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mchi-vegetables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29초

주부의 채소 소비형태 및 영양지식에 대한 연구 (A Survey on Housewives' Consumption Pattern and Nutrition Knowledge about Vegetables)

  • 강금지;정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77-390
    • /
    • 1995
  • 주부들의 채소 소비 형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조사대상자의 73.4%가 30, 40대로서 고졸이 57.6%를 차지하였고 서울거주자가 77.2%, 아파트에 거주하는 사람이 50.5%, 핵가족이 78.8%, $4{\sim}5$인의 가족수를 가진 가정이 56%, 월 평균수입이 $150{\sim}200$만원 이하가 50%였으며 전업주부가 84.8%였다. 2. 채소의 구입비용은 일주일에 $1{\sim}2$만원, 구입빈도는 일주일에 $2{\sim}3$회, 신선한 채소는 주로 흙이 붙어 있는 손질되지 않은 상태를 구입하였다. 구입장소는 주로 시장의 채소가게와 농협을 포함한 슈퍼마켓이었고 백화점에서 채소를 구입하는 연령은 주로 30, 40대로 나타났다(p<.05). 3. 채소구입시 연령, 교육수준, 수입에 따라 우선적 고려요인이 달랐으나, 모두 무공해에 비교적 관심이 많았으며, 수입이 적은 경우에 가격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4. 가족구성원 중 채소반찬을 가장 좋아하는 사람은 주부 자신이었으며 가장 싫어하는 사람은 자녀 특히 아들이었다. 5. 채소조리법 중 기본적으로 김치류가 가장 선호되었고 자주 이용되지 않는 조리법은 샐러드로 나타났다. 6. 응답자의 54.3%가 채소반찬의 구입경험이 있었으며 별미로 먹기 위한 이유가 가장 많았다. 서울 거주자가 자주 구입하였으며(p<.01) 저소득층에서는 편리함 때문에(p<.05), 가족수가 적을수록 핵가족일수록 소량 필요해서(p<.01), 확대가족은 별미로 먹어보려고 (p<.05) 채소 반찬을 구입하였다. 판매되는 채소반찬을 구입하지 않는 이유는 비위생적인 요인이 가장 컸고, 첨가물 함유 가능성 때문에 채소반찬을 구입하지 않는 경우는 서울보다 지방거주자가 더 많았으며(p<.05) 교육수준에 관계없이 첨가물의 함유가능성을 염려하였다. 7. 김치의 구입경험이 있는 사람은 27.2%였으며 구입이유는 시간부족이 가장 많았다. 서울에 거주할수록 (p<.05), 직업이 있는 주부일수록(p<.05) 편리함 때문에 김치를 구입하였고 수입이 낮은 가정은 소량 필요해서 구입하였다(p<.01). 김치를 구입하지 않는 이유로는 김치를 사먹는 것이 좋지 않게 생각되어서가 가장 많았다. 지방에 거주할수록(p<.01) 김치구입 자체를 좋지않게 여겼고(연립주택에 거주하는 사람은 비위생적 요인으로 김치를 구입하지 않았고(p<.05)), 학력이 높을수록 첨가물 함유 가능성 때문에 김치를 구입하지 않았으며(p<.05), 시간적 여유가 비교적 있는 part time 일을 하는 주부는 맛이 없어서 김치를 구입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8. 채소에 함유된 영양소 3가지는 비타민, 무기질 및 섬유소로 응답하였고 응답자의 83.2%는 채소에는 cholesterol이 함유되어 있지 않으므로 채식이 건강에 좋다고 하였다. 또한 질병치료에 유효한 채소는 당근 등 42가지, 질병을 유발시키는 채소는 고사리 등 10종을 지적하였으며 이들은 과학적 증명이 가능하거나 민간요법으로 전해지고 있는 내용이다. 이상과 같이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에 다니는 주부의 채소 소비 형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가공된 채소반찬과 김치의 구입은 현재까지 일반화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김치보다 채소반찬의 구입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에 다니는 주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앞으로 다양한 계층의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폭 넓은 채소소비에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식이섬유용 식품섭취빈도조사지 개발 및 이를 이용한 충북지역 중학생의 식이섬유 섭취 실태 (The Development of the Dietary Fiber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the Dietary Fiber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hungbuk Province)

