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ALAMANDER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17초

Cannibalism in the Korean Salamander (Hynobius leechii: Hynobiidae, Caudata, Amphibia) Larvae

  • Park, Shi-Ryong;Jeong, Ji-Young;Park, Dae-Si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9권1호
    • /
    • pp.13-18
    • /
    • 2005
  • Cannibalism plays important roles at the levels of both individual and population. To enhance overall rate of successful survival and reproduction, salamander larvae may have evolved to consume both conspecifics and heterospecifics. Consuming conspecifics could result in decreased inclusive fitness possibly by killing relatives. In several salamander species, discrimination of salamander larval siblings from non-siblings and heterospecifics to avoid such a risk has been reported. To determine whether the Korean salamander larvae consume non-siblings more often than siblings and to analyze prey preferences of the salamander larvae in several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s, a series of foraging experiments was conducted in the laboratory. We found that 1) large cannibal larvae preyed on small sibling more often than small non-sibling in a mixed group of sibling and non-sibling, 2) cannibal larvae prefered to consume live, weak, and small larvae to dead, healthy, and large larvae, and 3) cannibal larvae consumed heterospecific tadpoles more often than conspecific nonsibling larvae in a mixed group. In addition, the larval dens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occurrence of spacing behavior, one of the agonistic predator behaviors among salamander larvae.

Endogenous retinoic acid mediates the early events in salamander limb regeneration

  • Lee, Eugene;Ju, Bong-Gun;Kim, Won-Su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6호
    • /
    • pp.462-468
    • /
    • 2012
  • Urodeles including newt and salamander have remarkable regenerative capacity during the postembryonic life span. Some of the unique features are the formation of the well-developed wound epidermis and the active dedifferentiation process in the early phase of regeneration. These are regarded as key events for the successful regeneration since no further regenerative activity is possible without the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retinoic acid (RA) in salamander limb regeneration by blocking RA synthesis using disulfiram, an inhibitor of aldehyde dehydrogenase that oxidizes retinal to RA. Disulfiram treatment resulted in delaying the limb regeneration processes via inhibition of wound epidermis formation and dedifferentiation process. When RA was administered after disulfiram treatment, the inhibitory effect of disulfiram was rescued. In addition, disulfiram treatment after the dedifferentiation stage resulted in the mild retardation of limb regeneration, suggesting that RA might also be involved in the blastema outgrowth. Furthermore, salamander MMP-9 gene expression was also inhibited by disulfiram treatment. Collectively, our findings indicate that endogenous RA may play an important role(s) in the early phase of limb regeneration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molecules responsible for the modification of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environment during salamander limb regeneration.

한국산 도롱뇽의 포식압 유, 무에 따른 성장률의 변화 (The Different Growth Rate by Predation Risk in Larval Salamander, Hynobius leechii)

  • 황지희;정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66-672
    • /
    • 2011
  • 본 연구는 포식압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성장률에 대하여 한국산 도롱뇽 유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인왕산에서 채집해온 도롱뇽의 알(난괴)을 포식압 유, 무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포식자 cue로는 버들치의 체취를 이용하였고, 포식압이 존재하는 그룹은 하루 세 번 포식자의 cue에 노출되도록 하였다. 포식자 cue 처리는 알 채집일 다음 날부터 부화 후 1주일까지 하였고, 이후 각 유생의 snout-vent length를 버니어 캘리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부화 후 1주일부터 2주일 사이의 기간 동안 각 그룹의 유생에게 충분한 양의 실지렁이를 먹이로 제공하였고, 남은 먹이는 제거하였다. 부화 후 2주일이 되는 날 각 유생의 snout-vent length를 다시 한 번 측정 한 후, 각 개체의 성장률을 계산하여 데이터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포식자 cue처리를 한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낮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사망률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적인 카니발리즘경험에 의한 한국산 도롱뇽 유생의 표현형의 변화 (Phenotypic Difference by the Indirect Cannibalism in Larvae of the Salamander, Hynobius leechii)

