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ratometry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 여자대학생의 굴절성 근시와 각막난시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Refractive Myopia and Corneal Astigmatism in Korea Women University Students)

  • 김덕훈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7
    • /
    • 2013
  • Purpose. To analysis the prevalence of the myopia and corneal astigmatism in Korea wome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From August 2011 to December 2012, one hundreds subjects were performed in refraction test using the Auto-Keratometry. Results. The mean age of the 100 subjects (200 eyes) was $21.23{\pm}2.34$. The mean spherical refractive power was -$1.78{\pm}1.65$(OD) and -$1.83{\pm}1.67$(OS) Diopter. The mean astigmatism power was $1.22{\pm}0.96$ (OD) and $1.27{\pm}0.91$ (OS). The mean corneal astigmatism was $1.44{\pm}0.81$(OD) and $1.55{\pm}0.93$(OS). Corneal astigmatism was between 0.25 D and 1.25 D in 67.7% of eyes, 1.25 D or higher in 27.5% eyes, and less than 0.25 D in 4.8% of eyes. Astigmatism was with the rule in 65%, against the rule in 31.5%, and oblique in 3.5%.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right eye and left eye in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p=0.002). Also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spherical power and refractive astigmatism in OD(p=0.006) and OS(0.003) and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corneal astigmatism and refractive astigmatism in OS(p=0.0003). However, there was not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spherical power and corneal astigmatism in OD(p=0.08) and OS(0.1) and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corneal astigmatism and refractive astigmatism in OS(p=0.48).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nalysis of the refractive myopia and corneal astigmatism can provide the visual correct and useful diagnosis information for the eyewear dispensing, contact lens fitting and corneal refraction surgery.

  • PDF

근시와 정시 사이에서 근거리 작업의 결과로서 각막 지도 변화와 비교 (Comparison of the Corneal Topography Changes as a Result of Near Task between Myopes and Emmetropes)

  • ;;김덕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15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근시와 정시에서 근거리 작업의 결과로서 각막 지도의 변화를 조사한 것이다. 18세에서 24세 사이의 30명의 대학생을 무작위로 선택하였다. 그들은 각각 15명씩의 두 굴절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즉 근시와 정시로 하였다. 각 피검자의 각박 지도는 Eye-Sys Videokeratography system으로 측정하였다. 측정은 근거리 작업의 30분 전후에 수행하였다(복사한 N10 교체를 20cm 근거리에서 수행함). 자극 받은 케라토 미터와 반경선 케라토미터 지도 프로그램은 자료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우리의 결과들은 단지 정시를 위한 근거리 작업 후 각막 지도의 중심 부위(3 mm)의 가장 연명한 경선에서 유의성 변화(P<0.005)의 발견을 제외하고는 근시와 정시 모두에 근거리 작업의 결과로서 자극된 케라토 미터와 반경선 나타남은 유의성을 가지는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각막 지도는 근시와 정시 모두에서 근거리 작업의 결과로서 의미 있는 변화가 없다는 것을 결론지었다.

  • PDF

The effect of suture by absorbable material on corneal astigmatism after phacoemulsification

  • Yoo, Jae Ho;Lee, Sang Joon
    •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 /
    • 제33권3호
    • /
    • pp.318-327
    • /
    • 2018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bsorbable suture on surgically-induced corneal astigmatism in 3.0-mm sclera tunnel cataract surgeries. Methods: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went phacoemulsification cataract surgery using a 3.0-mm sclera tunnel incision made by a single surgeon were reviewed. Uncorrected distant visual acuity, corneal astigmatism and surgically-induced astigmatism were measured in 56 patients' eyes that underwent sclera tunnel cataract surgery with absorbable sutures (sutured group) and in 23 patients' eyes without sutures (unsutured group). Uncorrected visual acuity, intraocular pressure, slit lamp examination, and automated keratometry were evaluated preoperatively and at 3 days, 2 weeks, 4 weeks, and 8 weeks after cataract operation.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operative average uncorrected distant visual acuity of the two groups (sutured group: $0.79{\pm}0.64$, unsutured group: $0.68{\pm}0.72$, P = 0.145). Corneal astigmatism measured using keratometry in the sutured and unsutured group at postoperative day 3 were $2.27{\pm}2.12D$ versus $0.83{\pm}0.55D$ at (P < 0.001), a difference which had disappeared after 4 weeks.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 using the Holladay and Vector methods showed similar outcomes, suggesting that the sutured group exhibited higher astigmatism compared with the unsutured group until 2 weeks post-surgery. Conclusions: TPatients undergoing scleral tunnel cataract surgery with absorbable sutures have greater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 especially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compared with those without sutures. However, this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 due to absorbable sutures in scleral tunnel cataract surgery is temporary and disappears at 4 weeks post-surgery.

