skua nests. Brown skua nests were distributed along the coast. Whereas, the nests of mixed species pairs and south polar skuas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land (Kruskal-Wallis, $X^2=11.631$, df=2, p<0.005). There was no interspecific difference in the distances between skua nests and Penguin rookery at Barton (Kruskal-Wallis, $X^2=2.153$, df=2, p=0.341) or at King Sejong Station (ANOVA, F=1.483, df=2, p=0.229). In general, skuas prefer lower locales (<125m above sea level) for their nest building sites. Brown skua nests were distributed mainly on the beach, whereas south polar skua were distributed on the predominant periglacial landforms and till areas $(X^2-test,\;X^2=24.988,\;df=8,\;p<0.005)$.

꽃대가 강건한 백색 반겹꽃 절화용 거베라 신품종 'Whiteny' (A New White and Semi-double Gerbera Cultivar 'Whiteny' with Strong Floral Stem for Cut-flower)

  • 박상근;임진희;최성열;신학기;허은주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72-575
    • /
    • 2011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7년 백색 반겹꽃 'Wonder King'과 연녹빛의 백색 반겹꽃 'Ever Green'을 교배하여 얻은 실생계통으로부터 2007년부터 2010년까지 4년 동안의 생육특성검정을 거쳐 초세가 강건한 흑심의 순백색(RHS W155D) 반겹꽃 절화용 거베라 신품종 'Whiteny'를 품종육성하였다. 꽃의 직경이 11.5 cm인 대륜계통이며, 내화경과 화심장이 각각 7.8 cm와 2.2 cm이었다. 절화장은 52.2 cm로 매우 길며 꽃목의 굵기가 굵고 절화수명이 길다. 초세가 강건하고 국내 재배환경에 적합한 품종으로 재배농가의 기호도가 높아 앞으로 국내육성품종의 재배면적 확대 및 농가의 로열티 절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통해 본 왕의 위락활동 유형과 변천 (A Study on the Types and Changes of the King's Amusement Activities through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 강현민;신상섭;김현욱;마일초;한서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9-49
    • /
    • 2018
  •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분석한 조선시대 제왕들의 위락활동과 변천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궁중 안팎 외부공간에서 행해진 왕의 위락활동은 연회형, 강무형, 유희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연회형은 회례연, 진연(進宴), 풍정(豊呈), 진찬(進饌), 양로연, 사신연, 수연(壽宴), 곡연(曲宴) 등이었고, 강무형은 활쏘기, 격구, 사냥 등이며, 유희형은 나례(가면놀이), 처용무, 풍두희(?頭戱), 그리고 화산붕(불꽃놀이), 꽃놀이(賞花), 투호, 수박희(手搏戱), 낚시, 뱃놀이, 각투(角鬪), 상희(象戱), 잡희 등이었다. 위락 활동은 고려시대 답습기[1기, 태조~세조(예종)], 확립기[2기, 군사문화가 성리학 문화로 전환되었고 연회의 규례가 제도화, 성종~중종]. 단절기[3기, 임진왜란 등 불안한 정세 속에서 침체, 단절 초래, 성종~현종]. 중흥기[4기, 위락 문화 재정비, 수준 높은 왕실 문화의 자긍심 표출, 숙종~정조]. 그리고 쇠퇴기[5기, 세도정치로 왕권이 추락하면서 위락 활동이 급격히 퇴조, 순조~순종] 등 5단계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왕들의 사냥 관련 기사는 600건 이상 추적 되는데, 태종, 세종, 세조 등은 각 100여회 이상이었다. 사냥 대상은 호랑이, 곰, 사슴과 노루, 표범, 멧돼지, 매 등 이었고, 한양의 동북쪽 산림지역에서 주로 행해졌는데, 산수풍광이 수려하고 지리에 익숙한 풍양, 철원지역 등 북방의 정세와 안전을 살피기 위한 방안, 그리고 풍양이궁(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장소성 등과 밀접하게 연계된다. 단오절 세시풍속으로 대중에 확산된 격구놀이는 조선 초 왕과 신하들의 최상류층 마상격구로부터, 중기이후 무과시험의 마상격구와 상류층의 보상격구로 전환되는 과정을 거쳐, 조선 후기에는 민간에 확산되어 겨울철 남성들의 집단유락문화로 전승되는 과정이 추적된다. 특히, 강무형 위락문화는 봄(활쏘기), 여름(투호), 가을(활쏘기), 겨울(격구) 등 심신수양을 겸한 4계절 행위요소로 작용되었다. 한편, 조선시대 왕과 왕비들의 연향과 같은 위락 활동은 공식적 의례의 경우 내정(內庭)에서, 비공식적 관유(觀遊)의 경우 궁궐 후원이나 별궁에서, 특수 연회의 경우 모화관과 태평관, 기로소 등 별원(別園)에서, 활쏘기의 경우 성균관 사단에서, 사냥의 경우 금표가 설치된 강무장(금원과 원유)에서, 매사냥의 경우 한강변 광나루에서, 격구의 경우 보격구 중심으로 내정이나 별궁에서 다양하게 행해졌다. 즉, 외조, 치조, 연조, 후원의 범위를 넘어서 별원과 금원, 원유 등 한양에서 최대 100리 범위 까지를 활동영역으로 설정하는 위락문화 확장성(정(庭)${\rightarrow}$원(園)${\rightarrow}$원(苑)${\rightarrow}$원유(苑?))을 추적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수준 높은 기록문화의 추적을 통해, 역대 왕들의 위락문화를 연회형, 강무형, 유희형으로 유형화 할 수 있었고, 위락 활동(진찬, 회례연, 양로연, 대사례, 사신연 등은 물론 사냥, 활쏘기, 격구, 투호, 처용무, 낚시, 뱃놀이, 불꽃놀이 등) 전모와 장소성, 그리고 상징적 의미, 역사적인 전승과정과 위락문화 등을 복합적으로 탐색할 수 있었다.

