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MPSAT-3 Image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초

아리랑 2호/3호 영상을 이용한 영상융합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mage fusion results by using KOMPSAT-2/3 images)

  • 오관영;정형섭;정남기;이광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7-13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사용되는 센서의 특성, 특히 밴드 간 분광 응답함수의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영상융합 기법의 성능 차이에 대한 상대적 비교 분석을 주된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CS 기반의 대표적 영상융합 기법인 GIHS, GS1, GSA, GSA-CA을 선정하였고, 거의 동일 시기/동일 지역을 촬영한 KOMPSAT-2/3 위성영상을 이용하였다. 또한, 융합 영상의 성능 평가는 정량적/정성적 방법을 혼용하여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KOMPSAT-2/3 영상 모두에서 GSA 기법과 GSA-CA 기법이 다른 기법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품질을 나타냈다. 이는 다른 위성영상 및 문헌을 통해 제시된 결과들과 일치하는 것으로, 선형 회귀식을 통해 전정색 영상과 intensity 영상 간 스펙트럴 불일치를 최소화한 기존 방법론의 효능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일한 실험 조건을 적용하였을 때, KOMPSAT-2와 KOMPSAT-3에서 나타내는 융합 성능은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이 같은 결과는 두 위성 센서 내 밴드별 분광응답함수가 서로 다른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KOMPSAT-2의 경우, blue 밴드와 green 밴드의 분광 응답비가 전정색 밴드를 초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영상 융합 과정에서 과도한 저주파 요소를 삽입하여, 최종적으로 제작된 융합 영상에서의 색상 왜곡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KOMPSAT-3에서는 KOMPSAT-2에서 발생되었던 상당부분의 관련 문제들을 보완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동일한 실험 조건에서도 상대적으로 향상된 융합 결과를 나타냈다.

KOMPSAT-3A 영상과 항공정사영상의 영상정합 성공률 향상 방법 (A Method to Improve Matching Success Rate between KOMPSAT-3A Imagery and Aerial Ortho-Images)

  • 신정일;윤완상;박형준;오관영;김태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6_1호
    • /
    • pp.893-903
    • /
    • 2018
  • 고해상도 위성영상 활용의 증가와 함께 자동 정밀 기하보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정밀기하보정을 위한 지상기준점(ground control point, GCP)을 수집하는 방법 중 하나로 항공정사영상과 같은 영상지도의 일부를 추출한 칩(chip) 영상을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고, 영상 정합 기법을 이용하여 자동화할 수 있다. 이 때 통합기준점과 같이 기존에 측량이 이루어진 지상기준점을 대상으로 칩 영상을 제작하는 경우 개수의 제한으로 영상 정합 성공률의 중요성이 증가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KOMPSAT-3A 영상과 항공정사영상 기반 지상 기준점 칩 영상 간 정합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KOMPSAT-3A 전정색(panchromatic, PAN) 영상, 다중분광(multispectral, MS) 영상, 융합(pansharpening, PS) 영상과 항공정사영상의 각 밴드 조합에 대해 영상 정합을 실시하고 성공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전정색 영상과 다중분광 영상을 이용할 때 약 10-30%의 영상 정합 성공률이 융합 영상을 이용할 때 약 40-50%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KOMPSAT-3A 위성영상과 항공정사영상의 정합에 있어 융합 영상을 사용하는 것이 정합 성공률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KOMPSAT-3와 Sentinel-1 SAR 영상을 적용한 토양 수분도와 NDWI 결과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NDWI and Soil Moisture Map Using Sentinel-1 SAR and KOMPSAT-3 Images)

