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DA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34초

옻나무 추출물의 생리활성 이용에 대한 연구 : 옻나무 추출물의 생물학적 기능 (Bioactive Utility of the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RVS) : Biological Function of the Extracts from RVS)

  • 임계택;이정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38-245
    • /
    • 1999
  • 옻나무에서 극성이 큰 물과 에탄올로 추출한 물질을 생쥐 뇌세포를 배양하여 glucose oxidase에 의해 생성되는 hydroxyl radical에 대한 항산화 효과와 암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먼저 항산화 효과에 있어서, $7{\sim}10$일 정도 배양된 생쥐 뇌세포에 20 mU/mL GO system을 처리한 후 물 및 에탄올 추출물 (30 mg/mL)을 일정량 첨가하여 hydroxyl radical에 대한 옻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GO 20 mU/mL만을 처리한 구에서는 생쥐 뇌세포의 생존률이 52.0%인데 반하여, 옻나무 물 추출물을 1, 2, 4, 7, $10\;{\mu}L$ 첨가시 각각 60.0, 66.0, 72.0, 84.0 및 90.1%로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매우 높은 생존률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에탄올 추출물의 첨가시에도 유사하였는데, $1\;{\mu}L$$2\;{\mu}L$ 첨가시 생존률은 55.0%와 64.0% 였고, 4, 7, $10\;{\mu}L$에서는 각각 70.0, 79.0, 91.0%로서 나타났다. 항산화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잘 알려진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를 50, $100\;{\mu}M$ 첨가시 쥐의 뇌세포의 생존률은 대조군에 대해 각각 87.0%와 90.0%이었는데 이것은 각각의 옻나무 추출물 10% $(10\;{\mu}L/well)$ 첨가시 나타났던 항산화 효과와 비슷한 결과였다. 따라서 이러한 항산화 효과에 관여하는 주요 성분을 전기영동과 작용기 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laccase라는 물질이 주성분이라는 것과 그것은 구리를 함유한 당단백질로서 크기는 약 210 KDa과 230 KDa으로서 dimer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옻나무 추출물의 HeLa cell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in vitro 방법으로서 HeLa cell에 대해 물 및 에탄올 추출물(30 mg/mL)을 최고 10% 농도까지 첨가하여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 $10\;{\mu}L$(10%) 첨가 후 12시간에는 40.0%가, 48시간에는 60.0% 정도의 HeLa cell이 사멸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에 대한 결과는 in vivo 방법에 있어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즉 BALB/c의 복강에 CT-26 $(1{\times}10^6\;cells/mL)$을 접종한 후 종양을 발생케 한 후 옻나무 추출물을 주입시 주입 7일 후 대조군에 비해 종양크기가 현저하게 작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Lactobacillus casei의 배양물에서 분리한 물질의 항암 효과 (Anti-Cancer Effects of Peptides Purified from Culture Supernatant of Lactobacillus casei)

  • 김정화;김동명;백홍;이승훈;정명준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5-10
    • /
    • 2008
  • 최근 유산균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그와 관련된 수많은 제품들이 제조되고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유산균의 기능으로는 가장 먼저 정장 작용을 들 수 있고, 그 외 항암 효과, 유당 단백질의 흡수 증진, 혈청 콜레스테롤의 저하 등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산균의 한 종류인 Lactobacillus casei의 배양물로부터 단백질을 분리한 것으로 Ultrafiltration membrane (3, 10, 30, 100 KDa)으로 분리 농축한 단백질 물질인 단백질성분 A(protein components A)와 단백질 성분 B(protein components B)을 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고, 이 물질을 이용하여 보다 세밀한 분리를 위해 FPLC(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 sephadex 75, Amersham)를 이용하여 분석된 peak를 이용하여 3번부터 9번까지 분획물을 얻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위에서 얻은 단백질 물질들을 이용하여 정상 세포와 암세포주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 및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단백질 성분 A(protein components A)와 단백질 성분 B(protein components B)의 물질에서 최적 농도인 $100{\mu}g/mL$의 농도에서 정상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은 20% 정도로 낮은 세포 독성 효과를 나타내 정상 세포에 대한 독성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5가지 암세포주(위암, 폐암, 유방암, 난소암, 대장암)에 대한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에서는 70% 정도의 높은 암세포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내 항암 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FPLC를 이용하여 분리한 분획물에서는 3, 8, 9번 분획물에서는 정상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50%를 나타내 독성 효과를 나타냈고, 그 외의 분획물에서는 정상 세포에 대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 중 7번 분획물에서 암세포에 대한 생육 억제 활성을 나타낸 결과, 70% 정도의 높은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을 나타내 항암활성을 지닌 성분으로 확인하였다. 그 외의 분획물에서는 거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Lactobacillus casei의 배양물에서 분리한 성분이 항암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저산소 상태에서 조골세포 고사의 신호전달 기전 (Effect of Hypoxia on the Signal Transduction of Apoptosis in Osteoblasts)

