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PENINSULAR

검색결과 360건 처리시간 0.022초

남북한 신재생에너지기술 협력방안 (Cooperation of New & Renewable Energy Technolog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김상현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8-173
    • /
    • 2004
  • From the present geographical environment of Korean peninsular the Republic of Korea is worser than the an island country of Japan In the point of Northeastern Asia energy network. Therefore the energy cooperation with South and North Korea is direct connect to the Northeast Asian Energy Network. It is most important that North Korea promotes the economics by themselves through the solving of their energy Problem with South Korea. Therefore, at the moment it is necessary to support North Korea with the cooperation of energy technologies that could be useful to set up the Northeast Asia Energy Network and which is important to form the energy system of Korean peninsular. In this paper to importance of cooperation for energy technology and the present of economics and energy demand/supply in North Korea and energy technology of North Korea & the comparison energy technology level of the both countries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described.

  • PDF

말레이시아 반도(半島) 지역 전통주거건축의 일반적 형식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y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Houses in Malay Peninsular)

  • 권태호;박순관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25-3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traditional housing-culture in South East Asia, focused on the traditional Malay houses. The research objectives are : 1) to obtain informations related to the traditional Malay houses in West Malaysia. 2) to survey the traditional Malay houses in the selected area. 3)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It is expected that the traditional Malay houses were a major focal point of traditional Malay village society. The Malay houses provided the basic needs of shelter to the villagers. They were designed and built by villagers themselves, thus, manifestation of the creative and aesthetic skills of the community. Further, these houses reflect those factors including climate, geographical features, history of the region.

  • PDF

1등 수준망에 기준한 한반도 연안의 해면경사 (The Sea Level Slopes along the Korean Peninsular Coast based on the First Order Levelling Net in Korea)

  • 이창경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5-41
    • /
    • 1993
  • 평균해면은 육지표고의 기준면으로, 지역적인 평균해면차는 측지수준망 설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측지학자와 해양학자들은 동서방향의 평균해면차에 대해서는 견해를 같이 하면서도, 남북방향의 평균해면차에 대해서는 서로 상반되는 견해를 보여왔을 뿐만 아니라, 그 불일치의 원인이 서로 상대방의 수준측량방법에 내재된 정오차에 있다고 주장해 왔다. 해면경사는 각 지역 검조소의 평균해면으로부터 구한 TBM의 높이와 측지수준망에 의해 정해진 그 점의 높이의 차로부터 산정된다. 인천항의 평균해면을 기준으로 하여, 주요 항만에 위치한 검조소의 평균해면과 우리나라 1등 수준망으로부터 연장한 표고차로부터 우리나라 연안의 해면경사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 연안은 남북방향으로 위도당 5.5cm 북향상승하는 해면경사를 보였고, 동일 위도상에서 동해안이 황해안보다 약 5cm 정도 높은 해면고를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는 잠정적인 것으로, 앞으로 해양 및 기상의 영향이 소거된 엄밀한 의미의 평균해면이 산정된다면, 보다 확실한 해면경사를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반도지역 LANDSAT 위성영상의 기하보정 데이터 구축 (Establishment of Geometric Correction Data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s over the Korean Peninsular)

  • 윤근원;박정호;채기주;박종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8-106
    • /
    • 2003
  • 위성영상의 장점인 고해상도, 다분광, 주기성, 광범위 촬영 등에 의해 위성영상은 초창기의 군사, 환경 분야의 적용을 뛰어넘어 현재는 많은 활용 분야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위성영상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영상처리를 하여야 하며, 특히 기하보정 영상처리는 모든 활용분야에 있어 꼭 필수적인 단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하보정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LANDSAT 위성영상을 중심으로 크게 세 가지 작업을 수행하여 기하보정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첫번째는 한반도 지역에 대하여 기하보정에 필요한 지상기준점을 선정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두번째는 구축된 지상기준점을 이용하여 연도별로 구분된 LANDSAT 위성영상에 대하여 기하보정을 수행하였고, 마지막으로는 기하보정된 영상을 한반도 지역을 대상으로 모자이크 하였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576개의 지상기준점, 165장의 기하보정된 영상과 7장의 한반도 모자이크 영상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한반도의 기하보정 데이터는 많은 분야에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 PDF

CORONA 영상을 이용한 한반도 지역 모자이크 영상 제작 (Creating Mosaic Image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CORONA Imagery)