  • 이지현;김광섭;이기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4호
    • /
    • pp.1935-1943
    • /
    • 2022
  • 위성 영상을 활용하여 대규모 또는 정밀 토양 수분도를 제작하는 방법의 개발과 이를 적용한 사례 연구는 원격탐사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이 연구는 제주도 연구 지역을 대상으로 토양 수분도를 제작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형으로 조정된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편광 영상과 입사각 정보를 이용하여 광학 영상과 함께 토양 수분도를 산출하였다. SAR 영상은 Google Earth Engine (GEE)에서 제공하는 후반 산란 계수 Analysis Ready Data (ARD) 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 (ESRI)의 토지 피복도(land cover map)와 KOMPSAT-3 고해상도 위성 영상의 지표 반사도로부터 산출한 식생 지수 정보(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를 토양 수분도 처리 과정에 적용하였다. 이처럼 SAR 영상과 광학영상 정보를 융합하여 처리하는 경우는 토양 수분 산출물의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출물의 과학적 분석을 위하여 KOMPSAT-3 영상으로 제작한 정규 수분 지수(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와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KOMPSAT-3 처리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Landsat-8 위성의 NDWI 처리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산출한 토양 수분도 결과는 KOMPSAT-3 영상과 Landsat-8 위성으로 각각 처리한 NDWI 처리 결과와 높은 상관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 사용한 토양 수분 산출 알고리즘을 우리나라 고해상도 위성인 KOMPSAT-5 영상에 맞게 추가 개발하면 다른 외부 영상 없이 KOMPSAT 광학 위성정보와 KOMPSAT SAR 영상정보를 이용한 정밀 토양 수분도 제작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STUDY ON THE GRID REFERENCE SYSTEM FOR KOMPSAT-3 IMAGERY

  • Kang, Chi-Ho;Ahn, Sang-Il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486-488
    • /
    • 2007
  • The Grid Reference System, which was firstly used in SPOT series, has been successfully adapted in KOMPSAT-1 and KOMPSAT-2 program, which identifies the geographical location to make image collection plans and manage the database of satellite images. Each Grid Reference System for KOMPSAT-1 and KOMPSAT-2 was designed based on system parameters related to each KOMPSAT-1 and KOMPSAT-2 and this fact leads to the need for the design of the Grid Reference System for KOMPSAT-3 (KGRS-3, hereafter), which reflects system parameters for KOMPSAT-3. The (K, J) coordinate system has been defined as the Grid Reference System for KOMPSAT-3 using heritages from KOMPSAT-1 and KOMPSAT-2 programs. The numbering of K begins with the prime meridian of K = 1 with running eastward on earth increasingly, and the numbering of J uses a value of J = 1000 at all points on the equator and begin with running northward increasingly. The Grid Reference System for KOMPSAT-3 is to be implemented in Ground Segment of KOMPSAT-3 system.

  • PDF

고부가 활용을 위한 이종영상 융합 소프트웨어(InFusion) 개발 (Development of Multi-sensor Image Fusion software(InFusion) for Value-added applications)

  • 최명진;정인협;고형균;장수민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5-21
    • /
    • 2017
  • 2012년 5월 다목적실용위성 KOMPSAT-3 발사 성공 이후, 2013년 8월 KOMPSAT-5, 2015년 3월 KOMPSAT-3A의 발사 성공으로 국내는 광학, 레이더, 열적외선 센서를 통합 운영할 수 있게 되었으며, 각 센서들의 특성을 융합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단일 센서가 가지고 있는 활용의 적용 범위나 산출물 정확도에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다중 센서들의 장점을 취하고 단점은 상호 보완하는 다종센서간 영상융합기술이 대두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 군을 활용한 영상 융합 및 고부가 산출물 생성을 위한 소프트웨어(InFusion) 개발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각 센서들의 특징 설명과 융합 소프트웨어 개발의 필요성에 대하여 기술하고, 개발 전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국내외 다목적실용위성 군의 자료 활용성을 증대시키고 고부가 제품생성을 통한 국내 소프트웨어의 우수성을 알리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KOMPSAT-2 영상의 정밀궤도기반모델을 이용한 3차원 위치결정 정확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of 3D Geopositioning of KOMPSAT-2 Images Using Orbit-Attitude Model)

  • 이상진;김정욱;최윤수;정승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10
    • /
    • 2010
  • 본 연구는 KOMPSAT-2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대하여 기존의 RFM방식이 아닌 궤도-자세각 모델을 이용하여 좌 우 스테레오 위성영상의 정밀센서모델링을 다양한 파라메터를 조합하는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궤도기반정밀센서 모델링을 수립한 결과를 토대로 수치사진측량시스템에 적용하여 지상기준점에 대한 오차 확인과 수치지도 시범 제작을 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KOMPSAT-2 위성영상에 대한 궤도기반 정밀센서모델링을 수행 할 경우 적은 지상기준점으로도 스테레오 입체시를 하여 중축척 이상의 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OMPSAT-3 영상 모자이킹을 위한 경계선 추정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mline Estimation for Mosaicking of KOMPSAT-3 Images)