  • 박영주;오소택;강경화;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53-463
    • /
    • 2003
  • 본 연구는 MC3T3El 조골세포가 저산소증에 반응하여 유발될 수 있는 세포 고사조절 기전을 구명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2\%$ 저산소증의 조건하에서 MC3T3El 조골세포는 DNA 사다리 분절 헝성을 보였으며 형광성 염료인 Hoechst 33258로 염색된 핵 구조 형태 관찰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포고사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Pancaspase 억제제인 Z-VAD-FMK나 특정한 caspase-3 억제제인 Z-DEVD-CHO로 사전 처치하였을 경우에는 저산소증에 의한 DNA 사다리 분절형성이 농축에 비례하여 억제되었다. caspase-3류의 프로테아제(DEVDase) 활성 증가가 세포고사 중에 관찰되었으나 caspase-1 (YVADase)의 활성은 없었다. 어떤 caspase가 세포고사에 관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anti-caspase-3 또는 anti-caspase-6의 항체를 이용한 western blotting이 시행되었다. caspase-3의 활성산물에 해당하는 17-KDa단백질과 caspase-6의 활성산물인 20-KDa 단백질이 세포용해물에서 발생되었다. 또한 시간 경과와 더불어 caspase-6의 활동의 상징인 Lamin A의 분열을 일으켰으며, 사이토크롬 C를 cytosol로 방출하였다. 이로써 저산소증에 의한 조골세포의 고사 과정에 사이토크롬 C의 방출이 포함된 caspase의 활성이 관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쥐 정소내 Zonular Occludens-1 발현 (Expression of Zonular Occludens-1 in Mouse Testis)

  • Gye, Myung-Chan;Lee, Yang-Han;Kim, Chang-gyem;Kim, Moon-Kyoo;Lee, Ha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37-43
    • /
    • 2000
  • 생쥐 정소에서 밀착결합단백질의 일종인 zonular occludens-1 (ZO-1)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RT-PCR결과 ZO-1의 2가지 isoform인 ZO-1$\alpha$+, ZO-1$\alpha$-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생쥐 신생 및 성체의 정소에서 분자량 225 및 2001 KDa의 2종의 ZO-1의 단백질항원의 발현을 확인되어 RT-PCR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ZO-l$\alpha$+에 대한 ZO-l$\alpha$-의 상대적 발현량은 성숙에 따라 증가하였다. 2종의 ZO-1항원을 동시에 인식하는 항체를 사용한 면역염색을 통해 세정관 외곽의 Sertoli세포 사이의 접촉부위 및 Sertoli 세포와 생식세포 접촉부위에서 ZO-1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ZO-1은 세정관내 세포들 사이의 결합부위 및 세포질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지만 성숙에 따라 Sertoli 세포의 결합부위에서 강한 신호가 검출되었다. 2종의 ZO-1 항원의 상대적 발현량의 변화 및 세정관 외곽의 분포의 강화는 기능적 혈액정소장벽의 출현 및 정자형성의 진행과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웅성불임 유전자의 발현억제를 이용한 임성회복 (Restoration of Fertility by Suppression of Male Sterility- Induced Gene Using an Antisense Construct)

  • 박영두;박범석;김현욱;진용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4호
    • /
    • pp.473-475
    • /
    • 1999
  • 본 연구는 antisense 유전자를 이용하여 웅성불임 식물체를 유기하는 웅성불임 유기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임성을 회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약특이 promoter(GBAN215-6 promoter)와 antisense 방향의 diphtheria toxin(DTx-A) 유전자로 제작된 pKDA215b로 담배(cv. petit Havana SR1)를 형질전환시키고 형질전환이 확인된 76개의 $R_0$ 세대를 자가수분하여 $R_1$ 세대를 획득하였다. $R_1$ 세대의 유전 분석후 antisene 유전자가 복수로 존재하는 5개의 $R_1$ 계통 (21505, 21507, 21511, 21522, 21525)을 선발하고 동형접합체를 획득하기 위해 자가수분을 하였다. 임성회복을 유도하고 회복친을 선발하기 위하여 antisense 유전자를 가진 $R_2$ 계통과 웅성불임 식물체를 교배하였다. 그 결과 꽃가루가 완전이 회복된 개체, 부분적으로 회복된 개체, 회복되지 않은 개체 등 3종류의 식물체를 획득하였으며 이들 식물체의 화분 이외의 표현형은 정상식물체와 같았고 그 기작 구명을 위해 선발하고 계속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PDF

