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cal

검색결과 2,507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 아동의 에너지 소비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ergy Expenditure in Korean Children)

  • 오승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31-538
    • /
    • 1993
  • 본 연구는 8-12세의 남녀 국민학생 각각 8명씩을 대상으로 4주간 평상시와 같은 생활양식과 식생활 환경하에서 에너지 섭취량(GE)과 체내 에너지 보류량 (BE)의 변동을 측정하므로서(에너지 평형법)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였다. 에너지 섭취량과 대변으로의 에너지 손실량(FE)은 열량계로 측정하였고 소변으로의 에너지 손실량(UE)은 질소 배설량으로부터 환산하였다. 체내 지방조직량(FM)은 피부두께를 측정하여 산출한 신체 밀도법에 의하였다. 총 에너지 섭취량에 대한 당질, 단백질 및 지방질의 구성비는 남자 아동이 각각 70.0$\pm$0.5%, 10.2$\pm$0.3% 및 19.9$\pm$0.5%이었으며 여자 아동이 각각 74.0$\pm$1.7%, 10.7$\pm$0.3%및 15.3$\pm$0. 5%이었다. 총 에너지 섭취량에 대한 대변으로의 에너지 손실율은 남자 및 여자 아동별로 각각 5.1%및 4. 5%이었다. 대변과 소변으로의 에너지 손실량을 감하여 산출한 1일 1인당 평균 대사에너지량(ME)은 남자 및 여자 아동별 각각 1862$\pm$15kca1 및 1627$\pm$20kca1 이었다. 28일 동안의 체성분 변동량으로부터 산출한 체내 총 에너지 변동량(BE)은 남자 및 여자 아동별로 각각 평균 +1524$\pm$539kcal 및 +3622$\pm$718kcal가 증가하였다. 1일 1인당 평균 에너지 소비량은 남자 아동이 1812$\pm$37kca1이고 여자 아동이 1487$\pm$25kcal로서 체중 kg당 에너지 소비량은 남자 및 여자 아동별로 각각 62 $\pm$2kcal 및 52 $\pm$2kcal이었다.

  • PDF

명일엽 가공산물의 대사 에너지 함량 평가 (The Evaluation of Metabolizable Energy of Angelica Keiskei (Angelica utilis Makino) Products)

  • 김은미;최진호;최금부;여익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1호
    • /
    • pp.5-11
    • /
    • 2010
  • 본 연구는 명일엽과 그 가공산물의 대사에너지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명일엽 전초, 명일엽 녹즙, 녹즙박, 발효녹즙 및 녹즙 + 녹즙박 5가지 식품을 기초식이에 30% 첨가하여 실험식이를 제조하였다. 기초식이는 AIN93M을 사용하였다. 실험용 쥐는 실험군당 6마리를 사용하였고, 3일간 실험식이에 적응시킨후 4일간 식이섭취량을 측정하고 분과 뇨를 모두 수거하였다. 수거한 분과 뇨는 bomb calorimeter로 gross energy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명일엽 가공산물의 대사에너지 함량은 명일엽 1,286.8 kcal/kg, 명일엽 녹즙 1,642.6 kcal/kg, 발효녹즙 2,044.8 kcal/kg, 녹즙박 1,687.5 kacl/kg, 명일엽 녹즙 + 녹즙박 1,763.0 kcal/kg이었다. 수분을 함유한 원물은 각각 193, 82, 102, 270 및 216 kcal/kg이었다. 이를 여러 에너지환산계수를 이용한 에너지가와 비교한 결과 20~60% 차이를 보였다. 특히 원물에서 명일엽은 식품성분표에서는 340 kcal/kg의 열량가를 갖는 것으로 발표되었지만, 동물을 이용한 대사에너지 측정치는 193 kcal/kg으로 76% 낮게 나타났다. 이는 섬유소 함량이 높은 명일엽과 가공 산물들은 실험동물을 이용한 방법이 energy conversion factor로 계산한 수치보다 정확한 대사에너지 함량을 구하기에 더 적합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사료의 에너지 및 단백질 수준이 육계의 생산성 및 복강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Energy and Protein Levels on the Performance and Abdominal Fat Pad of Broiler Chicks)