  • 신나실;이인선;김향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9-557
    • /
    • 2012
  • In this study, the FFQ-50 questionnaire which composed of 50 food items frequently eaten as sources of dietary fiber, was developed and used to estimate the dietary fiber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hungbuk province. According to the survey,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dietary fiber for the boys and girls were $23.3{\pm}12.3$ g (93.2%) and $20.8{\pm}11.5$ g (104.0%), respectively,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 The proportions of boys and girls who did not reach to the sufficient dietary fiber intake were 66.2% and 53.9% respectively. The major sources of dietary fiber were grain foods and vegetables, which measured at 77.24%, followed by fruits, seaweeds, tofu and tofu products, potato and starch, and mushrooms. The cooked white rice contributed the highest (17.81%), followed by baechu-kimchi, cooked brown rice, ramyeon (instant noodle), tangerine, sesame leaf jangajji (pickled sesame leaf), topokki (spicy rice cake stir-fry), blanched and seasoned bean sprouts, bread, and radish kimchi. The study showed that the cooked white rice was the major source of dietary fiber in the boys' diet followed by baechu-kimchi, ramyeon, cooked brown rice, tangerine, bread, strawberry, blanched and seasoned bean sprouts, sesame leaf jangajji, radish kimchi. Girls were taking in dietary fiber mostly from boiled white rice followed by baechu-kimchi, boiled brown rice, tangerine, ramyeon, sesame leaf jangajji, topokki, blanched and seasoned bean sprouts, radish kimchi, and boiled barley.

채소섭취 변화단계에 따른 초등학생의 채소 식행동과 기호도 (Vegetable Eating Behavior an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Stage of Change for Vegetable Intake)

  • 백지영;김혜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6-154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egetable eating behaviors and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stage of change for vegetable intake. The subjects consisted of 191 fourth and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Gyeonggi province. The stage of change for vegetable intake was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precontemplation (PC, 18.4%), preparation (P, 43.5%), and action/maintenance (A&M, 48.2%). The trend to eat a variety of foods was more distinctive as the students went from the PC to the A&M stage. The stage of change for vegetable intake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kimchi-eating pattern of the students. The A&M group ate more vegetables than the PC group because they liked vegetables and/or wanted to prevent disease. The PC group had a lower tendency to follow recommendations for vegetable eating than the P and A&M groups. The PC group also had an incorrect notion that low vegetable consumption over an extended time would not have a big impact on their health. The vegetables of high preference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potato, sweet potato, lettuce, radish, perilla leaf, cucumber, and cabbage. The vegetables of low preference were spinach, onion, balloon flower, and green pepper. The PC group had lower preferences for most vegetables than the P and A&M groups. Therefore, careful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especially for students in the PC group in order to explain the positive effects of vegetable intake and negative effects of an unbalanced diet. It is also necessary to survey students' tastes consistently and to develop recipes that encourage them to consume more vegetables agreeably.

학술 2 - 김치에 함유된 돼지회충란의 사멸조건 (Conditions of kimchi to be safe from consuming viable Ascaris suum eggs)

  • 신성식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48권9호
    • /
    • pp.540-543
    • /
    • 2012
  • Livestock excretes are frequently used in organic farming to produce vegetables and crops. However, zoonotic parasite eggs can be contaminated into such products and people can be infected with parasites of animal origin. Sporadic zoonotic infections with Ascaris suum have been reported even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North America, Denmark, and the United Kingdom. Ascaris eggs are resistant to most advers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pigs and humans become infected by ingestion of fecally excreted eggs through contaminated food, water, or soil. This article discusses the resistant nature of ascarid eggs against harsh environment, and conditions of kimchi to be safe from consuming viable A. suum eggs.

  • PDF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가진 산채 혼합물을 함유한 김치의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against Oxidative Neuronal Cell Death of Kimchi Containing a Mixture of Wild Vegetables with Nitrite Scavenging Activity)

  • 강경훈;박시영;권기한;임희경;김성현;김정균;정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458-146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NaNO_2$ 모델계와 배추에 함유된 아질산염에 대한 9종류 산채들의 아질산염 소거 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가진 산채들의 혼합물을 함유한 김치(MWV)의 뇌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아질산염 소거 작용은 모든 시료에서 pH 4.2에서보다 pH 1.2에서 높았고, 다래순 추출물과 참취 추출물(AS)은 pH 1.2에서 90% 이상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나타내었다. AS, 더덕, 잔대, 도라지 및 민들레 추출물들(CL, AT, PG, TO)은 pH 4.2에서 다른 추출물보다 아질산염 소거 작용이 높았다. CL, AT, PG 및 TO는 배추에 함유된 아질산염에 대해 높은 아질산염 소거 작용을 가지고 있었다. 더하여 항산화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뇌신경세포 사멸에 대한 MWV의 영향을 사람의 뇌 신경모세포종 SK-N-SH 세포 내에서 연구하였다. MWV 추출물은 SK-N-SH 세포에서 $H_2O_2$에 의해 유도된 세포 사멸과 ROS 생성을 약화시켰다. MWV 추출물은 일반김치 추출물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높은 DPPH 라디칼 소거 작용을 보여주었다. MWV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H_2O_2$)에 대항하여 뇌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한식 식품군의 in vitro 총 항산화능 (TDAC)과 ex vivo DNA 손상 보호효과와의 관련성 (Protective effect of Korean diet food groups on lymphocyte DNA damage and contribution of each food group to total dietary antioxidant capacity (TDAC))

