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MPSAT-2

검색결과 668건 처리시간 0.033초

아리랑 2호 탑재 X-Band 안테나 포인팅 오차 검증을 위한 MAPS 궤도예측 오차 분석

  • 김해동
    • 항공우주기술
    • /
    • 제4권1호
    • /
    • pp.221-228
    • /
    • 2005
  • 본 기술 논문에서는 아리랑 2호 APS의 안정적인 운용 및 TPF의 정밀도와 관련하여 궤도예측 시스템의 예측오차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실제적이고 정확한 성능 및 오차 분석을 위하여 아리랑 2호 정상 운용 및 예상되는 연장 운용 시기와 유사한 태양활동을 보인 기간 동안의 아리랑 1호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궤도결정 및 예측을 수행하였다. 본 기술 논문의 결과들은 아리랑 2호 APS와 지상 X-Band 수신국 간의 인터페이스 문서에서 할당된 "지상 궤도예측 정밀도"에 대한 분석 및 검증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아리랑 2호 APS의 안정적인 운용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PC를 기반으로 한 아리랑 2호 에피폴라 영상제작 (RPC-based epipolar image resampling of Kompsat-2 across-track stereos)

  • 오재홍;이효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7-164
    • /
    • 2011
  • As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have enabled large scale topographic mapping and monitoring on global scale with short revisit time, agile sensor orientation, and large swath width, many countries make effort to secure the satellite image information. In Korea, KOMPSAT-2 (KOrea Multi-Purpose SATellite-2) was launched in July 28 2006 with high specification. These satellites have stereo image acquisition capability for 3D mapping and monitoring. To efficiently handle stereo images such as stereo display and monitoring, the accurate epipolar image generation process is prerequisite. However, the process was highly limited due to complexity in epipolar geometry of pushbroom sensor. Recently, the piecewise approach to generate epipolar images using RPC was developed and tested for in-track IKONOS stereo images. In this paper, the piecewise approach was tested for KOMPSAT-2 across-track stereo images to see how accurately KOMPSAT-2 epipolar images can be generated for 3D geospatial applications. In the experiment, two across-track stereo sets from three KOMPSAT-2 images of different dates were tested using RPC as the sensor model.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one-pixel level of y-parallax was achieved for manually measured tie points.

KOMPSAT-1 EOC Pass 영상의 기하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Geo-Accuracy with KOMPSAT-1 EOC Pass Imagery)

  • 서두천;임효숙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47-45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KOMPSAT-1 위성에서 취득한 EOC Pass 영상과 scene 영상의 기하정확도를 평가함으로써, 비접근지역에 대한 3차원 지형정보 추출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4가지 실험을 수행하여 KOMPSAT-1 EOC 위성데이터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1) KOMPSAT-1 전처리 시스템으로 처리된 Level 1R의 ancillary 데이터와 영상좌표를 이용한 지상좌표계산 2) 보조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두 영상의 지상좌표를 공간교차이론으로 지상 3차원좌표 계산 3) 입체 Pass 영상의 일부분(KOMPSAT-1 EOC, 1 scene size)에서 획득된 GCP(Ground Control Point)을 이용하여 Bundle adjustment을 수행하고, 그 결과 계산된 외부표정요소로 지상좌표의 계산 4) 3)에서 계산된 외부표정요소를 이용하여 전체 Pass 영상에 적용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The Study for the KOMPSAT-3 Image Data Compression

  • Lee S.G.;Lee S.T.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298-300
    • /
    • 2005
  • Satellite payload on-board date compression unit are use for saving date storage space and reducing time to transmit payload data to the ground station. The KOMPSAT-3 payload will generate higher data rate than KOMPSAT-2 due to its better ground sample distance capacity. High input data rate and limited output transmission data rate might lead excessive compression and degraded image quality. This paper presents a trade-off study about data storage capacity and compression parameters for estimated KOMPSAT-3 system.

  • PD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Measurement for KOMPSAT EOC image data Using Edge Method

  • Song J. H.;Lee D. H.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489-493
    • /
    • 2004
  • Th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is commonly used to characterize the spatial quality of imaging systems. This work is the attempt to measure the MTF for KOMPSAT EOC using the non-parametric method as ground inputs. The spatial performance of the KOMPSAT EOC was analyzed by edge method while in flight using multi-temporal image data collected over test site in Seoul. The results from this work demonstrate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this method to estimate MTF for high spatial resolution satellite KOMPSAT-2 that is being developed to be launched in 2005.

