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ngwon Land

검색결과 479건 처리시간 0.025초

컨벤션호텔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강원랜드 컨벤션호텔을 사례로-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Convention Hotel : The Case of KangwonLand Convention Hotel)

  • 한진영;지계웅;인성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97-1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점차로 치열해지는 MICE 환경에서 강원랜드 컨벤션호텔을 사례로 신규로 시장에 진입하는 컨벤션호텔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에 있어서는 2013년 9월 15일-2013년 10월 15일까지 MICE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MICE 수용태세 분석결과, 강원랜드 컨벤션호텔이 '쇼핑시설', '인력 확보', '접근성' 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시급히 강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차별화방안으로 시설의 차별화, 컨벤션/이벤트 개최 시 저렴한 비용으로 나타났고, 마케팅방안으로는 인센티브 여행(incentive tour)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으며, 컨벤션호텔이 MICE 행사 유치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국내 외 이벤트 유치 또는 개발, 중소규모 행사유치로 틈새시장 침투, 재방문 유도, 저렴한 Room rate나 교통비를 통한 참가자의 비용절감 등을 고려해보아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MICE 시장진입을 통한 컨벤션호텔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전략을 도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토지이용별 MUSLE 유출인자의 계수 및 지수 적용을 통한 토양유실 발생 및 거동 분석 (Occurrence and Behavior Analysis of Soil Erosion by Applying Coefficient and Exponent of MUSLE Runoff Factor Depending on Land Use)

  • 이서로;이관재;양동석;최유진;임경재;장원석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spc호
    • /
    • pp.98-106
    • /
    • 2019
  •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 내 MUSLE(Modifi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유출인자의 계수 및 지수는 각각 11.8과 0.56으로 토지이용별 토양유실 산정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문제점이 있다.이는 결과적으로 토양유실량을 과대 또는 과소 평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우심지역 선별과 저감 대책에 따른 효율 평가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토지이용별 MUSLE 유출인자에 대한 계수 및 지수 산정과 이에 대한 SWAT 모형 내 적용성 평가가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국내 유역을 대상으로 토양유실 발생 및 거동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별 유출인자의 계수 및 지수 산정과 이에 대한 SWAT 모형 내 적용성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아천 유역을 대상으로 토지이용별 유출인자의 계수 및 지수를 산정하고, SWAT 모형 내 적용에 따른 토양유실 및 유사유출 발생량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토지이용별 유출인자의 계수 및 지수는 국내 고랭지 유역에서의 토양유실 발생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토지이용별 유출인자의 계수 및 지수 적용에 따라 유역에서의 토양유실 및 유사유출 발생량 값은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내 유역을 대상으로 기존에 미국에서 개발된 MUSLE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별 유출인자의 계수 및 지수에 대한 충분한 수정·보완 과정이 중요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 내 토양유실 우심지역 선별과 토양유실 저감 대책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Coastal Afforestation Effect on Soil Physiochemical Properties at Sitakunda Coast of Chittagong, Bangladesh

  • Mamun, Abdullah-Al;Kabir, Md. Humayain;Kader, Mohammed Abdul;Hossain, Mohammed Kama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1호
    • /
    • pp.25-34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at Sitakunda coastal afforestation range, comprised of four beats- Bansbaria, Bakkhali, Baterkhil and Bogachattar, in Chittagong. Afforestation effects o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comparison to adjacent barren land were analysed. In the study area, an area of 3277.33 ha was planted with Sonneratia apetala, Avecinnia officinalis, Excoecaria agallocha, Bruguiera sexangula, Ceriops decandra from 1968 to 2011. We found positive soil physicochemical changes in plantations in comparison to adjacent barren land. Soil bulk density of plantation was lower than the adjacent barren land. Soil pH and soil salin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arren land whereas soil organic matter, organic carbon,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of plantations were higher in afforested land. Soil texture ranged from clay loam to sandy loam in different depth of these two types of land. However,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re is clear evidence that afforestation has positive impacts on all soil properties in different location and soil depths in the study area.

녹화(綠化)와 인간(人間)( II ) -화산성(火山性) 황폐지(荒廢地)의 녹화(綠化)- (Revegetation and human( II ) -Revegetation of volcanic denuded land-)