굴절이상을 결정하는 안광학 요소에 관한 연구 (Study of Ocular Components in Determining the Refractive State of the Eye)

  • 서용원;최영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 17세에서 30세사이의 38명을 대상으로 Vision Tester로 자각적 굴절이상을 측정하고, 난시가 있는 사람은 등가구면도수틀 취했다. 각막 굴절력과 곡율반경은 Baush & Lomb사 Keratometer로 측정했으며 전방의 깊이, 수정체의 두께, 초자체의 깊이, 안축의 길이 등은 A-mode Ultrasonography로 측정 했고, 각막 두께는 Phakometry로 측정했다. 굴절이상과 안광학요소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안축의 길이, 초자체의 깊이, AL/CR 비와는 각각 0.95, 0.96, 0.95로 아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각막곡율반경, 굴절력, 수정체의 두께와는 각각 0.60, 0.66, 0.67로 나타났으며, 각막의 두께와는 괄목할 만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 PDF

Effectiveness of Overnight Orthokeratology with a New Contact Lens Design in Moderate to High Myopia with Astigmatism

  • Park, Yuli;Kim, Hoon;Kang, Jae Ku;Cho, Kyong Jin
    • Medical Lasers
    • /
    • 제10권4호
    • /
    • pp.229-237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overnight orthokeratology (OK) in myopia using a new contact lens design over a one-month wearing period. Materials and Methods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have myopia between -3.00 and -7.50D and astigmatism ≤ 2.00 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underwent OK with the White OK lens® (Interojo, Pyungtek, Korea), which has a 6-curve lens design. Participants were assessed at weeks 1, 2, and 4 using slit-lamp bio-microscopy, and tested for refraction, uncorrected distance visual acuity, and corneal topography. Success was defined as achieving a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logMAR) ≤ 0.1. Results A total of 46 eligible subjects with a mean age of 23.11 ± 7.89 years were recruited. Baseline logMAR was 1.18 ± 0.30 and a consistent decrease in logMAR was observed from week 1 to week 4. The success rate was 95.35% at week 4. The mean sphere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a mean pre-fitting value of -4.58 ± 1.28 D to a mean value of -0.65 ± 0.69 D at week 4 (p < 0.0001).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neal flattening was detected during keratometry at week 4. Conclusion Overnight OK with the White OK lens is effective for the correction of moderate and high myopia with astigmatism over a one-month wearing period.

베이스 커브에 의한 콘택트렌즈 피팅 효과 (Effects of Base Curve on Fitting with the current Soft Contact Lenses)

  • 최오목;강명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5-72
    • /
    • 2000
  • 콘택트렌즈 피팅후 기초검사와 베이스커브의 무작위 피팅검사, 그리고 베이스커브의 의도적인 변화에 따른 재피팅검사율 이용하여 중함수의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피팅과 베이스커브의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시험렌즈 피팅후 렌즈의 위치, 순목후 렌즈의 움직임, 자각적 착용감을 평가하여 적합한 베이스커브를 평가한 결과 본 연구에 사용한 소재의 소프트 콘택트렌즈에서는 베이스커브가 8.4mm의 경우 최상의 피팅 효과를 보였다. 베이스커브를 8.4mm보다 큰 경우 순목후 렌즈 움직임보다 피팅후 렌즈의 중심이탈정도가 심하고 자각적 검사결과 의도적인 재피팅을 시도하였다. 다른 제조회사렌즈는 정교한 디자인과 제조상의 차이 때문에 언제나 같은 방법으로 피팅 결과가 나오는 것은 아니다. 본 실험에 사용한 중함수율 소프트콘택트렌즈는 대다수의 눈에 최적의 피팅을 제공해 주는 것은 8.4mm 베이스커브렌즈가 효과적이었다.

