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MPSAT-2

검색결과 668건 처리시간 0.022초

아리랑 위성 2호와 3호를 이용한 이종 영상 간 에피폴라 영상 생성 (Epipolar Resampling from Kompsat-2 and Kompsat-3)

  • 송정헌;오재홍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56-166
    • /
    • 2014
  • 2014년 현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아리랑 위성 2호와 3호 등 총 2기의 고해상도 광학위성을 운용 중이다. 특히 아리랑 위성 3호는 동일궤도 스테레오 영상 취득이 가능하기 때문에 목표 지역의 3차원 정보추출에 유리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위성운영의 특수성 및 영상 취득 효율 등의 이유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주로 단영상 획득을 주로 수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리랑 2호와 3호의 이종 영상 조합으로 관심 대상지에 대한 3차원 공간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단일 영상 조합에 기반한 입체 기하를 분석하고 에피폴라 영상을 생성하여 그 품질을 확인하였다. 분석은 RPCs(Rational Polynomial Coefficients)에 기반한 piecewise기법을 이용하여 진행되었고, 2차원 포물선 형태의 에피폴라 커브 및 3차 다항식에 기반한 에피폴라 영상 변환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생성된 에피폴라 영상은 영상 전반에 걸쳐 종시차가 1화소로 최소화될 수 있었으며 두 영상간의 해상도 또한 정규화 되어 3차원 디스플레이 및 디지타이징에 활용될 수 있다.

KOMPSAT-2 위성영상을 이용한 정규식생지수와 현장식생 자료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Field Surveying Vegetation Data and NDVI from KOMPSAT-2 Satellite Imagery)

  • 김기홍;이종설;정재학;원상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05-41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다목적실용위성인 KOMPSAT-2 위성의 다중대 역영상을 이용하여 추출한 NDVI와 현장조사를 통해 얻은 식생피복률인 VC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KOMPSAT-2 위성의 NDVI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대기보정 된 MODIS NDVI를 기준으로 보정하였다. 휴대용 GPS를 이용한 현장조사를 통해 식생피복률인 VC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위성영상 NDVI와 지점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위성영상의 NDVI와 현장식생피복률과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finition and Generation of Level 0 Product for KOMPSAT-2

  • Shin, Ji-Hyeon;Kim, Moon-Gyu;Park, Sung-O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810-814
    • /
    • 2002
  • According to the image level definition for KOMPSAT-2 in KOMPSAT-2 Ground Station Specification, the level 0 is frame formatted, unprocessed data at full resolution; any and all communications artifacts (e.g., synchronization frames, communications headers) removed. The level 0 is used for two purposes: 1) exchange of imagery between image receiving & processing element (IRPE), and 2) image transfer from the Receiving & Archiving Subsystem to Search & Processing Subsystem. On-board processing of imagery data of KOMPSAT-2 includes JPEG-like compression and encryption besides conventional CCSDS packetization. The encryption is used to secure imagery data from any intervention during downlink and compression allows real-time downlink of image data reducing data rate produced from the camera. While developing ground receiving system for KOMPSAT-2, it was necessarily to define level 0 products. In this paper, we will suggest level 0 product definition for KOMPSAT-2 and explain reasons of the decisions made. The key factor used while defining the level 0 products is the efficiency of whole ground receiving system. The latter half of the paper will explain the implementation of software that generates level 0 products. The necessary steps to produce level 0 products will be explained, and the performance achieved will be presented.

