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yboard Height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3초

컴퓨터 모니터에 제시된 표적의 탐색과 선택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rch and selection processes of targets presented on the CRT display)

  • 이재식;신현정;도경수
    • 인지과학
    • /
    • 제11권2호
    • /
    • pp.37-51
    • /
    • 2000
  • 컴퓨터 모니터에 제시되는 표적의 물리적 특성(표적의 크기, 표적까지의 거리, 표적의 방향, 주변자극들의 조밀도 등)이 입력도구에 따라서 표적의 탐색과 선택반응의 정확성과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단순 표적이 현재의 커서위치로부터 방향과 거리를 달리하여 제시되었을 때 마우스를 이용한 포인팅 반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 과대이동(overshooting)의 비율이 정확이동이나 과소이동(undershooting)보다 높았다. (2) 이러한 경향은 상하 혹은 좌우의 정방향보다는 사각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리고 표적이 멀리 있을수록 증가하였다. (3) 과대/과소이동의 빈도는 사각에서 현저하였으나, 그 정도는 오히려 정방향에서 더 컸다. (4) 전체 수행과정을 계획, 이동, 조정, 반응수행단계로 구분할 때, 반응시간의 결정요인은 표적까기 마우스를 이동하는 단계였다. 실험 2에서는 실제 단어를 표적으로 사용하여 표적의 방향과 거리뿐만 아니라 표적의 크기와 방해자극들의 조밀도 수준을 체계적으로 변화시켰을 때, 키보드와 마우스에 의한 표적 선택시간을 분석하였다. 표적의 크기로는 한글 96의 글자크기 10, 12, 14를 사용하고, 자극들의 조밀도는 줄간격 100, 150 200%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1) 전반적으로는 키보드에 비해 마우스를 이용한 선택 반응시간이 짧았지만 커서를 상하 또는 좌우로만 이동하는 조건에서는 오히려 키보드의 반응시간이 더 짧았다. (3) 줄간격이 조밀하고(100%) 표적의 크기가 작을 때(10) 반응시간이 가장 길었다. (4) 키보드의 경우에는 줄간격 150% 조건에서 반응시간이 가장 짧은 반면, 마우스의 경우에는 줄간격이 커짐에 따라 반응시간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입력도구의 특성과 표적의 물리적 특성간의 상호 관련성이 시스템의 설계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논의되었다.=-0.71435*)이었으나, 괴경중 총당 함량과는 정의 상관(r=0.78018*)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충종합방제 프로그램을 확립하고 또한 새로운 내충성 품종의 육성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복현상에 대한 해석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자노인보다는 여자노인이 식품섭취에 계절에 의한 영향을 더욱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수 노인들은 가공식품보다는 계절마다 제철에 생산 되는 자연 식품의 섭취비율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장수노인들은 소식의 경향을 보였으며 이 와 같은 소식습관과 신선한 식물성 식품들의 일상 섭취가 건강한 장수에 영향을 미쳤을 가 능성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며, 지방 조직내 지방축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말해 준다.에서 하는 부모교육과 반상회의 홍보자료에 반상회의 홍보자료에 반드시환경친화적 음식소비행동에 관한 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 조리사의 경우 정기교육과정에 환경친화적 음식소비행동에 관한 홍보를 함께 함으로써 외식이나 단체급식에서 발행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 일 수 있을 것이다.m its genes controlling host specificity to its population sturctures and dynamics, have begun to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potential mechanisms underlying race variation. In this review we aim to provide an overview on (a) the molecular basis of host specificity of M. grisea, (b)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rice pathogens, and (c) the nature and mechanisms of genetic changes underpinning virulence

  • PDF

VDT 작업자들의 신체 불편도 조사 및 분석 (An Ergonomic Survey and Analysis of Body Discomfort for VDT Workers)

  • 이동춘;김길주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1권48호
    • /
    • pp.253-26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evention methods for the health of VDT workers by an ergonomic survey and analysis of body discomfort. Totally 150 VDT workers(male; 78, female; 72) were investigated with questionnaire. From the results of survey, average of the subjects age was 28.5 years(male; 29.7, female; 27.2), average working period was 5.4 years(male; 5.2, female; 5.6), average VDT working hours was 6.3 hours(male; 6.2, female; 6.4) and workers who answered that they use VDT for more than 5 hours a day were over 79%. Among the questionnaires 10.7% and 7.3% of VDT workers complained the discomfort of their neck and lower back, respectively. VDT workers responded that the height of chair, keyboard and computer monitor were the main reasons for feeling discomfor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VDT syndrome preven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safety and health of the VDT workers.