  • 이민영;한정화;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5호
    • /
    • pp.277-287
    • /
    • 2016
  • 본 연구는 제5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한식 식품군의 총 페놀 함량, in vitro 항산화활성 및 인체세포를 이용한 ex vivo DNA 손상 감소효과를 비교하고, 각 지표간의 상관성을 분석하며, 한식의 총 식사 항산화능에 대한 각 식품군의 기여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5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식의 식물성 식품을 10가지 식품군 (곡류, 과일류, 채소류, 견과류, 김치류, 해조류, 감자류, 버섯류, 두류, 오일류)으로 분류한 후 각 식품군별로 총 섭취량의 1% 이상 섭취한 식품 84종을 한식의 식물성 식품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각 식품군의 총 페놀함량을 측정하였고,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TEAC assay, $ORAC_{ROO{\cdot}}$ assay를 사용하여 in vitro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한식의 식품군별 항산화능 (dietary antioxidant capacity, DAC)은 in vitro 항산화활성 평균값과 각 식품군의 1일 섭취량을 고려하여 계산하였고 한식 TDAC는 각 식품군의 DAC로의 합으로 구하였으며, TDAC에 대한 각 식품군 항산화능의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인체 임파구에서의 ex vivo DNA 손상 정도는 comet assay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한식 식품군의 총 페놀함량은 버섯류, 과일류, 채소류, 해조류, 김치류 등의 순으로 높았으며, 3가지 in vitro 실험법을 평균한 식품군의 항산화활성 순위는 버섯류, 해조류, 채소류, 김치류, 과일류 등의 순이었다. 각 식품군의 항산화활성에 식품섭취량을 고려하여 계산한 한식의 TDAC에 대한 식품군의 항산화능 기여도는 곡류가 33.4%로 가장 높았으며, 과일류 (23.9%), 채소류 (12.7%), 김치류 (11.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체 임파구에서 ex vivo DNA 손상 보호효과는 버섯류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채소류, 과일류, 해조류, 김치류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식품군의 페놀함량과 in vitro 항산화 활성, 그리고 ex vivo DNA 보호효과의 순위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각 지표간의 상관성은 매우 높았다. 한식 식품군 중 버섯류, 과일류, 채소류, 해조류에서 총 페놀함량과 항산화 활성, DNA 손상 보호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각 식품군의 총 페놀함량과 in vitro 항산화 활성, ex vivo DNA 보호효과 지표 간의 상관성은 매우 높았다. 한식의 TDAC에 대한 식품군별 항산화능 기여도는 곡류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과일류, 채소류, 김치류의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한식의 우수성을 항산화 측면에서 밝히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증국 운남성 백족의 음식문화 (Food of China Yunnan Baizu)

  • 신계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5-23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ina Yunnan Baizu food. This study was performed a visit market based on in- depth interview with food experts those who lived in Baizu provinc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in food of Baizu were Bab, Dduk(BaBa), Nuddle(Mi xian) made from rice. They ate all kind of food from vegetables, fish, and pork, but the remarkable thing was that there were practical limit to select the ingredient. They would use some fermented products such as Pao-chai, Yan-chai, Zha. Pao-chai was fermented vegetables like Kimchi, Yan-chai was similar with Changachi in Korea, and Zha was prepared from meat and fish. Menus for Banquets were included 8 kinds of cold appetizer, 8 kinds of hot dishes, and 2 kinds of sweet desserts. The ingredients were local products and they considered hot, sour, cold taste importantly. The method of cooking was simple and Rusan, Sengpi was the most traditional Baizu food. Ru san is one of dishes prepared from the milk, and milk pedimented product. Sengpi was uncooked pork.