  • PDF

KOMPSAT-2 영상의 정밀궤도기반모델을 이용한 3차원 위치결정 정확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of 3D Geopositioning of KOMPSAT-2 Images Using Orbit-Attitude Model)

  • 이상진;김정욱;최윤수;정승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10
    • /
    • 2010
  • 본 연구는 KOMPSAT-2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대하여 기존의 RFM방식이 아닌 궤도-자세각 모델을 이용하여 좌 우 스테레오 위성영상의 정밀센서모델링을 다양한 파라메터를 조합하는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궤도기반정밀센서 모델링을 수립한 결과를 토대로 수치사진측량시스템에 적용하여 지상기준점에 대한 오차 확인과 수치지도 시범 제작을 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KOMPSAT-2 위성영상에 대한 궤도기반 정밀센서모델링을 수행 할 경우 적은 지상기준점으로도 스테레오 입체시를 하여 중축척 이상의 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OMPSAT 5호 InSAR영상을 이용한 DEM제작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DEM Produced by using KOMPSAT-5 InSAR Image)

  • 한승희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7권2호
    • /
    • pp.39-47
    • /
    • 2017
  • KOMPSAT 5호의 SAR 탑재체는 X-밴드(9.66GHz) 마이크로파를 매개로 하는 센서가 탑재되어 있다. 특히, 방위각과 고도평면에 대해 전자 조향이 가능한 고정형 안테나를 가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활용이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KOMPSAT 5호의 HR, UH모드영상을 이용하여 DEM을 제작함으로써 제작성능과 DEM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DEM제작성능평가를 위해 기선분석과 $2{\pi}$ ambiguity를 통해 DEM의 민감도를 판단한 결과 양호한 제작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작된 DEM의 정확도 평가를 위해 30점의 검사점에 대해 SRTM데이터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표준편차 ${\pm}15{\sim}20m$의 정확도를 얻었다. 향후 필터링 방법이나 Phase unwrapping방법의 파라메타를 조정함에 의해 DEM의 정확도를 개선한다면 환경 및 재해모니터링 등에 KOMPSAT5호 영상을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EVELOPMENT OF PRECISION ATTITUDE DETERMINATION SYSTEM FOR KOMPSAT-2

  • Yoon Jae-Cheol;Shin Dongseok;Lee Hungu;Lee Young-Ran;Lee Hyunjae;Bang Hyo-Choong;Cheon Yee-Jin;Shin Jae-Min;Moon Hong-Youl;Lee Sang-Ryool;Jeun Gab-Ho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4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3권2호
    • /
    • pp.296-299
    • /
    • 2004
  • KARI precision attitude determin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high accurate geo-coding of KOMPSAT-2 image. Sensor data from two star trackers and a IRU are used as measurement and dynamic data. Sensor data from star tracker are composed of QUEST and unit vector filter. Filter algorithms consists of extended Kalman filter, unscented Kalman filter, and least square batch filter. The type of sensor data and filter algorithm can be chosen by user options. Estimated parameters are Euler angle from 12000 frame to optical bench frame, gyro drift rate bias, gyro scale factor, misalignment angle of star tracker coordinate frame with respect to optical bench frame, and misalignment angle of gyro coordinate frame with respect to optical bench frame. In particular, ground control point data can be applied for estimating misalignment angle of star tracker coordinate frame. Through the simulation, KPADS is able to satisfy the KOMPSAT-2 mission requirement in which geo-location accuracy of image is 80 m (CE90) without ground control point.

  • PDF

고해상도 영상의 정사보정 정확도 검증 및 밴드별 상관성 비교연구 (Comparison of High Resolution Image by Ortho Rectification Accuracy and Correlation Each Band)