  • 츠지오 에자키;토루 이와모토;예선영;전근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88-103
    • /
    • 2001
  • 화산성(火山性) 황폐지(荒廢地)를 녹화(綠化)할 때에 우선 황폐지(荒廢地)의 특징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점에서 우선 화산성(火山性) 황폐지(荒廢地)의 커다란 특징인 강회현상(降灰現象)과 이에 동반하는 표면류(表面流)의 발생과 이 황산가스의 문제를 규명하였다. 이어서 화산성(火山性) 황폐지(荒廢地) 녹화(綠化)에 이용되고 있는 곰솔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데에는 황폐지(荒廢地)의 특징을 인위적(人爲的)인 방법으로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래밭버섯 등의 공생미생물(共生微生物)과 독자적으로 개발한 피복자재(被覆資材)를 병용(倂用)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을 3년간에 걸친 기초적인 모델실험에 의해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을 병용(倂用)한 구체적인 녹화사례(綠化事例)로서 장기현(長崎縣)의 운선보현악(雲仙普賢岳)와 녹아도현(鹿兒島縣)의 앵도(櫻島)를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공생미생물(共生微生物)과 피복자재(被覆資材)의 병용(倂用)은 화산성(火山性) 황폐지(荒廢地) 녹화(線化)에 대단히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성과는 세계 각지의 화산성(火山性) 황폐지(荒廢地) 녹화(綠化)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apidEye 위성영상과 Semantic Segmentation 기반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의 정확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of Land-Use Land-Cover Classification Using Semantic Segmentation-Based Deep Learning Model and RapidEye Imagery)

  • 심우담;임종수;이정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69-282
    • /
    • 2023
  • 본 연구는 딥러닝 모델(deep learning model)을 활용하여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하였으며 입력 이미지의 크기, Stride 적용 등 데이터세트(dataset)의 조절을 통해 토지피복분류를 위한 최적의 딥러닝 모델 선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적용한 딥러닝 모델은 3종류로 Encoder-Decoder 구조를 가진 U-net과 DeeplabV3+, 두 가지 모델을 결합한 앙상블(Ensemble) 모델을 활용하였다. 데이터세트는 RapidEye 위성영상을 입력영상으로, 라벨(label) 이미지는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토지이용의 6가지 범주에 따라 구축한 Raster 이미지를 참값으로 활용하였다. 딥러닝 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데이터세트의 질적 향상 문제에 대해 주목하였으며 딥러닝 모델(U-net, DeeplabV3+, Ensemble), 입력 이미지 크기(64 × 64 pixel, 256 × 256 pixel), Stride 적용(50%, 100%) 조합을 통해 12가지 토지피복도를 구축하였다. 라벨 이미지와 딥러닝 모델 기반의 토지피복도의 정합성 평가결과, U-net과 DeeplabV3+ 모델의 전체 정확도는 각각 최대 약 87.9%와 89.8%, kappa 계수는 모두 약 72% 이상으로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64 × 64 pixel 크기의 데이터세트를 활용한 U-net 모델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딥러닝 모델에 앙상블 및 Stride를 적용한 결과, 최대 약 3% 정확도가 상승하였으며 Semantic Segmentation 기반 딥러닝 모델의 단점인 경계간의 불일치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자운천 유역 내 환경특성과 탁류발생의 관계성에 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urbidity Generation in Jaun Watershed)

  • 함광준;배선학;김준현;박성빈;김성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15권4호
    • /
    • pp.259-27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the land use status in watersheds and stream turbidity. Major water quality components (flow rate, turbidity, SS, BOD, TN, TP, etc.) of two streams (Jaun and Naerin) and the land use status for each correspondent watershed have been analyzed through the field sampling and the geographical overlaying of land use and watershed map. The detailed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urbidity has been increased rapidly from 1.9 to 13.0 NTU for Jaun Stream, 0.4 to 0.7 NTU for Naerin Stream, due to the increased flow rate during the period of June. The agricultural area of the Jaun watershed was $13.5km^2$ (10.1% of the overall watershed), comparing to $2.0km^2$(1.4%) of upper watershed of Naerin stream. The forest was widely distributed along the 30m buffering zone from the center of Naerin stream, which comprised 64.14% of the whole watershed area. But in case of the Jaun, the ratio of forest was 17.84%, while the ratio of farming field was 30.33%.

4-pass DInSAR 기법을 이용한 서남극 Canisteo 반도 주변 빙하와 해빙의 표면 변위 해석 (Analysis of Surface Displacement of Glaciers and Sea Ice Around Canisteo Peninsula, West Antarctica, by Using 4-pass DInSAR Technique)

  • 한향선;이훈열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35-54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서남극 Canisteo 반도와 그 주변 지역이 촬영된 2쌍의 ERS-1/2 tandem pair에 4-pass DInSAR 기법을 적용하여 표면 변위도를 생성하였고, 빙하와 해빙의 표면 변위를 해석하였다. 표면 변위도에서 빙하는 매우 빠른 움직임을 나타냈으며 인접해 있는 정착빙을 밀어내어 정착빙 표면에서는 빙하와 같은 방향의 변위가 관찰되었다. Cosgrove 빙붕도 큰 변위를 나타냈으며, 인접해 있는 정착빙을 밀어내는 것이 관찰되었다. 일부 해빙은 정착빙과 반대 방향의 움직임을 보였다. 이는 해빙이 해류에 영향을 받는 유빙이기 때문이며, 이로부터 정착빙과 유빙의 경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빙붕과 빙상의 표면은 SAR영상에서 유사한 밝기를 보이며, 간섭도에서도 비슷한 정도의 간섭띠 변화율을 나타내 두 빙체를 쉽게 구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움직임이 큰 빙붕과 변위가 거의 없이 안정적인 빙상의 경계를 절대위상복원 후 생성한 변위도를 통해서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강원도 평창지역의 보호지역 확대를 위한 공간의사결정 지원방안 (Efficient Establishment of Protected Areas in Pyoungchang County, Kangwon Province to Support Spatial Decision Making)