  • 이상진;양기원;김삼수;나재천;서옥석;정선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3-92
    • /
    • 1993
  • 본 시험은 사료의 에너지 및 단백질수준이 육계의 생산성 및 복강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대사에너지 3수준(2,800, 3,000 및 3,200kcal/kg)과 단백질 3수준(16, 18 및 20%)을 조합한 9개 처리를 두었으며, 처리당 암수 각 39수씩 총 702수를 공시하여 1990년 7월 10일부터 9월 4일까지 8주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증체양은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P<0.05), 대사에너지 2,800kcal/kg과 3,000kcal/kg 또는 3,000kcal/kg과 3,200kcal/kg 수준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단백질수준간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사료섭취량은 대사에너지 및 단백질수준이 증가할 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3. 사료요구율은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현저히 개선되어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P<0.01), 단백질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나(P<0.05), 단백질 18%와 20% 수준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4. 도체율은 대사에너지 및 단백질수준간에 일정한 경향이나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5. 복강지방 축적률은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현저히 증가하는 경상을 보였으나(P<0.01), 대사에너지 2,800㎉/kg과 3,000kcal/kg 또는 3,000kcal/kg과 3,200kcal/kg 수준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단백질 15% 18% 수준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단백질 20%수준에서는 현저히 감소하여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P<0.01). 6. kg증체당 사료비는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단백질 16% 및 20% 수준에 비해 18%수준에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대사에너지 및 단백질 수준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사양표준(飼養標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eeding Standard of Korean Native Goat)

  • 권순기;이봉덕;이수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260-271
    • /
    • 1985
  •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사육방법(飼育方法)은 아직 산야지(山野地)에 계목(繫牧)을 시키는 등 관습적(慣習的)인 방법(方法)으로 사육(飼育)되고 있는 실정(實情)이어서 각 영양소(營養素)의 요구량(要求量)을 구명(究明)하여 좀 더 체계적(體系的)이고 과학적(科學的)인 사육방법(飼育方法)이 필요(必要)하다. 이에 유지(維持) 및 증체(增體)에 필요(必要)한 energy와 단백질(蛋白質)의 양(量)을 측정(測定)하여 사양표준작성(飼養標準作成)의 기초자료(基礎資料)로 사용(更用)하고자 하였으며, 그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래산양(在來山羊)의 일당(日當) 증체량(曾體量)$\bar{X}{\pm}SE$은 숫산양이 $80{\pm}13.9g$으로 암산양의 $41{\pm}8.9g$보다 현저히 높았다. 그리고 비육초기(肥肉初期)에는 조사료(粗飼料)만을 급여(給與)하고 후기(後期)에 농후사료(濃厚飼料)를 급여(給與)하는 것이 일당(日當) 증체량(曾體量)이 높았다. 2. Orchardgrass 건초(乾草)와 농후사료(濃厚飼料)를 무제한(無制限) 급여(給與)할 때 체중(體重)에 대한 섭취비율(攝取比率)은 각각 0.60~0.75%와 1.80~2.80%였고, 바랭이 생초(生草)만을 급여(給與)할 때는 10.50~14.50%, orchardgrass 건초(乾草)만을 급여(給與)할때 는 1.98~3.16%를 섭취(攝取)하였다. 3. 재래산양(在來山羊)의 유지(維持)에 요구(要求)되는 1일(日) 대사(代謝) energy는 체중(體重) 30kg, 21kg, 12kg일 때 각각 794.3kcal, 636.3kcal, $462.6kcal(Wkg{^{\circ}75}$당(當) 61.57kcal, 64.95kcal, 72.31kcal)로서 유령기(幼齡期)보다 성장(成長)함에 따라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그리고 절식시(絶食時)의 기초대사(基礎代謝)energy의 측정결과(測定結果)는 각각 492.3kcal, 453.9kcal, $389.9kcal(Wkg{^{\circ}75}$ 당(當) 44.4kcal, 50.4kcal, 61.1kcal)였다. 4. 유지(維持)에 요구(要求)되는 1일(日) 질소량(窒素量)은 체중(體重) 30kg, 21kg, 12kg일 때 각각 7.07g, 4.67g, 3.04g(가소화조단백질(可消化粗蛋白質) $Wkg{^{\circ}75}$당(當)2.71g, 2.35g, 2.09g)이었다. 5. 건초(乾草)와 농후사료(濃厚飼料)를 무제한(無制限) 급여(給與)할 때 energy의 가소화율(可消化率)은 65.8~74.6%였고 대사(代謝) energy의 비율(比率)은 50.7~62.9%였으며, $Wkg{^{\circ}75}$당(當) energy는 $DE=180.1{\pm}24.36kcal$, $ME=141.6{\pm}22.77kcal$ 였다. 6. Energy의 1일(日) 축적량(蓄積量) $(\bar{X}{\pm}SE)$$138.1{\pm}18.9kcal$였으며, 질소(窒素)의 축정율(蓄積率)은 13.3~22.5%였다.

