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GS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7초

Assessing the Differences in Korean View on National Economic Policy with Factor and Cluster Analysis

  • Kim, Hee-Jae;Yun, Young-Ju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9권2호
    • /
    • pp.451-461
    • /
    • 2008
  • In this study, factor and cluster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to group the differences in Korean view on national economic policy in the sample of the 2006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According to the 2006 KGSS, the 6 items with a 5-point Likert scale include the questions about whether or the extent to which each respondent supports the specific types of governmental economic policy. In our study, at first, the factor analysis has converted the original 6 items into the 3 composite variables that account for 81% in the total variability. As the second step of factor analysis, factor scores have been computed. Then, the K-means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factor scores has been conducted to group the survey respondents into the 3 clusters. In particular,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has shown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3 clusters varies with the responden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 PDF

Ground Contact Analysis for Korea's Fictitious Lunar Orbiter Mission

  • Song, Young-Joo;Ahn, Sang-Il;Choi, Su-Jin;Sim, Eun-Sup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0권4호
    • /
    • pp.255-267
    • /
    • 2013
  • In this research, the ground contact opportunity for the fictitious low lunar orbiter is analyzed to prepare for a future Korean lunar orbiter mission. The ground contact opportunity is basically derived from geometrical relations between the typical ground stations at the Earth,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Earth and Moon, and finally, the lunar orbiter itself. Both the cut-off angle and the orbiter's Line of Sight (LOS) conditions (weather orbiter is located at near or far side of the Moon seen from the Earth) ar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ground contact opportunities. Four KOMPSAT Ground Stations (KGSs) are assumed to be Korea's future Near Earth Networks (NENs) to support lunar missions, and world-wide separated Deep Space Networks (DSNs) are also included during the contact availability analysis. As a result, it is concluded that about 138 times of contact will be made between the orbiter and the Daejeon station during 27.3 days of prediction time span. If these contact times are converted into contact duration, the duration is found to be about 8.55 days, about 31.31% of 27.3 days. It is discovered that selected four KGSs cannot provide continuous tracking of the lunar orbiter, meaning that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s necessary to track Korea's future lunar orbiter effectively. Possible combinations of world-wide separated DSNs are also suggested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contact availability with only four KGSs, as with primary and backup station concepts. The provided algorithm can be easily modified to support any type of orbit around the Moon, and therefore, the presented results could aid further progress in the design field of Korea's lunar orbiter missions.

성인기이전의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이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부적응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negative life events in pre-adulthood on adulthood depression: Mediator effect of interpersonal maladjustment)

  • 정주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99-101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epression in adulthood caused by the influence of negative life events (disaster accident, physical violence and emotional abuse) in pre-adulthood and explore the mediator effect of interpersonal maladjustment. To carry out such task, 974 people who have had negative life event experiences before the age of 18 were chosen based on the data from the 2012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and Stata 10.0 was used to do the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life events in pre-adulthood and depression in adulthood. Specifically, experiences from an accident or disaster had a direct impact on depression. Moreover, experiences of physical violence and emotional abuse not only had a 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 but also through maladjustment, it had an indirectly partial mediator effect that increases the chances of depression. Through this result, it was evident that negative life events from pre-adulthood had a negative effect on continuous interpersonal maladjustment as well as psychological welfare throughout the adulthood. Therefore, there needs to be thorough prevention measures on negative life events in pre-adulthood and strongly take post treatment into consideration. Through building a safe life environment, great deal of social support from social organizations should be prepared systematically.

