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lvin-probe method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2초

표면처리에 의한 유기발광소자(OLED)용 Ag 전극의 Nano-size 효과 연구 (Nano-size Study of Surface-modified Ag Anode for OLEDs)

  • 김주영;김수인;이규영;김형근;전재혁;정윤종;김무찬;이종림;이창우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16
    • /
    • 2012
  • Top-Emitting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에서는 반사율이 가장 높은 Ag (silver) 박막이 쓰이고 있지만, 소자에서 요구되는 일함수(work function)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전극과 유기물간에 에너지 장벽이 발생하여 발광효율을 낮추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g 전극의 일함수를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박막 형태의 Ag 전극에 대하여 nanotribology 접근법으로 연구를 실행하였다. Ag는 rf magnetron sputter를 이용해 glass 위에 증착한 후 furnace에서 $300^{\circ}C$, 30분간 대기 중에서 열처리하였고, 또 다른 시료는 표면에 산소 상압플라즈마로 처리 시간(30, 60, 90, 120s)을 각기 다르게 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Ag 전극을 nanoindentation을 통해 국부 영역에 대한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Kelvin probe force microscopy을 이용해 시료 표면의 포텐셜을 측정했다. 그 결과 열처리한 시료의 포텐셜값은 가장 크게 증가하였지만 균일도가 낮아졌다. 120s 플라즈마 처리한 시료는 불완전한 산화막의 생성으로 인해 탄성계수 및 경도값과 박막의 Weibull modulus를 극히 낮게 만들었지만, 60s, 90s 플라즈마 처리는 시료의 균일도를 높이고 또한 포텐셜을 증가시켜 T-OLED 성능 개선에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아연의 대기부식에 미치는 주기적 침적/건조 효과 (Effect of wet/dry transition on the atmospheric corrosion of Zn)

  • Kim, Ki-Tae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3-3
    • /
    • 1998
  • The atmospheric corrosIOn properties of Zinc (Zn) under wet/dry transition of $H_20$ film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atmospheric corrosion of metal is usually occurred as a result of repetitious thickness transition (so called wet/dry transition) of liquid phase which is covering the metal surface. Corrosion potential and the polarization behaviour of Zn during liquid film thickness transition were measured by Kelvin probe method which IS using vibrating reference electrode without touching the liquid film. The oxidized states of Zn as a result of successive wet/dry transition were also investigated by X-ray diffraction (XRD)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The results show that the corrosion potential and the corrosIOn rate of Zn both are increasing during drying. However, the corrOSIon rate is decreasing again when the Zn surface is completely dried while the corrosion potential still remains high. This behaviour can be explained by the polarization behaviour change of Zn according to the $H_20$ film thickness change. The completely dried surface is consisted mostly with Zn and ZnO phases. After a number of cycles of wet/dry transition, however, the oxidized Zn phase of ${\varepsilon}-Zn(OH)_2$, which has rather voluminous and defected structure, were found.

  • PDF

CuPe/Au 소자의 기판 온도 변화에 따른 표면전위 특성 (Surface Potential Properties of CuPc/Au Device with Different Substrate Temperature)

  • 이호식;박용필;김영표;천민우;유성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758-760
    • /
    • 2007
  • 최근에 유기물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연구는 전자 소자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CuPc 물질을 기본으로 하여 소자를 제작하고, 또한 기판의 온도를 달리 하여 CuPc/Au 구조 소자의 표면 전위 특성을 측정하였다. 기판은 slide glass를 사용하였고, CuPc 박막파 Au 전극은 진공 증착법을 이용하였다. 측정 온도의 범위는 0 - $100^{\circ}C$이었으며, 모든 측정은 진공 상태에서 측정이 이루어 졌다. 상온에서의 표면 전위 값은 약 600mV의 값을 보이고 있으며, 기판의 온도가 $100^{\circ}C$일 때 표면 전위 값은 약 500mV의 값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전위 값의 변화는 기판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CuPc 벌크 박막의 특성이 변화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AFM 측정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