  • 김은지;황지희;정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42-347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산 도롱뇽 유생(Hynobius leechii)을 대상으로 간접적인 카니발리즘 경험이 표현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2011년 3월부터 4월까지 수행되었다. 우리는 유생의 생활사 초반에 개체 주변에서 발생하는 동종의 카니발리즘(간접적인 카니발리즘 경험)을 통하여 나타날 수 있는 폴리페니즘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폴리페니즘의 발생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간접적인 카니발리즘을 경험하는 그룹과 그렇지 아니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두 그룹의 도롱뇽 유생의 머리 중 가장 넓은 곳의 길이(LHW), 눈이 있는 부분의 길이(HWE), 코끝부터 항문(SVL)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또한 HWE를 LHW로 나누어 비율을 구한 후 통계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유생의 생활사초반에 간접적인 카니발리즘에 노출될 경우 그렇지 못한 그룹보다 머리크기의 비율(HWE/LHW)이 의미 있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도롱뇽유생은 주변의 다른 개체들로부터 전달되는 화학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rotein Synthesis Pattern Analysis in the Regenerating Salamander Limb

  • Ju, Bong-Gun;Kim, Won-Su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4권2호
    • /
    • pp.145-150
    • /
    • 2000
  • Retinoic acid (RA) evokes pattern duplication in the regenerating salamander limb. Interestingly, it also enhances dedifferentiation in the regenerate by the morphological, histological and biochemical criteria.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ny correlation between the RA-evoked pattern duplication and de novo protein synthetic profile in the regenerating salamander limb, especially during dedifferentiation, we analyzed stage-specific protein synthesis pattern in the normal and RA-treated regenerating limbs by metabolic labeling followed by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In the regenerating limbs without RA treatment, a few hundred kinds of proteins were found to be synthesized at the stage of wound healing and the total number of protein synthesized increased greatly as regeneration proceeded. The same trend was also observed in the RA-treated regenerating limbs. Interestingly, some protein spots were noted to be either newly synthesized or highly expressed by the RA treatment especially at the stage of dedifferentiation. The results shows that the enhancement of dedifferentiation state after the RA treatment correlates well with the protein synthesis profile, and suggest that those proteins are important for the RA-evoked pattern duplication in the regenerating limbs of salamander.

  • PDF

한국산 도롱뇽의 포식압과 서식지에 따른 polyphenism (The different Polyphenism by the Level of Predation Risk and Habitat in Larval Salamander, Hynobius ieechii)

  • 황지희;정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44-750
    • /
    • 2010
  • 본 연구는 서식지와 포식압에 따라 머리 크기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polyphenism에 대하여 한국산 도롱뇽 유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인왕산과 수락산, 경기도 광주에서 채집해 온 도롱뇽의 알(난괴)을 서식지 특성과 포식압에 따라 4가지 그룹으로 나누었다. 서식지는 계곡 형과 웅덩이 형 두 그룹으로 나누었고, 포식압은 높음과 포식압 없음,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포식압 수준은 하루에 포식자의 cue에 노출된 빈도로 나누었으며 높은 수준은 하루 세 번으로 하였다. 포식 cue는 버들치의 냄새를 추출하여 사용하였고, 알 채집일 다음날부터 부화 후 일주일까지 cue에 노출시켰다. Chemical cue 노출 처리가 끝나는 부화 후 일주일이 되는 날, 각 도롱뇽 유생의 머리 중 가장 넓은 부분과 눈이 있는 부분의 길이, 그리고 snout-vent length를 측정하였다. 눈이 있는 부분의 길이는 머리 중 가장 넓은 부분으로 나눈 수치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를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롱뇽 유생의 머리 크기 비율은 포식압의 수준이 높음에 따라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또한 계곡형 서식지에 사는 도롱뇽 유생의 머리는 버들치의 cue에 반응하여 포식압이 높을 때 머리 크기 비율이 의미 있게 증가하지만, 웅덩이형 서식지에 사는 도롱뇽 유생은 무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snout-vent length의 길이는 서식지와 상관없이 높은 포식압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고리도롱뇽(Hynobius yangi) 큰수컷이 작은 수컷보다 짝짓기 경쟁에서 우세한가? (Are Large Gori Salamander (Hynobius yangi) Males Dominant in Mating Competition than Small Males?)