  • PDF

사무직 근로자의 컴퓨터 작업 자세의 관찰 연구 (An Observational Study of Office Workers' Postural Behaviors During Computer Work)

  • 전덕훈;구미란
    • PNF and Movement
    • /
    • 제19권2호
    • /
    • pp.243-250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office workers' postural behaviors during computer work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head and thorax postural behaviors.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57 office workers who worked longer than 20 hours on a computer. Postural behaviors during computer work were measured using 3-D wearable motion sensors on the forehead and sternum. A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model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various risk factors (neck pain, demograph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non-head and thorax postural behaviors. Results: The participants maintained their head and thorax in neutral postures (defined as 10° extension~10° flexion and 5° extension~10° flexion, respectively) for 24.7% and 39.3% of the total recorded time. Those who reported neck pain at the measurement of postural behaviors showed less time spent in thorax postures. Current neck pain, high desk heigh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keyboard and the edge of the desk (cm) were found to be related to less time spent in a neutral thorax posture. Conclusion: Office environment factors and current neck pain might affect workers' thorax postures, which might also determine the orientation of head postures during computer work.

A Study on the VDT Workstations Usage for Office Workers

  • Kim, Daysung;Lee, Dong-Kyung;Cho, Hae Kyeong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9-190
    • /
    • 2015
  • Objective and Background: Due to increase in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 relating to computer use, a number of ergonomics recommendations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tackle this problem. However, some of these recommendations have been conflicting. Method: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VDT (Visual Display Terminal) use of office workers. The subjects were 452 workers at 13 places of busines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sults: As a result, prevalence of self-reported MSDs of all VDT workers was 90.2% and shoulder took up 57.0% and neck 38.3% by symptom part of body. The population of computer use of more than 6h/day was 84.5%, and 33.8% also reported using the VDT 2~3h/day without the rest time. Desktop computer users were 95.6%, and a 17-inch monitor accounted for 42.0% among the desktop users. As a result of satisfaction survey on overall computer work, 21.1% of the total respondents said satisfied, desk complaint was about 24.6%, and chair complaint was 33.4%. Despite the importance of computer environment, satisfaction was from fair to uncomfortable. Conclusion and Application: In conclusion, office workers are prone to the MSDs due to their work environment. Additionally, this study found that task was a significant effect for the majority of dependent variables, and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computer workstations work environment is urgent, and the improvement of desk height adjustment, chair seat size (length, width), backrest condition, location of keyboard (mouse) and arm rest is required.

VDT 증후군의 환경적 요인과 증상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Symptoms of VDT Syndrome)

  • 정승희;이선영;어선미;김덕훈;이은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5-69
    • /
    • 2009
  • 목적: 최근 컴퓨터가 대량 보급되면서 VDT 증후군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VDT 증후군은 VDT 작업자들에게 나타나는 근골격계 질환, 신경정신계 장애, 눈의 긴장, 피로, 자극과 충혈 등 안과적 증상을 포함한다. VDT 증후군의 환경요인으로는 전자파, 컴퓨터 화면의 크기, 밝기, 조명, 모니터 및 작업대의 높낮이, 작업시간, 작업의 종류, 작업자와 스크린과의 거리, 실내습도 및 온도, 사무실내의 공기오염, 환기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거리 시각 작업으로 인한 VDT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주요 신체증상 및 신체 및 심리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적 요인을 조사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19세부터 28세사이의 남자 54명, 여자 66명으로 총 120명이었다. 책이나 문서 읽기, 컴퓨터 작업 등에 대한 근거리 작업을 할 때에 나타나는 신체적 증상과 육체적 불편함을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에는 근업작업에 따른 주요 신체 증상과 눈의 자각 증상, 작업환경에 대한 만족도, 키보드, 마우스 사용시의 손목 통증 경험 등을 포함하였다. 결과: 장시간 컴퓨터, 문서,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에 대부분(70%)이 신체적인 통증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부위는 주로 목과 허리(57.1%), 눈(45.2%), 두통(31%) 등이었다. 환경적 요인에서는 적절치 못한 조명으로 눈의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78.3%였다. 대부분의 증상은 '눈의 피로'(38.3%), '눈의 건조성'(31.9%), '눈의 흐릿함'(23.7%)이었다. 대상자들은 의자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하였고 키보드, 마우스 사용 때 손목의 통증은 대부분 경험하였다. 결론: 전자기기, 문서 등을 이용할 때 빛, 공간, 자세, 작업대 등의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이 조화롭지 못해 눈의 피로, 신체적인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문서작업을 할 때에는 휴식시간에 대한 자기관리와 같은 예방법을 개발하여 눈의 피로를 줄여야 할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해 최적의 시각적인 환경을 위한 인간공학적 디자인으로 작업환경을 바꾸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