곽향(藿香)의 기원식물에 대한 문헌적 연구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source of Gwackhyang)

  • 김인락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3-49
    • /
    • 200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original source of Gwackhyang(藿香) newly. Methods : Compare the growing district, figure and etc. of Gwackhyang included in the books on herbal medicine with those of present. Results : 1. The growing district of Gwackhyang is south of China or southern place than China. 2. In the picture of the leaf of Gwackhyang, its end is round and it is similar to Mori folium or the leaf of Solanum melongena. 3. We can propagate it by planting a piece of stem. 4. At the Dynasty of the Sejong king, japan sent it 18 times for diplomacy present, and according to Sejongsillockzirizi(世宗實錄地理志), it was planted for the test one time. 5. Baechohyang, another name of Gwackhyang, is rhizome and root of Anisochilus carnosus according to Bonchogangmok(本草綱目). Conclusion : Provide a basis for these results, Gwackhyang in the books on herbal medicine means Pogostemon cablin. It is a mistake to use Agastache rugosa in GwackhyangJeonggisan(震香正氣散) etc. in Korea.

  • PDF

추출조건이 홍삼엑기스의 질소화합물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ion Temperature and Ethanol Concentration on Nitrogeneous Constituents of Red Ginseng Extract)

  • 성형순;김우정;양차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95-103
    • /
    • 1985
  • The concentrated red ginseng extract (RG-EXT) was prepared by extracting the ginseng tails with 0-90% ethanol solution at 70-100$^{\circ}C$ and analyzed for amino acids composition and other nitrogeneous frac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nonprotein fraction was more than 90% of the total N-compounds and 17 free amino acids were identifi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aximum and minimum N-compounds or total free amino acids were recovered in RG-EXT with 50% and 90% ethanol, respectively. An increase in ethanol concentration resulted a significant change in free amino acid composition while extraction temperature caused a little gradual decrease in water soluble nonprotein and total nitrogen frac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