  • PDF

소프트콘택트렌즈 재질에 따른 눈물막 파괴시간과 고위수차의 비교 (Comparison of tear film break-up time and high order aberration according to soft contact lens material)

  • 김봉환;한선희;김학준;배상아;손유진;김지현;김현지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232-1237
    • /
    • 2019
  • Purpose. In this study, two types of soft contact lenses with different materials were selected to compare the time of tear film destruction and high order aberrations before and after wearing. Methods. Thirty patients (60 eyes) in their 20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wo lenses with different materials, Group 4 (Etafilcon A) and Group 5 (Narafilcon A) were selected. Using aberration analyzer and keratometry, high-order aberration and tear film test (NIF-BUT, NIAvg-BUT)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wearing. Results. When comparing the higher aberrations of the Etafilcon A and Narafilcon A lenses, the higher aberrations of the Narafilcon A lens were higher overall. For the initial tear film break-up time (NIF-BUT) after wearing, the Etafilcon A lens was reduced by 4.0 seconds and the Narafilcon A lens increased by 0.6 seconds. For the mean tear film break-up time (NIAvg-BUT) after wearing, the Etafilcon A lens decreased by 2.4 seconds and the Narafilcon A lens increased by 1.7 seconds. Conclusions. NIF-BUT and NIAvg-BUT of Narafilcon A lens were increased. The lens with relatively low water content and higher oxygen permeability than the lens with high water content has relatively less tear evaporation, which means that the time of destruction of the tear film is increased.

근시정도에 따른 역기하렌즈 착용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Wearing Reverse Geometry Lenses by Degrees of Myopia)

  • 윤민화;이기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5-272
    • /
    • 2012
  • 목적: 약도의 근시를 가진 아동과 중등도 이상의 근시를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역기하렌즈를 착용시키고 난 후의 근시교정효과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7세에서 15세 사이의 -2.00 D이하 근시안 19안(Group 1)과 -2.25 D이상에서 -4.00 D이하의 근시안 28안(Group 2), -4.25 D이상에서 근시안 15안(Group 3), 총 31명(62안)을 대상으로 역기하렌즈 착용 전, 착용 후 1주일, 1개월, 3개월, 6개월 후의 나안시력과 각막지형도상의 굴절력 변화를 근시의 정도에 따라 3그룹으로 나눠 교정효과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추적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결과: 역기하렌즈를 착용하고 난 후 Group 1은 착용 후 1주일에 시력이 0.45 에서 0.95 로 0.50 향상되었으며 1개월째 0.91, 3개월째 1.02 로 향상되었으나 6개월째 0.95 로 다시 감소하였다. Group 2는 착용 후 1주일에 시력이 0.34 에서 0.77 로 0.43 향상되었으며, 1개월째 0.91 로 증가되었으며, 3개월째 0.97 시력까지 향상되어 6개월까지 통계적으로 지속되었다. Group 3은 착용 후 1주일에 시력이 0.15 에서 0.70 로 0.55 향상되었으며, 1개월째 0.87, 3개월에는 0.91 로 향상되었으나 6개월째 0.86 으로 다시 감소되었다. 각막지형도상 평균 Sim K(simulated keratometry reading)값은 Group 1이 $42.84{\pm}1.17D$에서 착용 후 1주일에 $41.48{\pm}0.98D$로 감소하였으며 3개월까지 감소하다가 6개월에는 증가하였다. Group 2는 $42.91{\pm}1.57D$에서 착용 후 1주일에 $41.78{\pm}1.58D$로, 3개월까지는 감소하다가 6개월에 증가하였다. Group 3은 $42.64{\pm}1.64D$에서 $40.77{\pm}1.20D$로 착용 후 1주일에는 감소하였고 1개월 후에 다시 증가하였다가 3개월에 감소하여 6개월까지 감소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역기하렌즈의 착용 후 1주일부터 근시교정효과가 있었으며 근시정도에 따라 그 효과 발생 시기는 차이가 있었으나 모든 그룹에서 근시교정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올바른 RGP렌즈의 처방과 관리용품의 사용에 대한 결과 연구 (Studies on Corrected RGP Lens Fitting and Use of Care System)

