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njang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16초

숙성기간에 따른 황기 간장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s containing Astragalus membranaceus by aging period)

  • 박신영;임지민;최윤희;최혜선;김재현;김은주;지수정;장연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36-64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 간장을 개발하고자 황기 첨가량에 따른 간장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식염변화에서는 황기 10% 첨가 간장에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H 변화는 실험군 모두 숙성기간에 따른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황기 10% 첨가 간장를 제외하고 모두 2개월까지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그 이후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그 반면 황기 10% 첨가 간장는 숙성 초기에 증가되었지만 무첨가 및 황기 5% 첨가 간장 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갈색도 변화는 숙성이 진행될수록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무첨가 및 황기 5% 첨가 간장은 숙성 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황기 10% 첨가구는 숙성 기간에 따른 차이를 보지 않았다. 유리 아미노산 측정결과 황기 5% 첨가 간장의 6개월 때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는 황기 5% 첨가 간장의 숙성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기호도가 점차 향상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보아 황기 5% 첨가 간장이 황기 무첨가 간장에 비해 염도가 낮고 아미노태질소가 높으며 기호도는 6개월 때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풍미가 좋은 간장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3단 발효에 의한 메주 제조방법 (Preparation Method of meju by Three Step Fermentation)

  • 김익조;이정옥;박미화;손동화;하영래;류충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36-53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증자 콩에 증식하여 부패취를 유발하는 오염균인 야생고초균의 생육을 억제하고 정상발효를 유도하기위해 젖산, 과산화수소 등과 항균성 물질인 bacteriocin을 생성하는 유산균으로 1단 발효를 실시한 후 장류용 황국균을 접종하여 2단 발효 후 다시 고초균으로 3단 발효시켜 황국균과 고초균의 protease, peptidase를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서 단백질 분해율이 높아 아미노산 생성량이 많은 기호성 높은 고품질의 메주를 제조하였다. 3단 발효법으로 제조된 메주의 수분함량과 pH를 측정한 결과 각각 54.0 %와 pH 7.0였고 제조된 메주를 30일간 20% 염수로 용출하여 총 유리 아미노산함량을 비교한 결과 3단 발효법으로 제조된 메주구가 대조구에 비해 약 $3{\sim}5$배 높게 나타났다. 특히 장류의 맛을 좌우하는 감칠 맛 성분인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매우 높아 메주를 원료로 제조하는 장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리아미노산이 용출되는 시간이 대조구보다 짧아 장류 제조시 발효기간을 1/3정도로 단축시킬 수 있다.

간장 저장중 암모니아와 pH가 Aflatoxin $B_1$의 파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monia and pH on the Degradation of Aflatoxin $B_1$ during the Storage of Korean Soy Sauce(Kanjang))

  • 박건영;이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5-122
    • /
    • 1989
  • 간장저장중 암모니아와 pH가 Aflatoxin $B_1(AFB_1)$의 파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0.05{\sim}0.5%$의 암모니아 용액에서 $AFB_1$$30^{\circ}C$의 저장 하루만에 완전히 파괴되었으나 이때 이 용액들은 pH가 10-11정도로 증가 되었다. $NH_3$의 농도에 따라 간장의 pH는 증가 하였지만 간장내의 완충능 때문에 다소 완만하였다. 이때 양조간장은 재래간장에서 보다 그 pH증가 정도가 더 크게 일어났다. 간장시료들과 대조군의 증류수와 20% NaCl용액의 pH를 10으로 증가 시켰을 때 $AFB_1$$30^{\circ}C$에서 1일 반응 후 완전히 파괴되었다. pH 5, 7, 9, 10, 11의 완충용액에서 $AFB_1$의 파괴 효과는 pH 5와 7에서는 안정하였지만 pH 9 이상에서는 첨가한 $AFB_1$을 검출할 수 없었다. 여러농도의 $NH_3(0.2-1.0%)$를 함유한 pH 7의 완충용액 에서 $AFB_1$$NH_3$의 농도와는 관계없이 저장기간중 안정하였으나 pH 9에서는 파괴(100%)되었다. pH 5의 간장을 $30^{\circ}C$에서 5일간 반응시켰을 때 $AFB_1$은 상당히 안정하였지만 pH 7의 간장 시료에서는 60-70%의 $AFB_1$의 파괴가 일어났으며 이때 간장의 pH는 전혀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AFB_1$은 pH 7의 완충용액과 0.2% $NH_3$를 함유한 완충용액에서는 5일의 저장기간중 안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