  • 김현호;정재헌;이동한;서두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6_2호
    • /
    • pp.1537-1549
    • /
    • 2020
  • KOMPSAT-3의 지상해상도는 전정색 밴드: 0.7 m, 다중 스펙트럴 밴드: 2.8 m이며, 관측 폭의 경우 16 km이다. 따라서 관측 폭(16 km) 보다 넓은 지역의 영상을 한 번의 촬영으로 획득할 수 없으며, 관측 폭 단위로 넓은 지역을 겹치게 촬영 한 후에 획득한 영상들을 하나의 영상으로 만들어야 주어야 한다. 이때 필요한 알고리즘을 영상 모자이킹 또는 영상 스티칭이라고 하며, 지도 제작, 국토관리 분야 등에 사용된다. 모자이킹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1) 특징점 추출 및 매칭, (2) 복사 평형, (3) 경계선 추정, (4) 영상 블렌딩의 4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 영상에서 효과적으로 경계선 추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더 정확하게 경계선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모자이킹이 된 영상도 경계선 부분의 이질감이 최소화 되었다.

Automatic Registration between EO and IR Images of KOMPSAT-3A Using Block-based Image Matching

  • Kang, Hyungseok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45-555
    • /
    • 2020
  • This paper focuses on automatic image registration between EO (Electro-Optical) and IR (InfraRed) satellite images with different spectral properties using block-based approach and simple preprocessing technique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feature matching. If unpreprocessed EO and IR images from Kompsat-3A satellite were applied to local feature matching algorithms(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peed-Up Robust Feature, etc.), image registration algorithm generally failed because of few detected feature points or mismatched pairs despite of many detected feature point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image registration method which improved the performance of feature matching with block-based registration process on 9-divided image and pre-processing technique based on adaptive histogram equalization. The proposed method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without our proposed technique on visual inspection and I-RMSE. This study can be used for automatic image registration between various images acquired from different sensors.

사용자 측면에서의 아리랑위성 3호 영상자료의 품질 정의 및 관리 (Definition and Monitoring of Image data Quality for KOMPSAT-3 from users)

  • 이동한;김민아;서두천;정재헌;전경미
    • 항공우주기술
    • /
    • 제13권2호
    • /
    • pp.87-98
    • /
    • 2014
  • 일반적으로 위성 영상자료 품질에 대한 요구조건 값과 사용자 측면에서의 품질사이에는 바라보는 시각에 따른 기술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실제로 아리랑위성 3호도 2012년 12월31일에 검보정 작업이 완료되어 영상자료 품질 요구조건 값들을 모두 만족하여 정상운영을 시작하였지만, 아리랑위성 3호를 위한 사용자 측면의 영상자료 품질을 별도로 정의하여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 검보정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검보정팀과 자료처리팀에서는 아리랑위성 3호 영상자료 품질보고서를 작성하여, 처리시스템에서 생성되는 영상자료의 품질을 판단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영상자료 품질을 저하시키는 5개의 추가 검보정 항목을 선정하였고, 현재 추가 검보정 작업을 완료하여 처리시스템에 추가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아리랑 위성 2호와 3호를 이용한 이종 영상 간 에피폴라 영상 생성 (Epipolar Resampling from Kompsat-2 and Kompsat-3)

  • 송정헌;오재홍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56-166
    • /
    • 2014
  • 2014년 현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아리랑 위성 2호와 3호 등 총 2기의 고해상도 광학위성을 운용 중이다. 특히 아리랑 위성 3호는 동일궤도 스테레오 영상 취득이 가능하기 때문에 목표 지역의 3차원 정보추출에 유리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위성운영의 특수성 및 영상 취득 효율 등의 이유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주로 단영상 획득을 주로 수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리랑 2호와 3호의 이종 영상 조합으로 관심 대상지에 대한 3차원 공간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단일 영상 조합에 기반한 입체 기하를 분석하고 에피폴라 영상을 생성하여 그 품질을 확인하였다. 분석은 RPCs(Rational Polynomial Coefficients)에 기반한 piecewise기법을 이용하여 진행되었고, 2차원 포물선 형태의 에피폴라 커브 및 3차 다항식에 기반한 에피폴라 영상 변환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생성된 에피폴라 영상은 영상 전반에 걸쳐 종시차가 1화소로 최소화될 수 있었으며 두 영상간의 해상도 또한 정규화 되어 3차원 디스플레이 및 디지타이징에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