천연 Oleosomes를 이용한 에멀젼 기술 (Natural Oleosomes Loading Emulsion Technology -Loading Oleosomes as Delivery Systems for Improved Cosmetic Efficacies-)

  • 다이아나 탕;잭구스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49-152
    • /
    • 2006
  • 천연물 유래의 잇꽃 oleosomes은 미래 에너지 자원으로 사용되며 씨 안쪽에 트리그리세라이드를 저장한 작고($1{\sim}3{\mu}m$) 둥근 모양의 저장소이다. Oleosome의 표면은 고분자의($20{\sim}24$ KDa) oleosin 단백질로 덮여 있으며 유화 특성을 나타낸다. 전통적으로, 잇꽃처럼 오일을 내포하고 있는 씨앗의 Oleosomes은 내부에 있는 오일을 분리하기 위하여 단순히 분쇄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특허 받은 DermaSphere 기술은 손상되지 않은 상태의 oleosomes의 분리가 가능하다. 분리된, 이 원료는 일반적으로 잇꽃 오일과 관련된 피부 유연제, 보습제, 산화 방지제들을 전달하는 제형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에멀젼화된 oleosin 단백질이 둥근 오일 바디를 덮고 있기 때문에, oleosomes은 전형적인 oil-in-water (O/W) 유상액에서 다른 oil phase를 에멀젼화할 뿐만 아니라 자기 유화 특성도 가지고 있다. Oleosomes은 화장품 제형에서 유상의 비 활성 부분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천연 oleosomes은 다양한 유상 활성 성분들을 포집할 수 있으며 화장품 효능 증진을 위한 전달 시스템으로 사용 될 수 있다. 또한, Oleosomes은 방향제, 비타민, 방충제, UV chromophores 같은 다양한 물질들을 포집 할 수 있었다. 이러한 oleosomes은 제품내에 있는 활성물질들을 보호하거나, 시간이 경과에 따른 활성물질의 적절한 방출을 제어하는데 사용 될 수 있다.

화학독립영양미생물 Aeromonas sp. strain JS-1의 RubisCO 정제 및 특성

  • 나숙현;배상옥;김민정;김성준;정선용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461-464
    • /
    • 2002
  • 화학독립영양미생물 Aeromonas sp. strain JS-l는 호수와 웅덩이의 표층수에서 분리 동정 되었고 분리된 strain JS-1은 에너지원과 탄소원으로써 각각 $H_2$$CO_2$를 이용하였다. RubisCO(EC 4.1.1.39)는 Aeromonas sp. strain JS-l으로부터 ammonium sulfate 침전과 DEAE-sepharose CL-6B,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방법으로 정제되었다. RubisCO의 분자량은 gel filtration에 의해 대략 560 kDa임을 확인되었으며, SDS-PAGE에 의해 Large subunit(56 kDa)와 Small subunit(14 kDa)로 구성된 $L_8S_8$구조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Ribulose 1,5-bisphosphate (RuBP), $NaH^{14}CO_3$$Mg^{++}$의 Km값은 각각 0.25 mM, 5.2 mM, 0.91 mM이었으며, 효소반응의 최적온도는 $50^{\circ}C$였으며, 열 안정성은 $45^{\circ}C$까지 안정하였다.

  • PDF

토양으로부터 Cryptococcus sp. CS-2의 분리 및 균주가 분비하는 Polygalacturonase의 특성에 관한 연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ryptococcus sp. CS-2 Secreting Polygalacturonase from Soil)

