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chi-1 well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초

PALYNOLOGICAL ASSEMBLAGES FROM LATE CRETACEOUS TO TERTIARY DEPOSITS OF KACHI-I WELL, BLOCK II, YELLOW SEA BASIN, KOREA

  • YI Sangheon
    • 한국석유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석유지질학회 1997년도 제4차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11
    • /
    • 1997
  • Thirty one samples from Late Cretaceous and Tertiary interval sections (468-783m) of the Kachi-I Well in Block II, Yellow Sea Basin, have been analysed for their terrestrially derived palynofloras. The systematic study of the palynomorphs recovered has yielded one hundred and fifty-five taxa; forty-three species of spores belonging to twenty-eight genera, seventy-seven pollen assignable to forty-three genera, and twenty-seven species assignable to fifteen genera and eight fungal remains. The results of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propose a succession of eight terrestrial palynomorph associations. Seven associations are erected in Late Maastrichtian and one in Early to Middle Miocene. Age determinations are on the basis of palynomorph taxa alone for the all associations. The Late Cretaceous/Tertiary unconformity is recognised at between 603 and 613m, based on the palynological data. The sedimentary basin during the Late Cretaceous seem to be lowland shallow marginal lacustrine with stagnant, mesotrophic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the basin during the Early-Middle Miocene is considered to have been characterised by lowland swamp areas. The palaeoclimatic conditions during the Late Cretaceous are considered to be humid tropical to subtropical, while during the Early to Middle Miocene they are considered to be warm temperate with humid conditions. A comparison of palynomorph assemblages between the present study and the previous studies of Late Cretaceous in Circum-Pacific Northern Hemisphere is made, These assemblages reveal that lower sections (612-783m) of the Kachi-I well belong to the Late Cretaceous Aquilapollenites province of Herngreen and Chlonova (1981) and Srivastava (1981, 1994).

  • PDF

한국 서해 대륙붕 군산분지 까치-1공의 층서 (Stratigraphy of the Kachi-1 Well, Kunsan Basin, Offshore Western Korea)

  • 유인창;김태훈
    • 자원환경지질
    • /
    • 제40권4호
    • /
    • pp.473-490
    • /
    • 2007
  • 서해 대륙붕 군산분지 까치-1공의 퇴적층을 통합층서적 접근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까치-1공 내에서 (1)트라이아스기 돌로마이트 기반암층, (2) 후기 쥬라기 말-전기 백악기 초 퇴적층, (3) 전기 백악기 퇴적층, (4) 후기 백악기 퇴적층 및 (5) 중기 마이오세 이후 퇴적층 등 5개의 단위층들이 인지되었다. 각 단위층은 부정합에 의해 경계되는 구조층서 단위층으로 군산분지의 형성, 퇴적 및 변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후기 쥬라기 말에 들어와 탄루탄층대를 따라 이차 및 삼차 순위의 주향이동 단층들이 분지되면서 소규모 열개 분지들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전기 백악기 이후 팔레오세 말까지 지속된 분지단층들의 좌수향 이동에 의해 군산분지는 대규모의 인장력을 받게 되어 소규모 열개 분지들은 대규모의 인리형 분지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팔레오세 말에 시작된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연성충돌에 의한 1차 히말라야 조산운동의 영향으로 탄루단층이 우수향으로 이동을 시작하면서 군산분지는 서서히 변형을 받기 시작하였다. 이후 에오세 중기에 일어났던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강성충돌에 의한 2차 히말라야 조산운동에 의해 탄루단층의 우수향 이동이 본격화되면서 군산분지는 극심한 구조역전의 현상이 일어났다. 따라서 에오세 말과 올리고세 동안 군산분지에서는 심한 구조역전에 의한 분지변형이 일어났다. 올리고세 이후 현재까지, 군산분지는 간헐적인 해침과 함께 광역적인 침강을 유지하면서 안정된 대륙 연변부 침강분지로 전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