  • PDF

산란계와 비산란계의 에너지대사 비교 시험 (Comparison of Energy Metabolisms between Laying and Non- laying Hen)

  • 이영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1-40
    • /
    • 1986
  • 정상적인 산란계와 란소 기능을 정지시킨 비산란계의 에너지 대사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절식시 열생산량(FHP)은 산란계 109.7Kcal/kg$^{0.75}$ , 비산란계 87.4 Kcal/kg$^{0.75}$ 이며 전자의 FHP가 약 25.5% 높았다. 2. 유지를 위한 ME요구량(MEm)에 있어서 산란계 149Kcal/kg$^{0.75}$ 에 대하여 비산란계는 135Kcal/kg$^{0.75}$ 이며 산란계가 10% 높았다. 이는 유지시라 하드라도 란생산을 계속하는 이상체내에서의 산란을 위해 대사작용이 계속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3. 생산을 위한 ME의 정미이용효율(NAME)은 산란계 77%, 비산란계 83%이었다. 이 경우 체에너지 축적이 마이너스였던 산란계의 NAME은 주로 란생산을 위한 ME 이용효율이며 또 산란이 중지된 비산란계의 NAME은 증체를 위한 이용효율에 해당된다고 생각된다. 4. 산란계와 비산란계에 있어서 각각 체중과 체에너지 축적의 회귀식으로 구한 체중 1g 증감할때의 에너지치는 산란계 3.54Kcal, 비산란계5.04Kcal 가 된다. 즉, 산란계는 비산란계에 비하여 약 70%의 에너지가를 나타내어 이들은 체에너지가 란생산을 위해 이용되는 경우의 이용효율을 나타내는 것이라 생각된다. 5. 혈청중 T$_3$ 및 T$_4$ 측정결과 T$_4$농도는 유의차가 없는데 비하여 T$_3$ 농도는 산란계가 비산란계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6. 간추출액중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 ATP citrate lyase, fructose diphosphate aldolase, isocitrate dehydrogenase 및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활성을 측정한 결과 간추출액 1mg 1분간당 분해기질을 기준으로 할 때 측정한 4개 효소활성은 산란계가 비산란계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나 간 1당 1분간 분해 기질을 기준으로 할 때 ICD와 APT citrate lyase만이 산란계의 활성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 PDF

한국인 성인남자의 리보플라빈 대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abolism of Riboflavin in Korean Men)

  • 황금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94-603
    • /
    • 1994
  • This study investigate the balance and biochemical status of riboflavin in Korean men.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four riboflavin diets with different levels of riboflavin(0.4, 0.6,0.8 and 1.0mg/1000kcal) were followed by eight healthy college men. the riboflavin status was assayed by erythrocyte glutathine reudcctase activity coefficient (EGRAC0 and urinary excretion of riboflavin. Riboflavin intake of the subjects who consumed a det was 0.46mg/1000kcal. the riboflavin intakes of the subjects who consumed the experimental diet with 0.4, 0.6, 0.8 and 1,0mg/1000kcal of riboflavin were 0.41, 0.60, 0.81 , 0.97mg, respectively. Fecal riboflavin loss, absorbed riboflavin , urinary riboflavin loss and retained riboflavin increased in the subjects consumed 0.4, 0.6, 0.8 and 1.0mg/1000kcal of riboflavin. The average EGRAC values for the subjects consumed 0.4, 0.6, 0.8 and 1.0mg/1000kcal of riboflavin were 1.303$\pm$0.029, 1.271$\pm$0.022, 1.239$\pm$0.013, 1.202$\pm$0.030, respectively and urinary riboflavin values ($\mu\textrm{g}$/g creatinine) were 86.89$\pm$ 20.07, 123.88$\pm$ 15.88, 240.70$\pm$57.14 and 393.36$\pm$76.94, respectively. Results indicate that 0.6mg/1000kcal is the level of riboflavin intake needed to maintain urinary riboflavin within the normal range. And above1.0mg/1000kcal of riboflavin is need to maintain urinary riboflavin with in the normal range. And above 1.0mg/1000 of riboflavin is needed to maintain the EGRAC within the normal range. The riboflavin intake correlated positively with urinary riboflavin value, but correlated negatively with the EGRAC value. The EGRAC value correlated negatively to protein intake as well as animal protein intake. The linear equation of between riboflavin intake and EGRAc was EGRA=-0.1667 $\times$riboflavin intake +1.3710. The riboflavin intake to maintain EGRAc below 1.20 was calculated 1.02mg/1000kcal by the above equation.

  • PDF

Binding Pattern Elucidation of NNK and NNAL Cigarette Smoke Carcinogens with NER Pathway Enzymes: an Onco-Informatics Study