  • PDF

항균 세라믹 충전 LDPE필름의 김치 저장성 (Storage of Kimchi in LDPE Film Containg Antibiotic Ceramic)

  • 김광섭;강용구;김종대;은종방;박찬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11-816
    • /
    • 1998
  • 김치포장이 부풀지 않으면서 맛이 유지될수 있는 새로운 재질을 갖는 포장재를 개발하기 위해 식물 성장을 촉진시키는 생리활성능력과 항균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은처리한 소재를 LDPE필름에 충전하여 포장재를 만든후 김치를 포장하여 $20^{\circ}C$저장중 품질변화를 관찰하였다. 이 포장재는 이산화탄소가스와 에틸렌 투과도가 뛰어나 포장재를 부풀게 하지 않았으며 김치냄새방출도 은처리한 소재의 탈취효과로 인해 약간만 방출되었다. pH의 경우에는 김치맛이 가장좋은 $4.0{\sim}4.5$ 범위기간이 두배 이상 증가되었다. 젖산균의 수에 있어서도 미미하기는 하지만 LDPE의 경우보다 젖산균 성장이 지연됨을 보여주었다. 전체적인 평가로 판단해볼 때 은처리한 소재를 충전시킨 AC3O포장재가 LDPE포장재보다 김치저장특성이 뛰어나 김치맛이 상온에서 더 오랫동안 좋은 맛을 유지하였다.

  • PDF

Assurance on the Genotoxicological Safety of Fermented Vegetables Pasteurized by Gamma Irradiation

  • Yook, Hong-Sun;Byun, Myung-Woo;Song, Hyun-Pa;Lee, Ju-Woon;Kim, Kwan-Soo;Kim, Kwang-Hoon;Lee, Ho-Joon;Kim, Dong-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137-142
    • /
    • 2005
  • The genotoxicological safety of fermented vegetables pasteurized by gamma irradiation was examined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irradiation for extending of fermented vegetables. A fermented vegetable was irradiated at 20 kGy to assure its toxicological safety even at a high dose of radiation. The Ames test with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1537) and Escherchia coli (WP2), and the chromosomal aberration test in Chinese hamster lung (CHL) cells were performed. In vivo micronucleus test were conducted in mouse bone marrow cells. With or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negative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Ames test and the chromosomal aberration test. In the micronucleus test, there was no enhancement in the formation of micronucleus, and there were no suc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rradiated and non-irradiated samples. The observed results indicated that, a level of 20 kGy of gamma irradiation on the fermented vegetable did not bring about any genotoxic effects under the described experimental conditions.

광주$\cdot$전남지역 학교영양사의 한국 전통음식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초$\cdot$$\cdot$고등학교의 비교-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in Gwangju and Jeonnam Area Dietitians - For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

  • 정난희;전은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97-10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od service uti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food in Gwangju and Jeonnam Area dietitian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food in school food servi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utilizations of traditional Korean food was remarkable among the dietitians who are elderly, have worked for a long time, are married and in elementary schools. For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utilization of rice was remarkable in Bombop(boiled rice and nuts)(p<.001), Okeukbop(boiled rice mixed with five grains)(p<.001), Potbop(boiled rice and red-bean)(p<.001), Boribop(boiled rice and barley)(p<.01), and Kongbop(boiled rice and beans)(p<.01) The utilization of one-dish meals was remarkable in Kongnamulbop(boiled rice and bean sprouts)(p<.001). The utilization of porridge was remarkable in Hobakjuk(pumpkin porridge)(p<.001) and Potjuk(red-bean porridge)(p<.001). The utilization of noodles was remarkable in Mandu soup(a bun stuffed with seasoned meat and vegetables)(p<.001) and Kalkuksu(cut noodles)(p<.001). The utilization of soup and pot stew was remarkable in Kongnamul soup(p<.001), sagolugeoji soup(p<.001), Calbitang(p<.001) and sullungtang(p<.001), kongbiji stew(p<.01), and soondubu stew(p<.05). The utilization of steamed dish and hard-boiled food was remarkable in green perilla stew(p<.001), fish stew(p<.001) and seasoned and steamed pollack(p<.01). The utilization of pan-boiled food stew was remarkable in small octopus stew(p<.001). The utilization of fried food or grilled food was remarkable in grilled fish(p<.001), bindaetteok(vegetable pancake)(p<.001), fried green pumpkin(p<.001), fried sea food with stone-leek(p<.001) and Buchu fried food(p<.001). The utilization of salad and cooked vegetables was remarkable in spinach salad(p<.001), cucumber salad(p<.001) and Kongnamul(bean sprouts)(p<.05). The utilization of Kimchi was remarkable in Baek kimchi(p<.001), Gat(leaf-mustard) kimchi(p<.001), Youlmu(young radish) kimchi(p<.01) and Oisobaki(p<.01). The utilization of desserts was remarkable in seasonable fruits(p<.001), Kangjung(p<.01), Tteok(rice cake)(p<.01) and Sik Hye(Cinnamon flavored persimmon punch)(p<.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