  • 송영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67-73
    • /
    • 2005
  • 우리나라는 1960년대부터 급속한 도시화가 이루어졌으나, 현재까지 활용되어온 위성영상들은 1970년대 이후에 얻어진 영상들이기 때문에 과거 1960년대 한반도 지역의 지형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자료가 거의 없다. 최근에 일반인에게 공개된 CORONA 영상은 과거 1960년대의 한반도 지형정보를 고해상도 및 광역적 범위로 제공할 수 있는 영상으로써, 도시, 산림, 환경 등 여러 분야의 변화탐지 자료로 활용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1960년대의 CORONA 영상을 이용한 과거 한반도 지역 모자이크 영상의 제작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기하보정 방법으로 1차, 2차, 3차 다항식과 변형된 공선조건식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엄밀식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으나 지상 기준점 취득의 문제로 인해 20개의 기준점을 사용한 2차 다항식으로 기하보정을 수행한 후 한반도 모자이크 영상을 제작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1960년대 한반도 지역을 모두 포함하는 CORONA 모자이크 영상을 생성하였으며, 생성된 모자이크 영상은 도시계획이나 변화탐지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한반도 내 효과적인 도시지역작전 수행을 위한 연구 (A Research for conducting successful Urban Operation in Korean peninsular)

  • 백동환;윤영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3_1호
    • /
    • pp.53-62
    • /
    • 2015
  • 한반도는 국토의 75%가 산악지대로 되어있으며, 동고서저 북고남저의 지형 특성이 있는 전형적인 산악국가다. 산악 지형이라는 한반도의 지형적 특성은 변화하지 않지만 거주하는 사람들의 인위적인 변형으로 미래 한반도의 작전환경이 수시로 변화하고 있다. 한국지역은 지난 200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도시화가 진행되어 2010년에는 한국의 90% 이상이 도시화되고 있으며, 도시지역에는 전체 인구의 약 80% 이상이 살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은 수많은 인구와 복잡한 건축물들이 혼재되어 있어 도시지역에서 전투가 벌어질 경우 수많은 제한사항이 발생한다. 지휘관들은 작전계획 수립 시 다양한 상황에 대한 면밀한 정보분석을 통해 제한요인들을 극복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도시지역에서 전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투수행개념과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꾸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지역작전의 일반적인 특성과 한국 도시지역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고 한반도의 도시화 현상이 가속화됨에 따라 한국군이 어떻게 도시지역작전에 준비해야 하는 지에 대한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통계적 축소법을 이용한 한반도 인근해역의 미래 표층수온 추정 (Prediction of Future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the Korean Peninsular based on Statistical Downscaling)

  • 함희정;김상수;윤우석
    • 산업기술연구
    • /
    • 제31권B호
    • /
    • pp.107-112
    • /
    • 2011
  • Recently, climate change around the world due to global warming has became an important issue and damages by climate change have a bad effect on human life. Changes of Sea Surface Temperature(SST) is associated with natural disaster such as Typhoon and El Nino. So we predicted daily future SST using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 and CGCM 3.1 A1B scenario. 9 points of around Korea peninsular were selected to predict future SST and built up a regression model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CGCM 3.1 was simulated with regression model, and that comparing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Box-Plot, and statistical data to evaluate suitability of regression models, it was validated that regression models were built up properly.

  • PDF

韓 . 日 民家의 平面構造 比較硏究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ucture of plan in folk houses of Korea and Japan)

  • 장보웅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15
    • /
    • 1994
  • 한국과 일본은 대한해협과 현해탄을 사이에 두고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다. 그리 고 고대에 선박으로 한반도에서 일본 열도로 건너가는 문제는 일기만 청명하면 별로 어려운 문제가 아니었다고 생각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고대의 일본은 한반도와의 문화적 교류 와 주민의 이동이 많았고, 그것도 일방적으로 한반도에서 우리 민족이 일본으로 건너가서 우리의 수준 높은 문화를 직접 그들에게 전수시켰고, 일본으르 건너간 많은 주민들은 일본 의 상류층을 형성하였고 그리고 원주민을 지배하였다. 다시 말하면 일본은 고대에서 근세에 이르기까지 한반도에서 다방면의 많은 문화를 수용하였으뎌, 특히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건 너간 주민들은 한반도에서 거주하던 민가를 그대로 일본 열도에 재현하였다. 따라서 한.일 양국의 민가는 평면의 구조 면에서 차이점 보다는 유사점이 많게 되었다. 여기서 말하는 유 사점은 현시점에서의 관점이고, 과거로 거슬러 을라가면 갈수록 유사점은 공통점으로 전환 될 것이다. 일본은 19세기 말에 명치유신을 통해서 근대화를 시작하면서 그들의 민가도 부 분적으로 변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현재도 한국의 민가 증에서, 특히 겹집은 그 구조가 일 본 민가와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