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CPYS 2012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4초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환경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자아평가와 부정적 자아평가의 상호작용 (Adolescent's Self-Esteem,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Interaction of Positive Self-Evaluation and Negative Self-Evaluation)

  • 정득;이종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273-284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3차년도(2012) 자료를 이용하여, 중학교 3학년 2,040명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생태학적 관점에서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환경특성(부모친밀도, 친구친밀도, 교사친밀도, 학습적응도)과 개인특성을 고려하였다. 개인특성으로서 자아존중감을 긍정적 자아와 부정적 자아에 대한 평가라는 별개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였을 때,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서 두 평가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했다. 즉 부정적 자아평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자아평가 수준에 따라 달랐는데, 긍정적 자아를 높이 평가할수록 부정적 자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음(-)의 영향은 감소했다. 또한 부정적 자아평가 수준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지만, 긍정적 자아평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서는 삶의 만족도가 높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부정적 자아 형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긍정적 자아 형성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부정적 자아 형성의 문제해결을 넘어 긍정적 자아 형성을 위한 방안과 정책들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