  • 박희원;김자경;이헌주;구교성;박대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65-872
    • /
    • 2015
  • 신체크기는 다양한 동물그룹에서 짝짓기의 성공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산 유미양서류의 짝짓기 경쟁에 있어 수컷도롱뇽들의 신체크기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는 연구가 잘 수행되어 있지 않다. 우리는 한국 고유종으로 짝짓기 행동이 알려져 있지 않은 고리도롱뇽(Hynobius yangi)을 이용하여, 큰 고리도롱뇽 수컷이 작은 수컷에 비하여 짝짓기 경쟁에서 우세한지 여부를 연구하였다. 큰 수컷, 작은 수컷, 암컷 각 한 마리를 그룹으로 수행된 짝짓기 행동을 암컷에 대한 구애행동, 수컷간 경쟁행동, 알의 수정행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큰 수컷과 작은 수컷 사이의 구애, 경쟁, 수정행동 어느 것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아마도 고리도롱뇽 수컷들 간 크기 변이 정도가 작으며, 암컷이 알을 산란할 장소가 서식처 내에 풍부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고리도롱뇽의 짝짓기 행동에 관한 첫 번째 보고이다.

도룡뇽 (Hynobius leechi) 피부선의 미세구조: II. 과립선 (Ultrastructure of the Cutaneous Gland in the Asiatic Land Salamander, Hynobius Leechi II. Granular Gland)

  • 김한화;노용태;정영화;지영득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9-228
    • /
    • 1980
  • 도룡뇽 (Hynobius leechi Boulenger)의 피부과립선의 미세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도룡뇽의 피부과립선은 선체부와 분비관으로 구성되며, 선체부는 선상피세포와 근상피세포, 분비관은 각질세포들로 구성되었다. 2. 피부과립선의 선상피세포는 세포질의 전자밀도가 높은 암세포와 세포질의 전자밀도가 낮은 명세포가 관찰되었다. 3. 피부과립선의 분비과립은 구형 또는 나형이었고, 높은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 중등도의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 그리고 낮은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들로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낮은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중에는 과립막 인접부에 부분적으로 높은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들이 관찰되었다. 4. 피부과립선내 분비과립들이 같은 세포내에서 전자밀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분비과립의 성숙단계 및 성숙된 과립의 수분흡수 정도에 따른 농도차이에 기인하며, 그 화학적 조성은 유사하다고 생각한다.

  • PDF

Ovulated female salamander (Hynobius leechii) respond to water currents

  • Kim, Seok-Bum;Lee, Jung-Hyun;Ra, Nam-Yong;Park, Dae-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3호
    • /
    • pp.217-222
    • /
    • 2010
  •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emale Korean salamander, Hynobius leechii, responds to water currents and, if so, whether those responses depend on their reproductive conditions, we evaluated the responses of ovulated and oviposited females to 1-Hz water currents generated by a model salamander with and without the placement of a transparent water current blocker between the model and the test females. The ovulated females responded to water currents by turning their heads toward, approaching, and/or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model. When the water current blocker was in place, the number of salamanders that approached the model was reduced significantly. The approaching and touching responses of ovulated females were greater than those of oviposited females, whereas the other measurements evidenced no differences. None of the responses of the oviposited females to water currents was affected by the presence of the blocker. Our results indicate that female H. leechii responds to water currents via a mechanosensory system.

Lysosomal acid phosphatase mediates dedifferentiation in the regenerating salamander limb

  • Ju, Bong-Gun;Kim, Won-Su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4권2호
    • /
    • pp.73-81
    • /
    • 2010
  • In this study,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lysosomal acid phosphatase (LAP) of a salamander, Hynobius leechii, were used to determine the spatial and temporal expression of the LAP in the regenerating limbs. The Western blot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in the limb regeneration revealed that LAP was highly expressed at the dedifferentiation stage, especially in the wound epidermis and dedifferentiating limb tissues such as muscle and cartilage. With RA treatment, the LAP expression became upregulated in terms of both level and duration in the wound epidermis, blastemal cell and dedifferentiating limb tissues. In addition, in situ activity staining of LAP showed a similar result to that of immunohistochemistry. Thus, the activity profile of LAP activity coincides well with the expression profile of LAP during the dedifferentiation period. Furthermore, to examine the effects of lysosomal enzymes including LAP on salamander limb regeneration, lysosome extract was microinjected into limb regenerates. Interestingly, when the lysosome extract was microinjected into limb regenerates with a low dose of RA($50\;{\mu}g/g$ body wt.), skeletal pattern duplication occurred frequently in the proximodistal and transverse axes. Therefore, lysosomal enzymes might cause the regenerative environment and RA plays dual roles in the modification of positional value as well as evocation of extensive dedifferentiation for pattern duplicatio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dedifferentiation is a crucial event in the process of limb regeneration and RA-evoked pattern duplication, and lysosomal enzymes may play important role(s) in this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