  • 모용원;이동근;김호걸;백경혜;남상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1-180
    • /
    • 2013
  • As the second-largest 1st degree of ecological zone in Kangwon Province, Pyeongchang County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the protected areas of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Pyoungchang County is expected to experience an increase in demand for development due to the 2018 Winter Olympics. Problems related to various stakeholders and limited budget will arise regarding the issue of expanding the protected areas. In this study, in order to effectively control these problems, we designed expansion plans for the 1st degree ecological zoning map areas and the observed data of threatened species I and II in Pyoungchang County by using the MARXAN Software. As for the methods, we first set the planning units(PUs) for the spatial analysis. The PUs include boundary length, land cost, land status, etc. Then, we made the input data by controlling the conservation features, BLM(Boundary Length Modifier) and iteration numbers. There are two measure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rotected areas, one of which only concerns with the ecological priority, and the other with combining the land cost on forest. The one illustrated shows that the larger patches that include the conservation feature was selected as a candidate of the protected areas. The other one presented shows that inexpensive land cost areas were selected. As this study produces visual results and enables an efficient application of various values in selecting protected areas, we believe that it will be useful to various stakeholders in spatial decision-making process.

소형루프 전자탐사법에 의한 간척지 지반조사 (Site Investigation of a Reclaimed Saline Land by the Small Loop EM Method)

  • 김기주;안동국;조인기;김봉찬;경규하;홍재호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3권2호
    • /
    • pp.175-180
    • /
    • 2010
  • 소형루프 전자탐사법은 기동성이 뛰어나고 편리한 물리탐사법의 하나로 지하 천부의 전기비저항 분포에 관한 정보획득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이 방법은 전기전도도가 너무 높아 전기비저항 탐사가 용이하지 않은 지역에서 전기비저항 탐사의 적극적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염분에 의해 심하게 오염된 간척지의 지반조사를 위하여 다중 주파수 소형루프 전자탐사를 적용하였다. 획득된 소형루프 전자탐사 자료에 대하여 측점별로 1차원 역산을 수행하고, 이들 자료를 병합하여 전기비저항의 3차원적 분포현황을 파악하였다. 전자탐사에서 얻어진 전기비저항 분포와 16개 시추공에서 얻어진 주상도 및 토양시료의 전기비저항 값을 비교 분석하여 매립토 두께, 염도분포 등 조사지역의 지반특성을 제공하였다.

Nutrient variations from swine manure to agricultural land

  • Won, Seunggun;You, Byung-Gu;Shim, Soomin;Ahmed, Naveed;Choi, Yoon-Seok;Ra, Changsix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5호
    • /
    • pp.763-772
    • /
    • 2018
  • Objective: Swine manure in Korea is separated into solid and liquid phases which are composted separately and then applied on land. The nutrient accumulation in soil has been a big issue in Korea but the basic investigation about nutrient input on arable land has not been achieved in detail. Within the nutrient production from livestock at the national level, most values are calculated by multiplication of the number of animals with the excreta unit per animal. However, the actual amount of nutrients from swine manure may be totally different with the nutrients applied to soil since livestock breeding systems are not the same with each country.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15 farms producing solid compost and 14 farms producing liquid compost. Composting for solid phase used the Turning+Aeration (TA) or Turning (T) only methods, while liquid phase aeration composting was achieved by continuous (CA), intermittent (IA), or no aeration (NA). Three scenarios were constructed for investigating solid compost: i) farm investigation, ii) reference study, and iii) theoretical P changes (${\Delta}P=0$), whereas an experiment for water evaporation was conducted for analyzing liquid compost. Results: In farm investigation, weight loss rates of 62% and 63% were obtained for TA and T, respectively, while evaporation rates for liquid compost were 8.75, 7.27, and $5.14L/m^2{\cdot}d$ for CA, IA, and NA, respectively. Farm investigation provided with the combined nutrient load (solid+liquid) of VS, N, and P of 117.6, 7.2, and $2.7kg/head{\cdot}yr$. Nutrient load calculated from farm investigation is about two times higher than the calculated with reference documents. Conclusion: The nutrient loading coefficients from one swine (solid+liquid) were (volatile solids, 0.79; nitrogen, 0.53; phosphorus, 0.71) with nutrient loss of 21%, 47%, and 29%, respectively. The nutrient count from livestock manure using the excretion unit has probably been overestimated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nutrient lo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