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empferia galanga L.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5초

In Vitro Propagation of Zingiberaceae Species with Medicinal Properties

  • Keng, Chan Lai;Hing, Thong We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3호
    • /
    • pp.181-188
    • /
    • 2004
  • Zingiber officinale buds from the rhizomes were used to produce in vitro shoots. These explants produced the largest number of multiple shoots, 9.8 shoots per explant, when were cultured on MS (Murashige and Skoog 1962) medium supplemented with 2.0 mg/L benzyladenine (BA) and 2.0 mg/L indole butyric acid (IBA). This medium was also found to be suitable for in vitro propagation of other Zingiberaceae species: Alpinia conchigera, Alpinia galanga, Curcuma domestica, C. zedoaria and Kaempferia galanga. Both C. domestica and C. zedoaria produced more multiple shoots when were cultured in the liquid proliferation medium, MS medium containing 2.0 mg/L BA and 2.0 mg/L IBA. To maintain the in vitro plantlets of Zingiberaceae species, they were required to subculture every four weeks. After executing proper acclimatization protocol, in vitro plantlets of Alpinia galanga, A. conchigera, Curcuma domestica, C. zedoaria, Kaempferia galanga and Zingiber officinale could be successfully planted in the field with high percentage of survival.

Hexane Extract of Kaempferia galanga L. Suppresses Melanogenesis via p38, JNK and Akt

  • In, Myung-Hee;Jeon, Byoung Kook;Mun, Yeun-Ja;Woo, Won-Hong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7-53
    • /
    • 2016
  • Kaempferia galanga L. is one of the plants in Zingiberaceae family. It is used by people in many regions of Asia and Africa for relieving toothache, abdominal pain, muscular swelling and rheumatism. Tyrosinase is a key enzyme for melanogenesis, and hyperpigmentation is associated with abnomal accumulation of melanin pigmen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hibition of melanogenesis by hexane extract of Kaempferia galanga L. (HKG) in B16F10 melanoma cells. Cell-free tyrosinase, melanin contents,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and western blot analysis were performed to elucidate the effects on anti-melanogenesis. Cytotoxicity of the extracts was measured using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determined the concentration of 12.5, 25 μg/ml. HKG significantly inhibited to activities of intracellular tyrosinase and melanin synthesis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with dose-dependent manner. And HKG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 2 (TRP-2),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α-MSH. HKG also down-regulated phosphorylation of p38 and JNK, and up-regulated phosphorylation of Akt. These effects were not related to its cytotoxicity 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KG has the potential to be a useful therapeutic agent for treating hyperpigmentation disorders and as a beneficial additive in whitening agents in cosmetics industry.

약용식물 추출물이 냉면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inal Plants Extract on Naengmyeon Broth)

  • 김명숙;최윤희;홍선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8-333
    • /
    • 2003
  • 산내, 화초, 정향, 소회향의 약용식물을 추출하여 냉면육수에 0.1%와 0.3%의 농도로 첨가했을 때 저장기간 동안 냉면육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육수의 pH는 이들 약용식물 처리군 중 산내 첨가군이 가장 효과적으로 무첨가군이 pH 4.60일 때, 0.1%와 0.3% 첨가시 각각 pH 4.92, pH 5.08이었다. 적정산도는 저장기간 48시간 이후부터는 산도가 현저히 낮아짐을 볼 수 있었는데, 산내의 측정치가 저장기간 90시간에 무첨가군이 0.89%일 때 0.1%첨가와 0.3% 첨가시 각각 산도 0.66과 0.55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화초, 정향, 소회향 순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탁도는 처음에는 약용식물 첨가군이 0.1% 첨가시 7.5∼7.9, 0.3% 첨가시 7.9∼8.2였고, 무첨가군이 7.1이었다. 90시간 경과 후에는 무첨가군인 10.8, 약용식물 첨가군은 0.1%와 0.3% 첨가군이 각각 8.8∼9.5, 8.7∼9.0으로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균수 및 대장균수는 저장기간 72시간째에 무첨가군에서 급격히 균이 증가하였고, 산내가 가장 효과적인 억제를 보였는데, 즉 총균수는 72시간째에 무첨가군이 4.8${\times}$10 CFU/ml 일 때, 0.1% 첨가시 1.7${\times}$10 CFU/ml, 0.3% 첨가시 0.9${\times}$10 CFU/ml 이었다. 대장균수는 72시간째에서는 무첨가군이 6.0 ${\times}$ 10 CFU/ml 일때, 0.1% 첨가시 3.2${\times}$10 CFU/ml, 0.3% 첨가시 1.7${\times}$10CFU/ml 이었고, 저장기간 90시간째에는 무첨가군이 6.0 ${\times}$ 10 CFU/ml 일 때 0.1% 첨가시 3.1${\times}$10 CFU/ml, 0.3% 첨가시 1.7${\times}$10 CFU/ml 로 측정되었고, 산내에 이어 화초, 정향, 소회향 순으로 효과를 나타내었다. 휘발성 염기질소량은 가장 낮은 측정치를 보인 산내의 경우 처음에 무첨가군이 2.67mg%일 때, 0.1%와 0.3% 첨가시 각각 2.58mg%, 2.47mg%이었고, 90시간 후에는 무첨가군이 3.96mg% 일 때, 0.1%와 0.3% 첨가시 각각 3.64mg%, 3.33mg%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냉면육수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산내, 화초, 정향, 소회향의 4가지 약용식물을 첨가하여 저장기간 중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산내추출물을 첨가했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저장기간 3일 이후에 항균효과가 뚜렷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삼내자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Hot Water Extracts from Kaempferia Galanga L)

  • 진정원비너스;이지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18-22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삼내자(Kaempferia Galanga)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세포독성, 항염 효능을 조사하여 화장품 성분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 평가를 위해 DPPH, ABTS 라디컬 소거능 활성, FRAP 환원력, 총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대상으로 MTT assay를 수행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항염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NO), $TNF-{\alpha}$ 분비 및 iNOS, $TNF-{\alpha}$ mRNA 발현 수준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였다. FRAP 값은 5 mg/mL에서 24.5 uM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폴리페놀 함량은 $1.28{\pm}0.064mg\;GAE/g$로 나타났다. KG 추출물 농도 0.625~2.5 mg/mL에서 세포독성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RAW264.7 세포에서 LPS 유도에 의한 NO, $TNF-{\alpha}$ 분비 그리고 iNOS, $TNF-{\alpha}$의 mRNA 발현이 KG 추출물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삼내자 열수추출물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화장품 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