시민 아비투스의 실천행동, 기부를 이해하는 또 하나의 길 (Giving -Habitus of Citizen-)

  • 최혜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1호
    • /
    • pp.95-116
    • /
    • 2016
  • 이 연구는 기부라는 사회적 행위를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선택으로 조명해 온 선행연구의 공리주의적 전제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브르디외의 사회적 장의 이론과 아비투스 이론을 토대로, 기부라는 사회적 행위는 시민사회가 사회적 장 내에 형성하고 유산한 시민됨의 아비투스가 발현된 실천행위라고 가정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KGSS 2011년 자료를 이용해 시민됨과 기부행동사이의 인과관계에 관한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상정한 구조모형은 비교적 높은 수준의 모형적합도를 보였다. 또한 시민됨의 요소 중 시민덕목과 시민참여는 기부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민됨의 수준이 높을수록 즉 시민으로서 아비투스 구성의 완성도가 높을수록 이의 실천행동인 기부행동 또한 적극적임을 의미하며, 기부가 시민됨의 아비투스가 발현된 실천행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여성의 경제생활 위험인식이 출산 격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omen's Economic Risk Perception on the Fertility Gap)

  • 정윤태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2호
    • /
    • pp.219-241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경제생활 위험인식이 출산 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여성이 체감하는 실업 빈곤의 위험, 주거불안의 위험, 금융불안의 위험, 경기침체 불안의 위험 등 경제생활 위험이 실제 출산한 자녀의 수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자녀의 수의 차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2014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생활 위험의 발생 가능성을 심각하게 인식하는 여성일수록 출산한 자녀의 수가 적은 반면 출산 격차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한국인의 사회자본과 다문화 수용성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eople's Social Capital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 이형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93-202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사회자본의 수준과 다문화 수용성의 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자본의 하위요소(신뢰, 호혜성, 참여)와 다문화 수용성 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와 더불어 사회자본의 하위요소들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 어떤 사회자본을 더 강화해 나가야 하는지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사회적 자본'과 '다문화 수용성' 자료는 2010년 제8차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 이하 KGSS)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대(F=28.18, p<.001)가 낮아질수록, 학력(F=15.49, p<.001)이 높아질수록, 가구 총소득(F=8.85, p<.001)이 높아질수록 사회자본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t=9.98, p<01)일수록, 연령대(F=27.29, p<.001)가 낮아질수록, 학력(F=28.99, p<.001)이 높아질수록, 가구 총소득(F=11.92, p<.001)이 높아질수록 다문화 수용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사회적 자본 요인 중 '신뢰'가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서베이조사실험을 통한 폐쇄형과 개방형 설문 응답 차이: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 (Survey Experiment on Close-Ended and Open-Ended Questions: 2016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 김지범;김솔이;강정한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8권4호
    • /
    • pp.127-147
    • /
    • 2017
  • 한국에서는 조사의 가장 근본적인 도구인 설문지 설계에 관한 조사방법론 연구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의 표본분할을 통한 조사실험을 통하여 한국의 가장 중요한 문제에 대한 폐쇄형 질문과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폐쇄형과 개방형에서 모두 경제(35% 대 33.2%)가 가장 많이 언급되었고, 폐쇄형 설문에서는 범죄(24.4%), 교육(15.4%), 빈곤(6.3%)순으로, 개방형에서는 정치(10.8%), 범죄(9.5%), 교육(7.6%)순이었다. 즉, 정치가 포함되지 않은 폐쇄형 질문 응답과 개방형에서 응답순위가 일관성이 있었다. 최대 응답범주였던 경제를 답한 응답자의 특성이 폐쇄형과 개방형에서 인구학적 변수 중 연령과 가구소득 그리고 경제상태만족도 측면에서 제한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타국의 설문문항을 수용할 때 한국적 맥락에서 설문의 질문 부분뿐만 아니라 응답범주의 적정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고, 사전조사에 조사실험이 더 많이 시도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한국 청년의 삶의 불안정성(precariousness)과 행복: 불확실성과 통제권한 부재의 매개효과 (Precariousness and Happiness of South Korean Young Adults: The Mediating Effects of Uncertainty and Disempowerment)