  • 성정섭;홍수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9-64
    • /
    • 2000
  • 각막골률계로 측정한 결과 각막난시가 최소한 0.75D 이상인 58명을 선정하여 RGP 구면렌즈를 3개월간 착용시켜 조사했는데 이 중 35명은 각막난시가 1.50D 이상이었다. 환자의 방문 스케줄은 대상자를 시력검사, 각막 굴절력(K값) 및 세극등 현미경 검사로 적합한 렌즈를 피팅한 다음, 1주일, 그 후 1개월 간격으로 방문하게 하여 검사하였는데 방문할 때마다 렌즈를 착용한 시력검사, overrefraction, overkeratometry 및 세극등 검사를 하고 렌즈의 움직임, 렌즈의 위치와 렌즈의 표면상태 등을 기록했다. 대상자 전원을 착용기간에 세극등으로 CCC(central corneal clouding) 분류한 결과 각막부종과 신생혈관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각막에 플루오레션 stain 반응을 한 결과 52명이 grade 0.5 상태를 보였고, 5명이 grade 1 및 1명이 grade 2로 판정되었다. Overrefraction에서 렌즈를 착용하기전과 착용후의 잔류난시는 처음 피팅할 때는 41%, 1주일 후는 34%, 1개월 후는 30%, 2개월 후는 29%로 나타난 결과로 보아 1개월 이후는 변화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절대 굴절력에서 평균 overrefraction은 처음 피팅했을 때는 0.26D이었고, 1주일 후는 0.22D, 1개월 후는 0.17D 및 2개월 후는 0.16D를 보였다. 또한 관리용액은 다목적 용액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고 각 용도에 맞는 용품에 비해 그 기능이 저하됨을 알았다.

  • PDF

정시안의 연령별 각막전면곡률 변화와 분포에 관한 연구 (Study on Distribution and Change of Curvature of the Anterior Corneal Surface with each Age in Emmetropia)

  • 김찬수;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1-221
    • /
    • 2004
  • 이 논문의 목적은 정시안에 있어서 연령별 각막전면곡률반경의 변화와 분포를 파악하는데 있다. 나안시력이 0.6-1.0 이상을 보이고, 굴절이상도가 등가구면 굴절력 ${\pm}0.75$ Diopter 이하면 3-83세 사이 504명의 정시안을 대상으로 Keratometer를 아용하여 연령에 따른 각막전면곡률반경의 분포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각 개인별 분포 변화를 분석한 결과, 첫째, 연령에 따라 선형상관관계식 Y = 0.003x + 7.796(r = -0.26)이 얻어졌고, 평균나이 38.3세에 평균 곡률반경은 $7.68{\pm}0.25mm$이었으며, 전체 대상의 분포 범위는 최소 6.98 mm에서 최대 8.54 mm의 결과를 보였다. 둘째, 각막전면곡률반경의 빈도는 7.61 - 7.80 mm가 36%, 7.41 - 8.00 mm가 78%, 7.21 - 8.20 mm가 96%로 나타났다. 셋째, 남 여 성별에 따른 비교에서 남자 (n = 304, 평균 37.6세, $7.72{\pm}0.24mm$, 범위 7.09 - 8.54 mm)는 여자 (n = 200, 평균 39.3세, $7.62{\pm}0.24mm$, 범위: 6.98 - 8.41 mm) 보다 평균 0.1mm 만큼 크게 나타났다. 또한, 그룹별 평균값의 변화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연령에 따른 관계식은 $Y=-0.0066x^2+0.0227x+7.7282$, 선형 상판계수는 r = -0.90로 나타나 개인별 분석에서의 r = -0.26 보다 큰 수치를 보였다. 둘째, 수직곡률반경과 수평곡률반경은 연령에 따라 모두 감소하였으며, 특히, 수직보다는 수평 곡률반경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p < 0.01). 셋째, 강주경선과 약주경선의 차이는 저연령군 0.18 mm에서 고연령군 0.08 mm로 나타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차이가 좁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넷째, 남 여의 비교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8개 군 모두에서 크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1). 결론적으로 같은 연령내에서도 개인별 차이가 크지만 연령그룹별 평균값의 변화는 연령 증가에 따라 강주경선, 약주경선 및 그 평균값, 수직곡률, 수평곡률 그리고 남자, 여자 모두에게서 각막전면곡률반경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수직곡률보다 수평곡률의 감소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음을 발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