  • 강희경;문명님;임채영;양영기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8-163
    • /
    • 1999
  • 제주도 밀감 과수원의 토양으로부터 polygalacturonase 고생산 효모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strain CS-2 의 생리화학적인 실험을 수행한 결과 분리균주는 Diazonium bule B color test 와 urease test에서 양성반응, acetic acid, citrate acid 생성 시험, gelatin 분해시험, fat 분해시험에서는 음성반응을 나타났고, 탄소원의 조사에서 galactose를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없었고, 질소원은 모두 이용할 수 없었다. 또한 $30^{\circ}C$ 에서는 성장하는 반면, $35^{\circ}C$ 이상에서는 성장을 하지 못하였고 50% 이상의 glucose 농도, 0.01% cyclohexamide 그리고 1% acetic acid에서 성장을 하지 못하였다. 현미경을 이용한 형태학적 관찰 결과, 크기는 $1.3{\times}2.9$$\mu$m인 타원형으로 관찰되었다, ,multiple budding을 하며 ascospore는 존재하는 반면 pseudomycelium과 true mycelium 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Cryptococcus 속의 특징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분리된 Cryptococcus sp. CS-2 의 polygalacturonase 는 유도적으로 합성되어 catabolic repression 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었으며, 3일 배양시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고유 활성도는 2.50~2.55 units/mg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polygalacturonase를 SDS-PAGE, activity staining 그리고 단일 탄소원에 따른 단백질 양상의 변화를 비교하여 분자량 측정한 결과 약 46KDa으로 나타났다.

  • PDF

비만 및 비비만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환자의 영양소 섭취량 비교 분석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in Obese and Non-obese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Patients)

  • 박정순;이숙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7-552
    • /
    • 2013
  • This study compared the nutrient intake of obese versus non-obese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 patients for Diabetes Medical Nutrition Therapy. The study was conducted at medical hospitals in Gyeonggi and Seoul from April 2009 to November 2009. Fifty-six adult male NIDDM patients were enroll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36 into an obese group (BMI ${\geq}25$) and 20 into a non-obese group (BMI<25). To conduct this study,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daily nutrient intake of obese and non-obese NIDDM patients were measured. Daily nutrient intake was estimated by 24hr-recall and analyzed by the CAN program. In the result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and BMI (p<0.001). Daily nutrient intake of the two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cept for vitamin E intake (p<0.05). The total energy intake of the non-obese and obese groups were $2,669.9{\pm}964$ kcal and $2,555.4{\pm}803$ kcal, respectively, which were both above 113% of the recommended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 (KDRIs). Cholesterol and sodium intake were $378.1{\pm}215.6$ mg and $6,478.9{\pm}2755.1$ mg, respectively for the non-obese group. Cholesterol and sodium intake were $308.1{\pm}155.6$ mg and $6,306.8{\pm}2788.9$ mg, respectively, for the obese group. Both groups were above 150% of the recommended levels set by the Korean Diabetes Association (KDA). However, their antioxidant nutrient intake was appropriate. Meanwhile, their fiber intake was $10.7{\pm}5.1$ g and $9.8{\pm}5.2$ g, respectively, which was lower than 40% of the recommended intake set by the KDA. The results show that the nutritional education for obese and non-obese NIDDM male patients must aim to reduce total energy, cholesterol, and sodium intake, while increasing fiber intake. In addition, the factors related to a patient's glycosylated hemoglobin, serum lipids, blood pressure, and weight change must be calibrated for the appropriate energy, fat, cholesterol, sodium, and dietary fiber intake.

메밀의 다당류 추출과 구성당 분석 (Extraction and Component Sugar Analysis of Polysaccharides from Buckwheat)

  • 이정선;라경수;손흥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60-865
    • /
    • 1995
  • 처리 방법을 달리한 메밀(날메밀, 볶은메밀, 찐메밀)에서 효소적 방법으로 비소화성 다당과 가용성 다당을 분리하였다. 가용성 다당은 저분자 가용성 다당과 고분자 가용성 다당으로 비소화성 다당은 crude hemicellulose(CH)와 alcohol insoluble hemicellulose(AIH), residue 그리고 저분자 불용성 다당으로 각각 분리하였다. 다당의 함량은 조리방법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으며 가용성 다당 중 고분자 가용성 다당의 함량은 $5.5{\sim}9.4%$였으며, 저분자 가용성 다당의 함량은 $75.9{\sim}84.2%$였다. 비소화성 다당 중 CH는 $3.2{\sim}9.6%$, AIH는 $0.9{\sim}1.7%$, residue는 $2.0{\sim}2.4%$, 저분자 불용성 다당은 $0.8{\sim}4.2%$였다. 가용성 다당에서는 유리당이 검출되었으나 비소화성 다당에서는 유리당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모든 다당 분획에서 단백질이 검출되었다. 가용성 다당의 주요 성분당은 glucose였으며, 비소화성 다당에서는 glucose 이외에 rhamnose, arabinose, xylose, galactose, mannose가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