  • 한승헌;임다혜;강민아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2호
    • /
    • pp.87-126
    • /
    • 2017
  • 본 연구는 Rodgers(1989)가 제안한 불안정성의 세 가지 차원인 자원의 결핍, 불확실성, 통제권한의 부재를 이론적 분석 틀로 하여 한국 청년들이 경험하는 불안정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0년에 실시된 제 8차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자료를 활용하여 청년세대인 만 19세부터 만 34세의 총 415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이 인식하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가구 소득수준, 사회적 지지라는 세 가지 자원의 결핍이 삶의 불확실성과 통제권한의 부재라는 불안정성의 요소들을 통해 행복에 미치는 경로모형을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청년세대를 저연령 집단(만 19세-26세)과 고연령 집단(만 27세-34세)으로 구분하여 연령집단 별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원의 결핍 및 불확실성과 통제권한의 부재 모두 청년들의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그중에서 통제권한의 부재가 청년들의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와 소득수준, 사회적 지지 모두 통제권한의 부재를 통해서만 행복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다중집단분석 결과, 저연령 집단과 비교했을 때 고연령 집단에서만 소득수준이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고연령 집단의 통제권한의 부재가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저연령 집단보다 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제언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Is Simple Random Sampling Better than Quota Sampling? An Analysis Based on the Sampling Methods of Three Surveys in South Korea

  • Cho, Sung Kyum;Jang, Deok-Hyun;LoCascio, Sarah Prusoff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3권4호
    • /
    • pp.156-175
    • /
    • 2016
  • This paper considers whether random sampling always produces more accurate survey results in the case of South Korea. We compare information from the 2010 census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ree public opinion surveys from South Korea: Gallup Korea's Omnibus Survey (Survey A) is conducted every two months by Gallup Korea; the annual Social Survey (Survey B) is conducted by Statistics Korea (KOSTAT);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or Survey C) is conducted annually by the Survey Research Center (SRC) at Sungkyunkwan University (SKKU). Survey A uses quota sampling after randomly selecting the neighborhood and initial addresses; Survey B uses random sampling, but allows replacements in some situations; Survey C uses simple random sampling. Data from more than one year was used for each survey. Our analysis suggests that Survey B is the most representative in most respects, and, in some respects, Survey A may be more representative than Survey C. Data from Survey C was the least stable in terms of representativeness by geographical area and age.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underrepresented in both Surveys A and C, but the problem was more severe in Survey A. Four-person households and married persons were both over-represented in Survey A. Less educated people were under-represented in both Survey A and Survey C. There were differences in income level between Survey A and Survey C, but income data was not available for Survey B or the census, so it is difficult to ascertain which survey was more representative in this case.

Body Weight and Body Image: A Risk Factor Analysis in Korea

  • Kim, Sang-Wook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3호
    • /
    • pp.143-172
    • /
    • 2011
  •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weight and body image, an objective and subjective measure of body shape, respectively, has long been a recurrent concern in the area of medical sociology and health-related studies. This concern stems from the argument and findings in the literature indicating that the two are not necessarily likely to be strongly correlated due mostly to the fact that one's own idea or conception about his/her body shape could be pretty different from one's actual shape. This study tries to empirically address the two issues based on the analysis of a national sample survey data in Korea: to what extent body weight and body image are correlated with or deviated from each other, on the one hand, and what factors help to accoun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on the other. The latest(2010) national sample data of KGSS(Korean General Social Survey) is used to evaluate the issues. Results of data analysis demonstrate that body weight and image have a moderate amount of correlation, and that the correlation tends to vary to a large extent depending on a few major socio-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Most important, the risk factor analysis attempted in this study could identify several salient risk factors, which include gender, age, chronic diseases, smoking, physical exercises, and medical checkup. To be precise, those who may be best characterized as particularly risky to weight gains are females, who are in their 20's, who have chronic diseases, non-smokers, who exercise regularly, and who conduct medical checkups on a regular basis. To extrapolat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most typically risky kinds of individuals in Korea are "young women who care very much for their health." The findings are interpreted and discussed with suggesting a recommendation for further stud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