  • PDF

KOMPSAT-5 후방산란계수의 보정식 산출 및 적용을 통한 해상풍 산출 결과 개선 (Improvement of KOMPSAT-5 Sea Surface Wind with Correction Equation Retrieval and Application of Backscattering Coefficient)

  • 장재철;박경애;양도철;이선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6_4호
    • /
    • pp.1373-1389
    • /
    • 2019
  • KOMPSAT-5는 우리나라 최초의 X 밴드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탑재 인공위성으로, 2013년 8월부터 운영되고 있다. KOMPSAT-5는 운영 목적에 따라 지구환경 감시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연안 환경 감시를 위한 고해상도 해상풍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KOMPSAT-5의 활용도도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해상풍 정확도 검증 연구에서는 다른 SAR 탑재 인공위성 기반 해상풍에 비해 정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OMPSAT-5 기반 해상풍의 정확도 개선을 위한 후방산란계수 보정식을 산출하였고, 보정식의 개선 효과를 해양 부이 자료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18장의 미국 서부와 하와이 연안을 관측한 KOMPSAT-5 자료와 해양 부이 자료를 활용하여 후방산란계수 보정식을 산출하였고, 산출한 후방산란계수 보정식은 18장의 한반도 연안을 관측한 KOMPSAT-5 자료에 적용하여 해상풍을 산출하였다. 이론적으로 산출된 후방산란계수와 KOMPSAT-5에서 관측된 후방산란계수는 입사각에 따른 1차 함수 관계식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정식을 적용하기 전에는 2.89 m s-1의 상대적으로 큰 평균 제곱근 오차와 -0.55 m s-1의 편차를 보였다. 보정식을 적용한 후에는 각각 1.60 m s-1, -0.38 m s-1로 개선되었다. 입사각의 범위에 따라 후방산란계수 보정식의 개선 효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REQUIREMENT AND INITIALIZATION OF KOMPSAT-5 CALIBRATION AND VALIDATION

  • Lee, Dong-Han;Seo, Doo-Chun;Song, Jeong-Heon;Park, Soo-Young;Lim, Hyo-Su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776-779
    • /
    • 2006
  • KOMPSAT-5 that will be launched at the end of 2008 has a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payload. Since the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a satellite SAR is different from a passive optical camera as KOMPSAT-2 MSC and KOMPSAT-3 payload, we have started from the basis of SAR system. Firstly, the general SAR Cal/Val parameters have been gathered and defined. Secondly, we have been choosing the Cal/Val parameters suitable to KOMPSAT-5. Thirdly, the methods of SAR Cal/Val with the parameters have been studied. Fourthly, the requirement of Cal/Val devices and Cal/Val site has been studied.

  • PDF

아리랑위성 2호 초기운용 및 임무기간 중 궤도 분석 (Orbit Analysis for KOMPSAT-2 During LEOP and Mission Lifetime)

  • 김해동;정옥철;김은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914-92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지난 2009년 9월 30일 3년간의 정상임무 운영을 성공적으로 종료하고 연장임무 운용 중인 아리랑위성 2호의 실제 궤도데이터를 이용한 초기운용 및 임무기간 중 궤도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초기 궤도운용을 위한 준비 및 수행결과들에 대해 중점을 두었으며, 동일 임무궤도 상에서 운용되었던 아리랑위성 1호와의 정상임무 기간 동안 서로 다른 우주환경(특히 태양활동)이 궤도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정리된 내용들은 추후 저궤도상에서 운용될 아리랑위성 시리즈(3호, 5호 3A호 등)들의 초기 및 정상 임무기간 동안 궤도운용 시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주요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KOMPSAT-2/3/5 극지 통합수신시스템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Polar Integrated Ingestion System for KOMPSAT-2/3/5)

  • 김지영;서정원;채태병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02-108
    • /
    • 2015
  • 다목적실용위성 2호/3호/5호는 한반도 및 해외영상에 대한 수요증가로 인해서 위성의 영상촬영 횟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촬영이후 빠른 시간 내에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수요를 만족하기 위해서 국내 지상국뿐 아니라 해외 지상국에 대한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노르웨이 스발바르에 다목적실용위성 2호와 3호의 수신시스템을 운영하고 하루 4~6회 이상 수신하고 있으며, 5호와 3A호의 해외수신을 계획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노르웨이 극지수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다중위성 운영을 대비한 극지 통합수신시스템에 대한 설계 및 개발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KOMPSAT-2 화상기반의 중분류 토지피복도에 대한 정확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for Intermediate-Classified Land Cover Map Based on KOMPSAT-2 Imagery)

  • 김천;홍성후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25
    • /
    • 2009
  • 본 논문은 기 구축된 환경부의 중분류 토지피복도를 올해 KOMPSAT-2 화상으로 갱신하기 위한 예비연구에서 분류결과의 정확도 평가를 중점적으로 나타낸다. KOMPSAT-2 화상기반의 중분류 토지피복도는 객체지향의 분류기법을 이용하였고, 경계선 수정의 경우 반자동 기법에 의해 제작되었다. 계통표집과 임의표집에 의한 Kappa 분석에서 계통 표집의 KHAT값은 0.81, 임의표집의 KHAT값은 0.89를 각각 가지므로 거의 완벽의 일치성을 표시한다. 따라서 전술한 지도화 방법을 통해 제작된 KOMPSAT-2 화상의 중분류 토지피복도는 이용자에게 토지피복정보의 신뢰성도 함께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