  • 진청길;박소영;김형석;천용식;최철웅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5-45
    • /
    • 2010
  • 본 연구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정사보정하여 위치정확도를 검증하고 정사보정된 고해상도 영상간의 밴드 상관성과 NDVI 상관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KOMPSAT2와 IKONOS 영상의 정사보정은 RPC자료로 정오차를 제거하고 GPS측량자료로 비평면적 왜곡을 보정하였다. 그리고 정사영상내 동일한 위치의 영상점을 선점하여 각 영상의 영상점과 GPS 측량점간 위치정확도를 비교하고 영상간 영상점의 위치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밴드 상관성과 NDVI 상관성은 구입시 정사보정된 Quickbird영상과 항공사진을 추가하여 밴드별로 DN값의 기술통계를 구하고 각 영상간 밴드상관성과 NDVI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KOMPSAT2와 IKONOS 정사영상의 위치정확도 비교에서 각 영상내 영상점과 GPS 측량점간 RMSE는 KOMPSAT2가 3.41m, IKONOS가 1.45m로 1.96m의 차이를 보였고 영상점간 RMSE는 1.88m였다. Quickbird, KOMPSAT2, IKONOS, 항공사진을 이용한 영상간 밴드와 NDVI 상관성은 Band2에서 항공사진과 KOMPSAT2의 상관성이 높은 것을 제외하면 모든 Band와 NDVI에서 Quickbird 와 IKONOS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밴드간 상관성이 낮은 경우는 Band1에서 Quickbird와 항공사진, Band2와 Band4에서 KOMPSAT2와 IKONOS, Band3에서 KOMPSAT2와 항공사진이었고 NDVI는 KOMPSAT2가 QuickBird, IKONOS 모두와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PREPARATION OF CARBON DIOXIDE ABSORPTION MAP USING KOMPSAT-2 IMAGERY

  • Kim, So-Ra;Lee, Woo-Ky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00-203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the $CO_2$ (carbon dioxide) absorption map using KOMPSAT-2 imagery. For estimating the amount of $CO_2$ absorption, the stand biomass of forest was estimated with the total weight, which was the sum of individual tree weight. Individual tree volumes could be estimated by the crown width extracted from KOMPSAT-2 imagery. In particular, the carbon conversion index and the ratio of the $CO_2$ molecular weight to the C atomic weight, reported in the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guideline, was used to convert the stand biomass into the amount of $CO_2$ absorption. Thereafter, the KOMPSAT-2 imagery was classified with the SBC (segment based classification) method in order to quantify $CO_2$ absorption by tree species. As a result, the map of $CO_2$ absorption was produced and the amount of $CO_2$ absorption was estimated by tree species.

  • PDF

다목적 실용위성2호 관제시스템 운용 (Mission Control System for KOMPSAT-2 Operations)

  • 정원찬;이병선;이상욱;김재훈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76-82
    • /
    • 200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하여 항공우주연구원의 관제소에 설치한 아리랑2호 위성 관제시스템은 지난 7월 28일 발사된 아리랑2호 위성의 운용에 사용되고 있다. 아리랑2호 관제시스템의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원격측정데이터 수신 및 처리, 원격명령 생성 및 송신, 위성 추적 및 거리측정, 궤도 예측 및 결정, 위성자세 조정계획, 그리고 위성 시뮬레이션 등이 있다. 아리랑2호 위성은 아리랑1호 위성의 임무를 이어받아 수행하며, MSC (Multi Spectral Camera) 및 정밀궤도결정, 정밀자세결정 등을 통해 아리랑1호에 비해 훨씬 향상된 해상도의 사진을 제공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

  • PDF

센서모델링 특성에 따른 KOMPSAT-2 PAN 영상의 정확도 (Geometric Accuracy of KOMPSAT-2 PAN Data According to Sensor Modeling)

  • 서두천;양지연
    • 항공우주기술
    • /
    • 제8권2호
    • /
    • pp.75-82
    • /
    • 2009
  • 본 문서는 일반 사용자들이 다목적실용위성 2호(KOMPSAT-2) 영상을 사용하는데 있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존의 상용 S/W를 이용하여 영상의 센서모델링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센서모델링은 다목적실용위성 2호 자료로부터 정량적, 정성적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우선 다목적실용위성 2호(KOMPSAT-2) 영상자료와 함께 제공되는 보조데이터의 종류와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상용 S/W에서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해 설명하였다. 센서모델링에 적용은 Polynomial-base의 센서모델링과 Refine RFM을 적용하였다. Polynomial-base 센서모델링에서, 위성위치는 1차 다항식 형태의 등속직선운동, 위성자세는 X축, Y축, Z축에 대하여 고정값 또는 Y축과 Z축에 대한 1차 다항식 형태가 정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Refine RFM 모델링을 수행할 때 Affine 모델을 적용할 경우 정확도가 1 pixel 이하로 확보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