  • Jamal, Qazi Mohammad Sajid;Dhasmana, Anupam;Lohani, Mohtashim;Firdaus, Sumbul;Ansari, Md Yousuf;Sahoo, Ganesh Chandra;Haque, Shafiu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3호
    • /
    • pp.5311-5317
    • /
    • 2015
  • Cigarette smoke derivatives like NNK (4-(Methylnitrosamino)-1-(3-pyridyl)-1-butanone) and NNAL (4-(methylnitrosamino)-1-(3-pyridyl)-1-butan-1-ol) are well-known carcinogens. We analyzed the interaction of enzymes involved in the NER (nucleotide excision repair) pathway with ligands (NNK and NNAL). Binding was characterized for the enzymes sharing equivalent or better interaction as compared to +Ve control. The highest obtained docking energy between NNK and enzymes RAD23A, CCNH, CDK7, and CETN2 were -7.13 kcal/mol, -7.27 kcal/mol, -8.05 kcal/mol and -7.58 kcal/mol respectively. Similarly the highest obtained docking energy between NNAL and enzymes RAD23A, CCNH, CDK7, and CETN2 were -7.46 kcal/mol, -7.94 kcal/mol, -7.83 kcal/mol and -7.67 kcal/mol respectively.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NNK and NNAL on enzymes involved in the NER pathway apply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 and protein-complex (i.e. enzymes docked with NNK/NNAL) interac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carcinogens are well capable to reduce the normal functioning of genes like RAD23A (HR23A), CCNH, CDK7 and CETN2. In silico analysis indicated loss of functions of these genes and their corresponding enzymes, which possibly might be a cause for alteration of DNA repair pathways leading to damage buildup and finally contributing to cancer formation.

T시 생활폐기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소각재 용출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nicipal Solid Waste Generated from T City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of the Incineration Ash)

  • 박준석
    • 유기물자원화
    • /
    • 제18권2호
    • /
    • pp.84-92
    • /
    • 2010
  • 본 연구는 강원도 T시를 중심으로 생활폐기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생활폐기물의 적정관리 방안 및 처리방법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하고자 실시되었다. 조사결과 T 시의 겉보기밀도는 평균 $231kg/m^3$이었으며, 가연성분과 비가연성분은 각각 94.0%와 6.0%이었다. 가연성분 중 음식물류폐기물(32.3%)과 종이류(41.2%)는 최근의 타 지역에 비하여 여전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철저한 분리배출이 필요하였다. 삼성분 중수분, 가연분, 회분의 함량은 각각 41.3%, 50.5%, 그리고 8.2%이었으며, 원소조성 중 탄소, 수소, 산소, 질소, 황, 염소의 함량은 각각 51.4%, 6.3%, 26.7%, 1.1%, 0.2%, 0.5%를 나타내었다. 습윤저위발열량은 2,704 kcal/kg으로 춘천시의 2,764 kcal/kg와 유사하였으나 과거 구로구, 고양시의 1,467~1,584 kcal/kg 보다는 1,000 kcal/kg 이상 높았다. 또한 조제된 소각재의 용출시험 실시결과 모두 지정폐기물 판정 기준치를 크게 하회하여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아동의 운동에너지 소비량과 신체적 특성과의 연관성 (Total Energy Expenditure and Its Relationship with Physical Characteristics in Korean Children)

  • 조강옥;최혜정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1권6호
    • /
    • pp.515-522
    • /
    • 2012
  • 본 연구는 제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어린이 1,37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운동에너지 소비량에 따른 신체적 특성을 분석하고 운동에너지 소비량과 신체적 특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기준은 미국스포츠의학회의 어린이를 위한 운동에너지 권고 기준인 1,000~2,000 kcal/week을 실천수준을 기준으로 1,000kcal/week 미만인 그룹과 2,000kcal/week 이상의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남아와 여아의 평균 운동에너지 소비량은 2,088.4kcal/week와 1,695.6kcal/week이었다 (p<.001). 1,000kcal/week 미만을 소비하는 아동에 비해 1,000~2,000kcal/week을 소비한 남아는 신장 (p<.001), 체중(p<.05), 허리둘레 (p<.05), 혈압 (p<.001)에 유의성을 보였고, 여아는 신장 (p<.05), 혈압 (p<.01), 안정시 심박수 (p<.01)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2,000kcal/week 이상의 운동에너지 소비에 참여한 남아는 신장, 체중, 허리둘레, BMI, 혈압에 유의한 차이 (p<.001)를 그리고 여아는 신장 (p<.001), 허리둘레 (p<.001), BMI (p<.05), 혈압 (p<.001)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운동에너지 소비량과 신체적 특성과의 연관성 분석에서는 남아는 신장 (r=.298, p<.001)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그리고 체중 (r=-.331, p<.001), 허리둘레 (r=-.236, p<.001), BMI (r=-.252, p<.001), 수축기 혈압 (r=-.239, p<.001), 이완기 혈압 (r=-.250, p<.001), 안정시 심박수 (r=-.226, <.001)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여아는 운동에너지 소비량과 신장 (r=.236, p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그리고 수축기 혈압 (r=-.310, p<.001)과 이완기 혈압 (r=-.180, p=.016)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남아는 운동에너지 소비량과 모든 신체적 특성과 긍정적인 상관성을 보인 반면, 남아에 비해 운동에너지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여아는 신장과 혈압에서 긍정적인 상관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